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HQ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19초

Sweep Co-Distillation 법에 의한 산화방지제의 추출법 (Extraction Method of Antioxidants in Soybean Oil)

  • 황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8-36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s in soybean oil. Recovery rates of various antioxidants in soybean oil showed similar rates as 80.4~102.1% by solvent/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89.9~106.4% by sweep co-distillation method except 46.6~61.2% of PG at corresponding spiked concentractions. The maximun recovery rates of antioxidnts were obtained when extraction time and extraction temperature used in UNITREX were 20min and 21$0^{\circ}C$ respectively. In the recovery rates with the activation of florisil when 2% ofwater was added to florisil the highest recovery rates for TBHQ, BHA, BHT were obtained by sweep co-distillation met-hod. Therefore sweep co-distillation method showed less solvent simple operation and high recovery rate compared with solvent/solvent extraction method.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γ-Oryzanol and Synthetic Phenolic Compounds in an Oil/Water (O/W) Emulsion System

  • Kim, Joo-Sh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73-176
    • /
    • 2007
  • ${\gamma}-Oryzanol$ is one of the chain breaking antioxidants. Both sterol (triterpene) and phenolic hydroxyl groups in the structure of ${\gamma}-oryzanol$ may be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tive function. We hypothesize that ${\gamma}-oryzanol$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autoxid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than the synthetic phenolic compounds in an oil/water (O/W) emulsion system. The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amma}-oryzanol$ and synthetic antioxidants was evaluated at different incubation times (0, 4, 8, 16, and 32 h) by measuring both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s and the decomposition product of hydroperoxides (hexanal) in each emulsion system. Overall, the order of effectiveness of various antioxidants f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 in the O/W emulsion was: ${\gamma}-oryzanol$> tert-butylhydroquinone (TBHQ)>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O/W emulsion with selective lower concentrations of ${\gamma}-oryzanol$ showed better effectiveness than that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synthetic antioxidants. However, the ability of both ${\gamma}-oryzanol$ and synthetic antioxidants to decompose hydroperoxide was similar. ${\gamma}-Oryzanol$ was more effective antioxidant than the synthetic phenolic compounds in preventing the formation of hydroperoxide in the O/W emulsion system.

라면 제조를 위한 혼합 유채유의 산화 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Blended Rapeseed Oil for Instant Ramyon Manufacturing)

  • 양주홍;장영상;신효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13
    • /
    • 1987
  •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artially replacing palm oil and beef tallow by rapeseed oil for frying oils of instant Ramyon manufacturing. The AOM stability of rapeseed oil was inferior than of palm oil, but was comparable to that of beef tallow. When rapeseed oil was blended with palm oil or beef tallow, the AOM stability of the blended oil was improved. As far as AOM stability is concerned,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a blending ratio of 3 part of rapeseed oil to 7 part of palm oil and a ratio of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beef tallow. These blended rapesee oils was retarded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and polymers during heating. The antioxidative effects on the stabilities of AOM and thermal in blended rapeseed oils showed that TBHQ was superior to tocopherols and a mixture of BHA and BHT was inferior.

첨가제에 따른 바이오디젤 산화안정성 특성연구 (A study on the additive characteristics for Stability improvement of Bio-diesel)

  • 강형규;송호영;정태원;이정민;정충섭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8.2-178.2
    • /
    • 2011
  • 바이오디젤이란 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폐식용유 등의 재생 가능한 자원을 촉매 존재 하에 알코올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말하며 경유와 물성이 유사하므로 경유에 혼합하여 압축착화 방식인 디젤엔진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오디젤은 경유에 비하여 탄소-탄소 간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 산화가 일어나기 쉽다. 일반적으로 폐놀계 향산화제인 t-buthylhydroquinone(TBHQ)를 사용하여 산화안정성을 향상시키나 국내에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제품 개발에 의한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유지로부터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산화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폐놀 및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합성하여 바이오디젤에 적용하였으며, 다양한 물성시험방법을 적용하여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에서 규정하는 바이오디젤의 품질기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EN 14112 바이오디젤 산화안정성 시험방법으로 폐놀 및 아민계 등의 산화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1차년도 사업으로 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산화방지제 적용평가를 통해 우수한 제품을 선정하여 2차년도에는 차량 테스트를 통해 연료 첨가제로서의 적합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 PDF

Antioxidant and Bioactive Films to Enhance Food Quality and Phytochemical Production during Ripening

