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PING

Search Result 5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eaching Environmental Subjects (중등교사들의 환경교육 수업에 대한 교사 전문성 분석)

  • Son, Yeon-A;Myeong, Soo-Jeong;Choi, Don-Hyung;Min, Byeong-Mee;Kim, Kyoung-Ran
    • Hwankyungkyoyuk
    • /
    • v.22 no.2
    • /
    • pp.43-55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fessionalism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aching environmental subje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431 secondary school teachers from 34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A 5-point Likert scale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on their professionalism i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Hungerford et al.'s (1994) evaluation criteria. Two middle school teachers' classes were observed, and video taping and interviewing were also conducted. The survey analysis revealed that teachers evaluated their professionalism on environmental subjects to be a little above the middle of the scale. The mean values were 2.80 for the foundation level; 2.86 for the conceptual awareness level; 2.84 for the investigation level; 2.94 for the environmental action skills level; and 2.84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level. However, class observations revealed that there was some gap between their self-evalua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actual classroom application. Both classes were not that satisfactory with regard to 'the abilities to communicate and apply ecological concepts', 'the ability to clarify the roles of different value systems for environmental issues and personal values in decision making', 'the ability to clarify their own value system regarding solutions to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ability to apply citizen action skills for solving environmental issues 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ults provide a basic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related education.

  • PDF

Formation Control of Calcium and Magnesium Compounds by Electrodeposition Process in Seawater (해수 중 전착 프로세스에 의한 칼슘 및 마그네슘 화합물의 형성 제어)

  • Park, Jun-Mu;Hwang, Seong-Hwa;Choe, In-Hye;Gang, Jun;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4-164
    • /
    • 2017
  • 해양환경 중 많이 사용되는 철강재료들은 그 가혹한 부식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피복 도장방식법이나 음극방식법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음극방식법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해중부 부식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방식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해수 중 철강재에 음극방식을 적용할 경우, 피방식체인 그 강재 표면에 해수 중 용존된 산소의 음극환원 반응이 일어나며 국부적인 알카리 표면 조건을 형성시켜 $Mg(OH)_2$$CaCO_3$의 막을 석출시킨다. 이와같이 음극방식 중 형성된 전착물은 방식해야 될 표면적을 감소시켜 방식전류밀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게 석출된 전착물은 음극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여러 가지 환경 조건 등의 영향을 받아 그 피막의 형성 정도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극방식 설계 시 그 정도에 따른 영향을 고려-반영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 전착물은 그 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해석이나 강도, 균일한 밀착성, 장기적인 방식효과 및 효율성 등이 아직 충분히 입증되어 있지 않은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 중 다양한 전착 프로세스에 의해 제작된 전착물의 기간별, 도장코팅 종류별 특성변화를 분석 및 평가하고, 전착물에 의한 희생양극 소모전류 변화 측정 분석을 통해 전착막을 균일하고 치밀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석출속도, 밀착성 및 내식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수 중 기체를 용해시켜 제작한 막의 특성을 분석-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강 기판은 일반구조용강(KS D 3503, SS400)으로 ${\varnothing}42.7{\times}1,000mm{\times}4.0t$의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인가된 전류밀도는 1, 3 및 $5A/m^2$이고 도장 코팅 종류별 전착 석출물의 형성차이 비교 분석을 위한 실험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많이 사용되는 Universal Epoxy 도료 2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Steel Wire Mesh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esh를 설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간별-도장 종류별 외관관찰, 전착물의 두께 측정, SEM, EDS 및 XRD를 통해 막의 모폴로지, 조성원소 및 결정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전착물의 내식성과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테이핑 테스트(Taping Test) 및 전기화학적 양극분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희생양극 소모율에 대한 전착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전착 피막을 형성시킨 강 기판에 희생양극을 연결하여 희생양극 소모효율 측정 시험을 진행하였다. 전착물의 석출량은 시간 및 전류밀도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음극전류 인가 시 금속과 용액 계면 사이의 확산층에서 발생한 $OH^-$ 이온으로 인해 금속과 용액 계면 사이 pH가 부분적으로 증가하여 $Mg(OH)_2$ 화합물이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Mesh의 부착으로 평활하지 않게 형성된 미세한 굴곡구조 및 표면적 증가로 인하여 단계적으로 피복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지연되면서 $CaCO_3$에 비해 $Mg(OH)_2$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CaCO_3$(Aragonite) 구조는 견고한 피막으로 치밀하고 화학적 친화력이 높아 우수한 밀착성을 보였으며 전착물의 영향으로 양극 전류가 감소하였고, 이로인해 방식전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fluence of Dissolved Gases on Crystal Structure of Electrodeposition Films Containing Calcium and Magnesium in Seawater (해수 중 칼슘 및 마그네슘을 포함한 전착 코팅막의 결정구조에 미치는 용해 기체의 영향)

