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TongBiEum(TBE) on Hyperlipidemia Induced by a Sucrose-rich Diet

  • Oh, Yong-Seong;Kim, Yoon-Sik;Seol, In-Cha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63
    • /
    • 2003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BE on hyperlipidemia. Methods : We studied the effects of TBE on hyperlipidemia through gene expressions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and serum triglyceride as well as total and HDL-cholesterol levels, and perceived histological changes. Results : The present studies demonstrate that TBE can reduce the rise in plasma cholesterol and TG levels induced by a high-cholesterol diet and also reverse pre-established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riglycemia. In the TBE group total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TG levels decreased, but HDL-cholesterol levels also decreased. In the analysis of absolute and relative liver weight, TBE inhibited the weight gain induced by a high-cholesterol diet. In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lipid droplet and apoptotic change in the TBE treated group were l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serum biochemical analysis, a difference of serum AST and ALT changes among groups was not shown, but TG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less and HDL level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TG and cholesterol metabolism, DGAT decreased slightly but ACAT decreased more as compared with control and Lipidil groups. Conclusion : From this study, we can infer that TBE possesses a hypolipidemic effect by inhibiting the intestinal absorption and storage of exogenous and endogenous cholesterol.

  • PDF

Comparison of the anesthetic effects of 2,2,2-tribromoethanol on ICR mice derived from three different sources

  • Lee, Mi Ree;Suh, Hye Rin;Kim, Myeong Whan;Cho, Joon Young;Song, Hyun Keun;Jung, Young Suk;Hwang, Dae Youn;Kim, Kil Soo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270-278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nesthetic effects of 2,2,2-tribromoethanol (TBE, $Avertin^{(R)}$) in ICR mice obtained from three different sources. TBE (2.5%)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at three doses: high-dose group (500 mg/kg), intermediate-dose group (250 mg/kg), and low-dose group (125 mg/kg). Anesthesia time, recovery time, end-tidal peak $CO_2$ ($ETCO_2$),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SpO_2$), body temperature, pH, $PCO_2$, and $PO_2$ of the arterial blood were measured. Stable anesthesia was induced by all doses of TBE and the anesthesia time was maintained exhibited dose dependenc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esthetic duration were found among the three different strains. However, the anesthesia time was longer in female than in male mice, and the duration of anesthesia was significantly longer in female than in male mice in the high-dose group. The recovery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female than male mice in the intermediate- and high-dose groups. In the ICR strains tes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SPO_2$, arterial blood $PCO_2$, and $PO_2$, which decreased after TBE anesthesia, or in heart rate and $ETCO_2$, which increased after TBE anesthesia. In addition, body temperature, blood biochemical marker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liver, kidney, and lung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BE anesthesi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CR mice from different sources exhibited similar overall responses to a single exposure to TBE anesthesia. In conclusion, TBE is a useful drug that can induce similar anesthetic effects in three different strains of ICR mice.

암반기계굴착공법의 적용연구 (Application of TBM/TBE to Mechanical Excavation in Rock)

  • 박철환;김길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권1호
    • /
    • pp.177-189
    • /
    • 1992
  • As tunnel becomes longer and larger, TBM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s of excavatio in rock. This paper describes the degree of operation the degree of availability and penetration rate of TBM and TBE applied in Namsan roadway tunnelling site. Net penetration rate was 1.62m/hr for TBM and 0.72m/hr for TBE. Net penetration rate showed no direct relation to daily advance or penetration time, but the lower bound of penetration rate could be obtained from the relation with daily advance. For both of TBM and TBE, the degree of operation and the degree of availability were 33.8% and 68.6% respectively. Life time of normal cutter was $310m^3$ for TBM and $194m^3$ for TBE, while that of center and gauge cutter was about $50m^3$. When the two machines were compared, TBM showed 80% higher penetration rate, and 40% shorter life time of cutter.

  • PDF

Aspergillus nidulans의 분생포자에 존재하는 $\beta$-Glucosidase에 관하여 (The conidial $\beta$-glucosidase of aspergillus nidulans)

  • 권기선;이재훈;하영칠;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5-340
    • /
    • 1986
  • Aspergillus nid$\mu$tans 의 분생포지에는 두 종류의 $\beta$.glucosidase, 즉 tightly-bound enzyme(TBE)과 loosely-bound enzyme(LBE)이 존재한다. 포자수와 효소활성도가 정비례함을 보아 이 효소의 존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양조건 하에서 의 오랜기잔 방치에도 얼정 수준의 활성을 유치하는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분생포자에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처리를 한 뒤에도 TBE의 환성도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TBE의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6.0, $55^{\circ}C$였다.TBE의 열안정성은 균사체의 $\beta$-glucosidase보다 높았으며, $H^{2+}$이온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LBE와 균사체 $\beta$-glucosidase의 전기영동 양상이 유사한 것으후 보아 율사체와 동일한 효소가 포자의 표면에 존재후L을 알 수있었다.