  • Min Byungjin;Dawson Paul L.;Shetty Kalida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0-65
    • /
    • 2005
  • Antioxidant films are one active packaging technology that can extend food shelf-life through preventing lipid oxidation, stabilizing color, maintaining sensory properties and delaying microbial growth in foods. Because raw, fresh and minimal processed foods are more perishable during storage or under display conditions than further processed foods, they rapidly lose their original quality. Foods are susceptible to physical, chemical, and biochemical hazards to which packaging films can be effective barriers. Although films incorporated natural (tocopherols,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or synthetic antioxidants (BHT, BHA, TBHQ, propyl gallate) have been extensively tested to improve quality and safety of various foods, food applications require addressing issues such as physical properties, chemical action, cost, and legal approval. Increased interest in natural antioxidants as substitutes for synthetic antioxidants has triggered research on use of the new natural antioxidants in films and coatings. Use of new components (phytochemicals) as film additives can improve food quality and human health. The biosynthesis of plant phenolics can potentially be optimized by active coatings on harvested fruits and vegetables. These coatings can trigger the plants natural proline-linked pentose phosphate pathway to increase the phenolic contents and maintain overall plant tissue quality. This alternate metabolic pathway has been proposed by Dr. K. Shetty and is supported by numerous studies. A new generation of active food films will not only preserve the food, but increase food's nutritional quality by optimizing raw food biochemical production of phytochemicals.

함초와 칠면초의 이화학적 특성 조사연구 (A study on Physiochemical Property of Salicornia herbaciea & Suaeda japonica)

  • 김지형;송재용;이제만;오세흥;이한정;최혜진;고종명;김용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0-179
    • /
    • 2010
  • 본 연구는 유용 자원식물인 함초를 식품 및 식물자원으로서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있어 그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인천연안 갯벌에서 채취하여 냉동동결건조 분쇄한 함초와 칠면초 분말 시료의 미네랄, 생리활성물질,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1. Na, K는 칠면초보다 함초에 많고, Ca, Fe, Mn은 함초보다 칠면초에 많았으며, Na, K, Mg, Ca는 각각 평균 100,006 mg/kg, 1,385 mg/kg, 3,263 mg/kg, 2.750 mg/kg이며 함초 뿌리는 각각 19,138 mg/kg, 1,260 mg/kg, 1,766 mg/kg, 1,164 mg/kg으로 나타났다. 함초 잎 줄기의 Fe, Mn, Zn, Cu는 각각 평균 90.4 mg/kg 98.9 mg/kg, 33.3 mg/kg, 3.4 mg/kg이며 뿌리는 각각 356.3 mg/kg, 45.3 mg/kg, 27.9 mg/kg, 3.0 mg/kg으로 나타났다. 2. 칠면초의 잎 줄기 부위의 Na, K, Mg, Ca은 각각 평균 85,332 mg/kg, 710 mg/kg, 7,005 mg/kg, 4,344 mg/kg이며 잎 줄기 부위는 각각 1,434.9 mg/kg, 119.1 mg/kg, 19.2 mg/kg, 2.7 mg/kg으로 나타났다. 3. 베타인의 함량은 함초 잎 줄기 평균 15.09 mg/g, 함초 뿌리 평균 7.27 mg/g, 칠면초 잎 줄기 평균 14.64 mg/g으로 나타났다. 4. 콜린은 DPAP-choline으로 유도체화하여 HPLC/PDA로 분석한 결과, 평균 함초 잎 줄기는 20.9 mg/100g, 함초 뿌리는 23.4 mg/100g, 칠면초 잎 줄기는 23.1 mg/100g, 칠면초 뿌리는 23.8 mg/100g으로 나타났다. 5. 폴리페놀화합물은 함초 잎 줄기(28.3 mg/g), 칠면초 잎 줄기(15.5 mg/g), 함초 뿌리(9.2 mg/g), 칠면초 뿌리(5.7 mg/g) 순으로 특히 6월 성장기 함초 잎 줄기에서 총페놀화합물 함량이 36.0 mg/g으로 가장 높았고, 잎 줄기부위와 뿌리부위 모두 함초가 칠면초보다 1.6~1.8배 높았다. 6. DPPH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함초와 칠면초 추출물의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함초 잎 줄기부위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가 월등히 높았고, 특히 6우러 성장기 함초 잎 줄기에서 90.1%로 가장 높았다. 7. 상용산화방지제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비교한 결과, 6월 채취한 함초 잎 줄기 부위를 동결 건조한 분말 1g은 TBHQ 20.32 mg, Ascorbic acid 22.86 mg, BHA 25.86 mg Quercetin 30.26 mg, BHT 40.75 mg, Rutin 42.65 mg에 대응하는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다.