  • Park, Jun-Mu;Seo, Beom-Deok;Lee, Seul-Gi;Kim, Gyeong-Pil;Gang, Jun;Mun, Gyeong-Man;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116-116
    • /
    • 2018
  • 부식은 재료와 사용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두께의 감소와 균열의 발생 및 파손 등의 문제로 나타난다. 특히 사용환경 중에서 해수 분위기는 금속의 부식에 가장 유리한 조건이다. 따라서 해양환경 중 항만이나 조선 및 해양 산업 등에 많이 이용되는 강 구조물은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장방식이나 음극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음극방식은 피방식체를 일정전위로 음극 분극하는 원리로써 외부전원을 인가하거나 비전위의 금속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방식하는 방법이다[1]. 한편, 해수 중에서 이와 같은 원리로 음극방식 할 경우에는 피방식체인 강재표면에 부분적으로 칼슘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 등의 생성물이 부착하는 현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산화마그네슘($Mg(OH)_2$)및 탄산칼슘($CaCO_3$)을 주성분으로 하여 석출되는 석회질 피막(calcareous deposits)은 피방식체에 유입되는 음극방식 전류밀도를 감소시켜 주거나 물리적 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외부의 산소와 물 등 부식환경으로부터 소지금속을 보호한다[2]. 그러나 석회질 피막은 소지금속과의 결합력, 막의 균일한 분포, 내식성 및 제작시간의 단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환경 조건 등의 영향을 받아 그 피막의 형성 정도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극방식 설계 시 그 정도에 따른 영향을 고려-반영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출속도, 밀착성 및 내식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착프로세스를 통해 해수 중 기체를 용해시켜 석회질 피막을 제작하고 막의 결정구조 제어 및 특성을 분석-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강 기판(Steel Substrate)은 일반구조용강(KS D 3503, SS400)을 사용하였으며, 외부전원은 정류기(Rectifier, xantrex, XDL 35-5T)를 사용하여 3 및 $5A/m^2$의 조건으로 인가하였다. 양극의 경우에는 해수에 녹아있는 이온 이외에 다른 성분들이 환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용성 양극인 탄소봉(Carbon Rod)을 사용하였다. 이때 석출속도, 밀착성 및 내식특성 향상을 위해 해수에 주입한 기체의 양은 0.5 NL/min였으며, 기판 근처에 고정하여 음극 부근에서의 반응을 유도하였다. 각 조건별로 제작된 막의 표면 모폴로지, 조성원소 및 결정구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석회질 피막의 밀착성과 내식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규격에 따른 테이핑 테스트(Taping Test, ISO 2409)와 3 % NaCl 용액에서 전기화학적 양극 분극 시험을 진행하여 제작된 막의 내구성과 내식성을 분석-평가하였다. 시간에 따른 전착막의 외관관찰 결과 전류밀도의 증가와 함께 상대적으로 많은 피막이 형성되었고, 용해시킨 기체에 의해 더 치밀하고 두터운 피막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 및 결정구조 분석 결과 $Mg(OH)_2$ 성분의 Brucite 및 $CaCO_3$ 성분의 Calcite 및 Aragonite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용해시킨 기체의 영향으로 $CaCO_3$ 성분의 Aragonite 구조가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밀착성 및 내식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해수 중 용해시킨 기체에 의해 제작한 시편의 경우 견고하고 화학적 친화력이 높은 Aragonite 결정이 표면을 치밀하게 덮어 전해질로부터 산소와 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기체를 용해시키지 않은 3 및 $5A/m^2$ 보다 비교적 우수한 밀착성 및 내식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rystal Structure Control of Deposit Films Formed by Electrodeposition Process with Dissolved Gases in Seawater and Their Properties (해수 중 용해시킨 기체에 의해 제작한 전착 막의 결정구조 제어 및 특성 평가)