  • PDF

TBE의 굴착성능 평가를 위한 회전식 절삭시험의 적용 (Application of Rotary Cutting Test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Tunnel Boring Extender)

  • 정호영;전석원;조정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2권4호
    • /
    • pp.243-25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회전식 절삭시험기를 활용하여 TBE (Tunnel Boring Extender)의 굴착효율을 평가하였다. 회전식절삭시험에서 TBE에 의한 굴착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선행 굴착되어 있는 중공형의 암석모사시험체를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회전식 절삭시험기에 설치된 언더커팅 디스크(undercutting disc cutter, UDC)를 이용하여 나선궤적을 따라 암석을 절삭함으로써 TBE에 의한 굴착과정을 모사하였으며, 언더커팅 디스크의 절삭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절삭조건들이 커터작용력 및 비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시험결과로부터 UDC의 커터작용력은 반경압입깊이와 수직압입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 방향의 작용력 중 수직력의 비중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반면 비에너지는 반경방향과 수직방향 압입깊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두 압입깊이의 비에 따라 비에너지가 최소화되는 지점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기투석에 의한 참치 자숙액의 탈염특성 (Desalination of Tuna Boiled Extract by Electrodialysis)

  • 김세권;변희국;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8-74
    • /
    • 1999
  • 우리나라 수산물 통조림의 생산량은 6만 3천톤 (1995)으로 이중에서 참치 통조림이 5만 1천톤으로 약 $81\%$를 차지하고 있다. 통조림 가공시 부산물인 자숙액은 단백질이나 정미성분과 같은 유용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염의 농도가 높아 그 활용에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정미성분 및 단백질 등의 유용성분을 이용하고자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기투석에 의한 최적 탈염조건을 구명하였다. 자숙액 중의 수분, 단백질, 회분 및 지방의 함량은 각각 $59.78\%,\;27.73\%,\;11.56\%$$1.00\%$였으며, 염은 $15.71\%$를 차지하였다. 전기투석에 의한 자숙액의 탈염에 필요한 이온교환막은 분자량 100Da 이상을 회수할 수 있는 AC-110-400과 300Da 이상을 회수할수 있는 AC-220-400을 상호 비교한 결과, 탈염율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단백질의 유실량이 적은 AC-110-400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자숙액의 탈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중에서 자숙액의 농도는 $1\%$ (w/v) 용액에서 탈염시간은 40분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염시간은 길어졌다. 자숙액의 염농도는 탈염초기에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10\%$ (w/v) 자숙액의 탈염시간 240분에서 $95\%$까지 탈염되었다. pH에 따른 자숙액의 탈염은 탈염초기에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탈염이 진행되었지만 최종 탈염율에서 pH 9범위의 알칼리 영역보다 pH 4범위의 산성영역에서 $14\%$ 정도 탈염율이 높았다. $5\%$ (w/v) 자숙액 1$\ell$$90\%$이상 탈염하는데 소요되는 탈염시간은 80분이었으며, 2$\ell$에서는 180분이었다. 투과액의 부피와 종류는 자숙액의 최종 탈염시간 및 탈염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자숙액의 탈염은 주로 자숙액의 농도와 pH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5\%$의 자숙액 1$\ell$, pH 5.9에서 전기투석기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탈염이 가능하였다.

  • PDF

막반응기에서 참치 유문수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참치 자숙액의 연속적 가수분해 (Continuous Hydrolysis of Tuna Boiled Extract using Proteinase from Tuna Pyloric Caeca in Membrane Reactor)

  • 김세권;변희국;전유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7-133
    • /
    • 1999
  • 참치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막반응기에서 연속적으로 효소적 가수분해를 수행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회분식에서 TPCCE를 이용한 자숙액의 최적 가수분해조건은 pH 9.0, 반응온도는 $40^{\circ}C$, 기질인 자숙액에 대한 효소비 50(w/w) 및 기질농도 $1\%$ (w/v)였으며, 이 때 6시간의 반응시간에 의해 약$70\%$의 가수분해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PCCE를 이용하는 것이 시판 단백질 분해효소보다 효과적이었다. 막반응기에서 자숙액을 연속적으로 효소적 가수분해를 수행하기 위한 막반응기의 작동조건의 검토에서, 기질용액을 pH 9 및 $40^{\circ}C$로 조절한 후 자숙액의 반응시간에 따른 가수분해도는 3시간, $1\%$ (w/v) 자숙액에 대한 효소농도는 0,1 g/$\ell$, 자숙액 대 효소비는 100 (w/w), 그리고 기질농도는 $5\%$ (w/v)였으며, 이 때 가수분해도는 약 $60\%$를 나타내었다.

