• 제목/요약/키워드: TBHQ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참치유의 산화 안전성에 미치는 일부 합성 및 천연 항산화제의 효과 (Effect of Some Synthetic and Natural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Skip Jack Oil)

  • 손종연;임재호;손흥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8-92
    • /
    • 1995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ynthetic antioxidants, BHA, BHT and TBHQ and natural antioxidants, rosemary extract, sesamol, caffeic acid and pyrogallol In a skip jack oil were studied. A control and substrates containing synthetic(0.02%) and natural antioxidant (0.05%) were stored in an incubator kept at 37$^{\circ}C$ for 8 day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ynthetic and natural antioxidants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peroxide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ll the synthetic antioxidants used for this study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in skip jack oil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BHQ was greater than that of BHA and BHT. The rosemary extract did not show antioxidant activity in skip jack oil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samol and caffeic acid were greater than those of BHA. Especially Pyrogallol exhibited very strong antioxidant activity, comparable to that of the TBHQ.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samol, caffein acid and pyrogallol used skip lack oil, In decreasing order as follows : pyrogallol>caffeic acid> sesamol.

  • PDF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itrus Unshju peel Extract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4-461
    • /
    • 2007
  • 본 연구 결과 동결건조된 감귤과피 70%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36.8 ㎎%였으며 감귤과피 추출물 0.01, 0.02와 0.1%의 EDA는 각각 89.6, 86, 81.3%로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34.4%, pH 7.0에서 19.5%를 나타내어 산성 영역에서 높은 소거작용을 보였다. 또한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옥배유의 경우 TBHQ > BHT > TOC > ChEx > EaEx > EtEx > WaEx > Control 순이었고, 채종유의 경우 TBHQ > ChEx > EaEx > BHT > EtEx > WaEx > TOC > Control 순이었다. 두 유지모두에서 에틸아세이트추출물(EaEx)과 클로로포름추출물(ChEx)이 에탄올추출물(EtEx)과 물추출물(WaEx)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감귤과피의 각 용매별 추출물의 공액이중산가도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EaEx)과 클로로포름추출물(ChEx)이 높았으며 이들의 항산화 효과는 TBHQ보다는 낮았으나 BHT, 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거의 유사하거나 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감귤과피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력을 보여주었고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항균효과도 상승하였으며 이 효과는 그램 양성, 음성균주에서 고르게 나타나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 과피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활성이 높아 항산화효과와 항균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 감귤 과피의 기능성 이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감귤 가공 후 생기는 부산물들의 식품산업에서의 유용성도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 중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산화방지제의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ntioxidants in Fatty Food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이정애;노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0-216
    • /
    • 1997
  • The prevention of oxidative degradation in fats and oils is largely controlled by the use of synthetic phenolic antioxidants. Antioxidants, BHA: 2-&-3-tert-butyl-4-hydroxyanisol, BHT: 3,5-di-tert-butyl-4-hydroxytoluene, TBHQ: tert-butylhydroquinone, PG: propyl gallate, PTG: pentyl gallate, OG:octyl gallate, were extracted from fatty foods with hexane and from hexane layer to presaturated acetonitrile with hexane. The polar phenolic hydroxyl groups of antioxidants were silylated with MSTFA and injected to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calibration plots were linear in the investigated range, 0.1~10.0 $\mu\textrm{g}$/g. The limit of detection for 6 phenolic antioxidants was 0.1 $\mu\textrm{g}$/g. Recoveries and reproducibilities from samples fortified at 1.0 $\mu\textrm{g}$/g were in the range of 70~90% and 0.5~13%, respectively.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henolic antioxidants in fatty foods using GC/MS-SIM mode and macro program was described.