  • Park, Jun-Mu;Choe, In-Hye;Hwang, Seong-Hwa;Gang, Jun;Lee, Chan-Sik;Lee, M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64-164
    • /
    • 2016
  • 항만 및 해양 구조물은 육상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가혹한 해수 환경에서 사용되며 계속적으로 부식 손상을 받는다. 따라서 강구조물이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식은 물론 철저한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한편, 현재 해양환경 중 항만, 조선, 해양산업 등에 많이 이용되는 강구조물은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도장방식이나 음극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음극방식은 피방식체를 일정전위로 음극 분극하는 원리로써 외부전원을 인가하거나 비전위의 금속을 희생양극으로 연결하여 방식하는 방법이다. 이와같이 해수 중 음극방식을 실시할 경우 해수 중 용존하는 많은 이온들 중에서 특히 $Ca^{2+}$ 이나 $Mg^{2+}$ 이온이 탄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하는 화합물로 형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전착막은 산소 확산을 방지하는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고 부식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전착막은 소지 금속과의 결합력이 불균일 함은 물론 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 중 음극방식 응용 원리에 의해 전착막을 형성하고, 석출속도, 밀착성 및 내식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수 중 기체를 용해시켜 제작한 막의 특성을 분석-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판(substrate)은 일반구조용 강(SS400)을 사용하였으며, 면적은 $70mm{\times}30mm$, 두께는 1 mm로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외부전원은 정류기(Rectifier, xantrex, XDL 35-5T)를 사용하여 3 및 $5A/m^2$ 의 조건으로 인가하였고, 양극은 Carbon Rod를 사용하였다. 이때 해수에 주입한 이산화탄소의 양은 0.5 NL/min 였다. 각 조건별로 제작된 전착막에 대해 외관관찰, 석출량, 모폴로지, 조성원소 및 결정구조 분석을 실시하였고, 밀착성 및 내식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테이핑 테스트(Taping Test, JIS K 5600-5-6)와 3.5 % NaCl 용액에서 전기화학적 양극 분극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전착막의 외관관찰 결과 전류밀도의 증가와 함께 상대적으로 많은 피막이 형성되었고, 용해시킨 기체에 의해 더 치밀하고 두터운 피막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 및 결정구조 분석 결과 $Mg(OH)_2$ 성분의 Brucite 및 $CaCO_3$ 성분의 Calcite 구조 및 Aragonite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용해시킨 기체의 영향으로 $CaCO_3$ 성분의 Aragonite 구조가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이는 해수 중 용해된 이산화탄소의 영향으로 인해 풍부한 ${CO_3}^{2-}$ 이온이 형성되고 용액 pH를 낮게 유지시켜 Ca 화합물 형성이 용이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밀착성 및 내식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해수중 용해시킨 기체에 의해 제작한 시편의 경우 견고하고 화학적 친화력이 높은 Aragonite 결정이 표면을 치밀하게 덮어 전해질로부터 산소와 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기체를 용해시키지 않은 $3A/m^2$$5A/m^2$ 보다 비교적 우수한 밀착성 및 내식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of Newborn's Behavior Response on the Nurse-Newborn Play Interaction (신생아의 행동반응에 대한 실무교육이 간호사와 신생아와의 유희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Yang, Young-Ok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 /
    • v.5 no.1
    • /
    • pp.1-2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service education on the nurse-newborn play interaction. The research design adopted the pre-experimental design applied only for one pretest-posttest group and Barnard's mother-infant interaction model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subjects were 26 nurses who were selected from 2 nurseries in general hospital in Pusan, and 52 healthy newborns who were after 4 days from birth during data collection period at the same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st to October 5th in 2001, by video-taping for the interactive behaviors between the nurse and the newborn, played for 5 minutes in nurseries 2 weeks before and after in-service education. The in-service education consisted of the newborn's behavior responses focused on the newborn baby's states, behavior, cues and state modulation, 3 times per 1 week, 90 minutes per 1 time, lecture, demonstration and hand out project. The experimental tool used for this research was Ha Young-Soo's Korean translation of the Maternal-Infant Play Interaction Scale by Thompson, Jody Baird, Sara Gordman, Bryant(1982), some parts of which were adapt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other and baby scale by Wolke & James-Roberts(1987) was also modified and used as the criterion of nurse's perception of a newborn bab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is result supported the major hypothesis : After the intervention of in-service education, the nurse and newborn play interaction was promoted. 2. After intervention of in-service education, the nurse perception of newborn, especially the criteria of newborn's reaction was promo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firm that in-service education on the newborn's behavior responses such as states, behavior, cues and state modul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urse and the baby. It elevated the nurse's sensitivities to the baby's needs. Therefore, in-service education can change the conditions of current nursing practice mostly centered on physical care into a better one in which nurses consider the emotional, soci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stages of babies. Accordingly, in-service education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effective nurse-newborn play interaction so positively.