  • PDF

미생물 연료 전지의 반응조 형상에 따른 전기 생산효율 비교 (Comparison of Electricity Generation Efficiencies depending on the Reactor Configurations in Microbial Fuel Cells)

  • 이윤희;어성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1-686
    • /
    • 2010
  • Two different MFC designs were evaluated in batch mode: single compartment combined membrane-electrodes (SCME) design and twin-compartment brush-type anode electrodes (TBE) design (single chamber with two air cathodes and brush anodes at each side of the reactor). In SCME MFC, carbon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were assembled with a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TBE MFC was consisted of brush-type anode and carbon cloth cathode electrodes without the PEM. A brush-type anode was fabricated with carbon fibers and was placed close to the cathode electrode to reduce the internal resistance. Substrates used in this study were glucose, leachate from cattle manure, or sucros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PBS) of 200 mM to increase the conductivity thereby reduce the internal resistance. Hydrogen generating bacteria (HGB) were only inoculated in TBE MFC. The peak power densities ($P_{peak}$) produced from the SCME systems fed with glucose and leachate were 18.8 and $28.7mW/m^2$ at external loads of 1000 ohms, respectively. And the $P_{peak}$ produced from TBE MFC were 40.1 and $18.3mW/m^2$ at sucrose concentration of 5 g/L and external loads of 470 ohms, with a mediator (2-hydroxy-1, 4-naphthoquinone) and without the mediator, respectively. The maximum power density ($P_{max}$) produced from mediator present TBE MFC was $115.3mW/m^2$ at 47 ohms of an external resistor.

TBE 모델을 사용하는 HMM 기반 음성합성기 성능 향상을 위한 하모닉 선택에 기반한 MVF 예측 방법 (Harmonic Peak Picking-based MVF Estimation for Improvement of HMM-based Speech Synthesis System Using TBE Model)

  • 박지훈;한민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4호
    • /
    • pp.79-86
    • /
    • 2012
  • In the two-band excitation (TBE) model, maximum voiced frequency (MVF)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excitation parameter because the synthetic speech quality depends on MVF. Thus,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MVF estimation scheme based on the peak picking method. In the proposed scheme, the local peak and the peak lobe are picked from the spectrum of a linear predictive residual signal. The normalized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peak lobes is calculated and utilized as a feature to estimate MVF. Experimental results of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synthetic speech qual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탈염된 참치 자숙액을 이용한 천연조미료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Seasoning using Desalinated Tuna Boiled Extract)

  • 김세권;변희국;전유진;주동식;김종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2
    • /
    • 1999
  • 탈염된 참치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정미성분 및 단백질등의 유용성분을 이용할 목적으로 막반응기 장치에서 자숙액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으며, 그 가수분해물의 정미성을 검색하여 천연 복합조미료 및 조미간장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참치 자숙액 및 그 가수분해물의 주요 분자량은 9,800Da (TBH-10K TBEH-10K), 3,000 Da (TBE-5K TBEH-5K 및 TBE-1K) 및 990Da (TBE-1K TBEH-1K)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 ATP 및 ADP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MP의 함량이 23.75$\mu$mole/g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inosine이 9.07 $\mu$mole/g이 였다. 분자량별로 분획된 자숙액 분말엑기스 및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함량은 10K, 5K, 1K 순으로 증가하였다. 자숙액의 분말 엑기스중 TBEH-1K아미노산 함량은 glycine ($20.57\%$), glutamic acid ($13.26\%$), alanine ($9.38\%$), proline ($9.06\%$), aspartic acid ($7.35\%$)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며, 이들 아미노산 조성이 전체 아미노산의 약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lycine, proline, alanine, serine의 함량은 약 $42\%$, 감칠맛과 신맛을 내는 아미노산 glutamic acid, aspartic acid의 함량은 $21\%$로 전체 아미노산의 $63\%$가 조미료 개발에 유용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숙액 가수분해물 중 TBEH-1K는 양호한 맛과 관련된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약 $62\%$ 였다. 여러 가지 시판효소로 참치 자숙액을 가수분해시킨 가수분해물들은 관능평가에서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분자량별로 분획한것 중에서 TBEH-lK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복합조미료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TBEH-1K는 SCS 및 BCS보다는 낮았지만 $5\%$ 유의수준내에서 관능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ACS보다는 좋은 평가를 얻었다. 그리고 자숙액 및 그 가수분해물로 제조된 조미간장 원액의 관능평가에서 TBEH-1K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TBEH-1K로 제조된 조미간장 원액과 양조간장을 50 : 50(v/v)로 혼합한 혼합간장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산분해 화학간장의 대체품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