  • PDF

Budget 방법론에 의한 한국의 식품첨가물 사용기준평가 및 식품첨가물 9종에 대한 이론적 최대섭취량의 추정 (Assessment of Maximum Use Levels and Estimation of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for 9 Food Additives in Korea by the Budget Method)

  • 윤혜정;이미경;이창희;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6-194
    • /
    • 1999
  • The Budget method used currently in Codex for estimation of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was investigated and the specific approach that can be applicable for Koreans has been proposed.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s(TMDIs) of benzoate, $\rho$-hydroxybenzoic acid ester, butylated hydroxyanisole(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t-butylhydroquinone(TBHQ), nitrite, nitrate, sorbate, and sulfite were estimated and compared with corresponding acceptable daily intakes(ADIs). Additives requiring further precise evaluation were screened. TMDIs of benzoate, BHA, BHT, TBHQ, nitrite, and sulfite exceeded ADIs. On the other hand, it is appeared that TMDIs of $\rho$-hydroxybenzoic acid ester, nitrate, and sorbate were below ADIs. It is expected that the Budget method may be used as one approach for the estimation of use level and risk assessment.

  • PDF

탈지참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II)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Sesame Meal on the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4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탈지참깨박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탈지참깨박으로부터 페놀산을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및 TBHQ의 항산화 효과와 비교하였다. 탈지참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 페놀산이 각각 246.8, 109.6, 85.8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참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컸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참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BHA나 AP(0.02%)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리형 페놀산의 경우는 합성 항산화제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TBHQ의 항산화력과 거의 유사할 정도로 높았다.

  • PDF

생강추출물의 열처리에 따른 항산화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heat-treatment of ginger extracts)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0
    • /
    • 1994
  • Oleoresin, 6-gingerol and 6,10-gingerol: 6-paradol= 1 : 1 mixture were extracted from ginger (Zingi-her of ficinale Roscoe) and change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by heat-treatment were studed. Oleoresin was extracted with Ethanol-Ether and 6,10-gingerol : 6-paradol(1 : 1) and 6-gingerol were extracted with Hexane and Hexan : Ether= 1 : 1, respectively, and identified on the Thin-layer Chromatograpy (TLC) plate with the solvent system of Hexane Ether(1 : 4, v/v). And oleoresin was heat-treated during 0, 10, 30, 60, 120 minutes, and 6-gingercl and 6,10-gingerol . 6-paradol=1 : 1 were heat-treated during 0, 5, 10, 20, 40 minutes, respectively, at 140$^{\circ}C$ dry oven. To compare with antioxidant activity, oleoresins were added into soybean oil at 3fo level, 6-gingerol and 6,10-gingerol : 6-paradol= 1 : 1 at 0.1% level, BHT and TBHQ at 0.02% level, respectively. All the substrates treated were stored in a incubator at 45 2$^{\circ}C$ condition. The oxidative stability was estimated by the analysises of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e value during stor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ntioxidant activity of oleoresins were considerably high and by heat-treatment were not decreased. 6-paradol was not show the antioxidant activity. 6,10-gingerol : 6-paradol=1 : 1 provided poor protection for soybean oil. Antioxidant activity of 6-gingerol was higher than 6,10-gingerol : 6-paradol=1 : 1 and by heat-treat-ment antioxidant activity was directly decreased.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RAE) of each antio-xidant was compared. RhR was found to decrease as follow : TBHQ>oleoresin》BHT TBHQ》BHT>6-gingerol》6,10-gingerol : 6-paradol=1 : 1.

  • PDF

리놀레인산 자동산화에 미치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활성 및 잔존량 평가 (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Residue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in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 최승현;김재민;최선일;정태동;오지원;조봉연;이진하;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1065-1070
    • /
    • 2016
  • 본 연구는 리놀레인산에 7종의 산화방지제를 각각 0.02% 농도로 첨가하여 $50^{\circ}C$의 dry oven에서 8일간 자동산화 시키면서 이들 산화방지제의 잔존량 및 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잔존량은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산화안정성은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잔존량은 0일째(100%)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또한 잔존량을 이용하여 100-잔존량(%)으로 손실률(%)을 계산하였다.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잔존량 분석 결과 tert-butylhydroquinone(TBHQ)> dodecyl gallate(DG)> octyl gallate(OG)> propyl gallate(PG)> butylated hydroxyanisole(BHA)> 2,4,5-trihydroxybutyrophenone(THBP)> butylated hydroxytoluene(BHT) 순으로 낮은 잔존량을 나타내었으나, BHA 같은 경우 다른 실험군에 비해 8일째의 잔존량이 4일째의 잔존량에 비하여 감소량이 크지 않았으며 TBHQ은 4일째의 잔존량이 이미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8일째의 잔존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과산화물가 측정 결과 대조군> TBHQ> DG> OG> PG> BHA> THBP> BHT 순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보였으며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 $R^2$)는 0.3913~0.9963의 범위로, 특히 BHT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R^2$=0.9963)를 보였다. BHA와 TBHQ를 제외한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R^2$ 값은 0.876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자동산화 과정에서 리놀레인산 기질 내 산화방지제의 잔존량과 기질의 산화안전성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AOM 시험에 의한 팜유와 우지에 대한 몇가지 산화방지제 효과와 비교 (Relative Effectiveness of Some Antioxidants on Palm Oil and Beef Tallow by AOM Tests)