  • PD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Calcareous Deposit Films Formed on Steel Plate by Cathodic Current Process in Marine Environment (해양환경 중 음극전류 프로세스에 의해 강판에 형성된 석회질 피막의 특성 분석)

  • Park, Jun-Mu;Kang, Jae Wook;Choi, In-Hye;Lee, Seung-Hyo;Moon, Kyung-Man;Lee, Mye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49 no.2
    • /
    • pp.166-171
    • /
    • 2016
  • Cathodic protection is widely recognized as the most cost effective and technically appropriate corrosion prevention methodology for the port, offshore structures, ships. When applying the cathodic protection method to metal facilities in seawater, on the surface of the metal facilities a compound of calcium carbonate($CaCO_3$) or magnesium hydroxide($Mg(OH)_2$) films are formed by $Ca^{2+}$ and $Mg^{2+}$ ions among the many ionic components dissolving in the seawater. And calcareous deposit films such as $CaCO_3$ and $Mg(OH)_2$ etc. are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steel product. These calcareous deposit film functions as a barrier against the corrosive environment, leading to a decrease in current demand.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calcareous deposit film is a compound like ceramics. Therefore, there may be some problems such as weaker adhesive power and the longer time of film formation uniting with the base metal.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and control the optimal condition through applying the principle of cathodic current process to form calcareous deposit film of uniform and compact on steel plate. The quantity of precipitates was analyzed, and both the morphology, component and crystal structure were analyzed as well through SEM, EDS and XRD. And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it was elucidated mechanism of calcareous deposit film formed in the sacrificial anode type (Al, Zn) and current density (1, 3, $5A/m^2$) conditions. In addition, the taping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dhesion.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 II Appraisal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raffic Injuries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 (AGREE) II를 이용한 교통사고 상해증후군의 국내·외 기개발 임상진료지침의 평가)

  • Park, Kyeong-Won;Lee, Jun-Seok;Kim, Hyun-Tae;Park, Sun-Young;Heo, In;Shin, Byung-Cheul
    •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
    • v.31 no.4
    • /
    • pp.129-14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s) of traffic injuries, which has already been developed at domestic or outside of country, and to explore the Korean medical treatments included in the CPGs. Methods Twelve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Chinese Academic Journals, CAJ}],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KoreaMed, Korean Medical Guideline Information [KoMGI),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 [AHRQ], Core Outcome Measures in Effectiveness Trials Initiative Website [COMET], Turning Research into Practice [TRIP],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and Med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MedRIC]) up to July 2021 were searched. Only systematically developed CPGs for traffic injuries were selected and appraised. The appraisal was conducted by using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 (AGREE) II tool. Results Six CPGs were included and evaluated. All CPGs were appraised as highly recommended because they exceeded 60% in more than 4 among 6 domains of AGREE II, including domain of 'rigor of development', and 30% in the rest. Recommendations related to Korean medicine treatments such as on manual therapy related to Chuna were given in 6 CPGs, 4 for acupuncture, 1 for Qigong and 1 for Taping. Conclusions The 6 CPGs were developed up to now through a systematic development methodology and there were many recommendations for Korean medical treatments related to manual (Chuna) treatment, acupuncture and Qigong. However, the evidence for the side effects and risk factors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was scantly reflected in CPG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balanced CPG with benefits and risks should be developed, covering Korean medical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Effect of tension difference of kinesio tape applied to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on muscle strength,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of the ankle joint in young college students (키네시오 테이프의 장력 차이가 젊은 대학생들의 발목 근력,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 Lee, Dae Hoon;Kim, Cho In;Shin, Gi Ha;Yeom, Yoo Jin;Kim, Ji Sung;Kim, Seong Ho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 /
    • v.29 no.2
    • /
    • pp.28-37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the tension of Kinesio tape applied to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on muscle strength,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of ankle joint in young adul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41 you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subjec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two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tension difference (10%G, n=20).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nsion in the control group (0%G, n=21). Jtech power track II, goniometer, and Biorescue were used to measure muscle strength,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Th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aping, and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 1) As a result of measuring muscle strength of each group, all measurements except 0%G of plantar flexion showed insignificant results. 2) Measurement of joint range of motion each group showed that neither 0%G nor 10%G was significant. 3)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dncing ability of each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length, and average speed of the balancing capability (p<.05). 4) Comparisons between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 among balance capability (p<.05).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ension difference of Kinesio tape applied to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shows little effect on the muscle strength, range of motion, and balance of ankle joints. Given the current lack of research on the tension of kinesio tapes many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clear the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