4배성 휘커스(Ficus-4x)오디품종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능 검색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Fruit(Ficus-4x))

  • 김애정;김미원;우나리야;김선여;김현복;임영희;김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95-1000
    • /
    • 2004
  • 뽕나무 가운데 가장 큰 품종인 4배성 휘커스 오디품종(Ficus-4x)의 일반성분함량을 베리류에 속하는 몇 종류의 과일과 비교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조회분 함량은 딸기, 복분자, 블루베리 등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비타민 C함량의 경우도 복분자와 블루베리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무기질함량 분석결과 칼슘함량은 딸기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블루베리에 비해서는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철분함량은 딸기, 복분자, 블루베리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 한방에서 보혈제로 사용해온 근거가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성적 특성의 경우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딸기에 비해 높게 나타나 저장성 면에서 딸기에 비해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도 분석 결과 명도가 낮게 나타나 딸기보다 비교적 어두운 붉은색을 띠었고, 적색도, 황색도 또한 딸기에 비해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배성 휘커스오디품종의 항산화능을 검색하고자 DPPH소거능 검색시 BHA를 기준(100%)으로 했을때 오디메탄올추출물은 35.7%로 cyanidin 3-glucoside의 40%의 소거능력을 보였다. 그리고 유지 저장시 항산화능을 알아본 결과 옥수수기름 저장 15일 이후부터는 오디의 에탄올추출물과 물추출물 모두에서 토코페롤과 BHA 보다도 안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 천연물에서 추출된 유리한 성분을 첨가물로 이용하려는 목적과 잘 일치된다고 할 수 있으며 유지의 유도기간을 연장하여 장기 보존을 위한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식이를 통한 인공감미료와 산화방지제의 섭취량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 and Antioxidants in Foods)

  • 이창희;박성관;윤혜정;박재석;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9-524
    • /
    • 2000
  • 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아스파탐의 경우 시리얼 등 대상품목 총 9종 239품목 중 껌 7품목에서 233.6 mg/kg, 캔디류 6품목에서 3308.0 mg/kg, 주류 4품목에서 41.6 mg/kg, 탄산음료 1품목에서 166.9 mg/kg, 아이스크림 1품목에서 229.2 mg/kg, 발효유 3품목에서 61.3 mg/kg이 검출되었으며 일일추정섭취량은 $0.002{\sim}0.843\;mg/person/day$의 범위이었다. 삭카린나트륨은 쥬스 등 대상품목 총 4종 115품목 중 어묵 4품목에서 41.8 mg/kg, 명란젓 1품목에서 8.3mg/kg, 오징어젓 1품목에서 15.4 mg/kg 검출되었으며 일일추정섭취량은 $0.003{\sim}0.251\;mg/person/day$의 범위로 산출되었다. 아스파탐 및 삭카린나트륨의 각각의 일일추정섭취량인 2.336mg, 0.259mg은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허용섭취량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이며 산화방지제(BHT) 역시 일일추정섭취량이 0.002 mg로서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허용섭취량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이다. 아스파탐과 삭카린나트륨의 일일추정섭취량/일일허용섭취량은 각각 0.106%, 0.094%이였으며, BHT는 0.030%로서 모두 1%미만으로 대상식품을 통한 섭취는 안전하다고 평가되며, 최대사용허용량이 설정되어 있는 삭카린나트륨과 BHT의 경우 일일허용섭취량과 이론적 최대일일섭취량을 비교시에도 각각 11.460%, 0.060%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포도씨 추출물의 항산화성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 장재권;한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24-528
    • /
    • 2002
  • 지방질 식품에 대한 천연항산화제로서 포도씨의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해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수율, 페놀함량, 일반성분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건조수율과 총 페놀함량은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가열조건에서 추출하였을 때 각각 4.3%와 51%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일반성분함량은 섬유질이 가장 높았고 회분과 단백질 및 조지방이 3% 내외로 함유되어 있었다. 70% 에탄올 포도씨 추출물(GSE)과 기존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및 BHT 들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산가, 과산화물가, TBARS에서 GSE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고 DPPH에서의 전자공여능도 95% 정도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Determination and Validation of Synthetic Antioxidants in Processed Foods Distributed in Korea

  • Park, Hyeon-Ju;Seo, Eunbin;Park, Jin-Wook;Yun, Choong-In;Kim, Young-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97-305
    • /
    • 2022
  • 산화방지제는 활성 산소에 의한 지질 산패를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성을 증대하는 식품첨가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 산화방지제 5종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Tertiary butylhydroquinone (TBHQ), Propyl gallate (PG),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2 Na))을 이용하여 HPLC-UVD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 및 합성 산화방지제가 표시된 실제 식품 속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직선성(R2)은 평균 0.9997,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각각 0.02-0.53과 0.07-1.61 mg/kg으로 산출하였다. 일내 및 일간 정확성과 정밀성 산출을 위하여 합성 산화방지제 4종은 콩기름과 과자, EDTA는 통조림과 마요네스를 이용하였다. 정확성과 정밀성 결과, 일내와 일간 각각 83.2±0.7-97.8±4.4와 86.2±3.3-98.3±2.1 및 0.1-6.4와 0.7-5.7 %RSD로 산출되었다. 또한 FAPAS QC material을 이용하여 실험실간 정확성 및 정밀성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AOAC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측정불확도 역시 CODEX에서 제시한 범위인 16%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민 건강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국내 산화방지제의 섭취량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