  • 양주홍;장영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3-568
    • /
    • 1988
  • 몇가지 산화방지제와 상승제를 첨가하여 가열한 팜유와 우지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AOM시험에 의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팜유에 0.02% TBHQ를 첨가하였을때 같은 농도의 다른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였을 때 보다 AOM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우지에 0.02% TBHQ를 첨가하였을 때는 같은 농도의 BHA와 BHT 혼합제와 $DL-{\alpha}-T$을 첨가한 것 보다 AOM 안정성이 증가하였으나 같은 농도의 ${\delta}-T$와 MT을 첨가한것 보다 증가하지 않았다. 팜유와우지에 $DL-{\alpha}-T$을첨가하였을 때는 BHA와 BHT 혼합제를 첨가한 것 보다 AOM안정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팜유와 우지에 ${\delta}-T$와 MT를 첨가하였을 때는 $DL-{\alpha}-T$를 첨가하였을때 보다 AOM 안정성이 증가되었고 ${\delta}-T$와 MT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DL-{\alpha}-T$${\delta}-T$에 대한 구연산의 상승효과는 팜유보다 우지에서, $DL-{\alpha}-T$에 대한 AP의 상승효과는 우지보다 팜유에서, ${\delta}-T$에 대한 AP의 상승효과는 팜유보다 우지에서 각각 더 효과적이었다. 가열중 tocopherol류의 손실량은 우지보다 팜유에서 더 적었다.

  • PDF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breve{o}d\breve{o}k$(Codonopsis lanceolata))

  • 맹영선;박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6
    • /
    • 1991
  • 본 실험에서는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하고자 수소공여능과 과산화물가 및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더덕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추출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가열추출한 경우에는 추출물의 수율이 높고 갈변반응물질이 생성되어 함께 추출되었다. 수소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ginseng reflux extract(GSRE) $d\bar{o}d\bar{o}k$ reflux extract(CDRE) $d\bar{o}d\bar{o}k$ reflux extract(WDRE) $d\bar{o}d\bar{o}k$ cold extract(CDCE) $d\bar{o}d\bar{o}k$ cold extract(WDCE)의 순으로 산더덕 상온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이 가장 켰으며, 가열추출한 경우 수소공여능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는 대두 유기질의 경우 BHA

  • PDF

고추씨 기름의 저장 및 가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Frying)

  • 최영진;고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7-76
    • /
    • 1990
  • To observe the propability as the frying oil and oxidativ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some physico-chemical tests of the oil were examined during 21 days storage period at 5$^{\circ}C$, 15$^{\circ}C$ and 30$^{\circ}C$, and AOM value determined and after heating the oil at 180${\pm}$5$^{\circ}C$ for 40 hours with or without antioxidants. The analysis storag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showed that the quality of storage group at 5$^{\circ}C$ was almost as good as fresh oil, and the storage group at 30$^{\circ}C$ showed certain degree of rancidity.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during storage were so small so that storag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was found to be good. AOM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was 7 hours which is lower than other vegetable oil, but the degree of stability grew greatly after adding phenolic antioxidants, such on TBHQ or PG. As for the chemical change after heating continuously for 40 hours,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refractive index increased, but iodine value decreased as the heating process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also showed the remarkable reduction of linoleic acid.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resulted in the delay of oxidation, the degree of which was greater in TBHQ than in P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