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NK 모형

Search Result 39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Flood Simulation with the Variation of Runoff Coefficient in Tank Model (탱크모형의 流出孔 乘數 변화를 고려한 홍수모의)

  • Lee, Sa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1 no.1
    • /
    • pp.3-12
    • /
    • 1998
  • Rainfall intensity under storms affects peak discharge or its time of occurrence in watershed runoff. Thus, it is reasonable to reflect the effect on the parameters of rainfall-runoff models or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models. This paper relates the change of the runoff coefficient of the first tank in tank model to rainfall intensity under storms. The standard four tanks have made the basic structure of the flood event model. and its modifications are as follows: it has two equal runoff coefficients in the first tank: the runoffs from first and second tanks produce delayed response through a simple delaying parameter. Applying the event simulation model to flood data from Naerinchon. runoff coefficients were estimated and their relation to rainfall intensit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Weak relation of the two factors. The trend of the two was fitted with the equation a1=kI$. where a1is the runoff coefficient of the first tank: I is rainfall intensity; k and m are fitting coefficients. In the verification. the model used moving averages for the calculation of I(t). If the value I(t) gave more greater value of a1(t) than that of previous time(t-1). the flood simulation was performed again from the beginning with the updated greater value of a1. The reflection of rainfall intensity on the runoff coefficient showed far better results than that of a fixed parameter.

  • PDF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for Pipe Network with Surge Tank regarding Unsteady Effect (부정류 효과를 고려한 조압수조가 있는 상수관망의 파괴확률)

  • Kwon, Hyuk-Jae;Lee, Cheol-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0
    • /
    • pp.785-793
    • /
    • 2009
  • Numerical model which can simulate the surge tank for unsteady flow w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Furthermore, reliability model which can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regarding unsteady effect was developed. For the risk estimation of pipe breakage and functional estimation of surge tank,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for pipe network with surge tank was calculated regarding unsteady effect.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unsteady flow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and surge tank considerably decrease probability of pipe breakage as damping out the pressure oscillations.

Determination of Daily Pollutant Loadings Using TANK Model (탱크모형을 이용한 일별 오염부하량의 산정)

  • 엄명철;권순국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8 no.3
    • /
    • pp.92-100
    • /
    • 1996
  • In order to control the water quality in rivers or lakes, it is needed to evaluate accurate amount of pollutant loadings from watersheds. The daily pollutant loadings were simulated using the pollutant loading calcu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mathematical equations superimposed on the TANK model. The calibration of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parameters were carried out with observed data, using a trial-and-error method. In addition,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for the representative watershed, the Bokha river watershed, Icheon city, Korea. The parameters of SS and T-P showed large values in the first tank while T-N showed large in the second tank.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daily pollutant loadings by the pollutant loading calculation model, all of SS, T-N and T-P loadings wer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unoff discharge. Especially, it was apparent that SS and T-P loading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runoff variation when it was rain. These results could partly explain that SS and T-P would occur mainly from the surface runoff while T-N would occur from both surface and subsurface flow.

  • PDF

Tank 모델에 의한 형산강 하천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 윤한삼;이인철;류청로;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8-16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Tank model의 이론과 구조를 설명하고, 형산강 수계의 강우-증발-유량관측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이를 기준값으로 하여 각 매개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Tank model 매개변수들의 특성은 앞으로 형산강에 대한 하천 유출량 산정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검증되어진 Tank모델을 사용하여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5년간의 강우량, 증발산량 자료를 바탕으로 형산강 일별 하천 유출량을 산정하고 계절별, 권역별 하천수의 유하 특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중략)

  • PDF

Flow Duration Curve Analysis for Nak-dong River Basin TMDL Using TANK Model (TANK 모형을 이용한 오염총량관리 목적 낙동강 유황 분석)

  • Kim, Sang-Dan;Kim, Jae-Chul;Kang, Doo-Ke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48-1052
    • /
    • 2007
  • 그동안의 하천 유량자료는 주로 홍수방어를 목적으로 구축되어진 관계로 대부분 홍수기에만 의미있는 자료를 갖추고 있으며, 환경관리에 필요한 저갈수기 유량자료는 그 신뢰도가 매우 떨어지고 있다. 다행히 지난 2004년 하반기부터 4대강 물환경 연구소에서 직접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말단부에서 8일 간격으로 유량과 수질을 동시에 측정하기 시작하였고, 사업의 결과 건기 우기의 구별 없이 연중 일정한 간격으로 하천유황 및 수질의 변동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각 단위유역별 유황곡선을 작성할 목적으로 8일 간격 유량자료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현재 관측 중인 8일 간격 유량자료만으로는 동시 관측이 진행 중인 수질항목과 유량 사이의 상관관계 정도를 파악한다거나, 어떤 방법으로든 수문모형을 구축한 후 이를 부분적으로 검정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하는 정도로 그 용도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오염총량관리 41개 단위유역 전체를 대상으로 관측된 8일 간격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1일 간격 유량자료로 확장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TANK 모형에 하도추적기능을 추가한 보다 진보된 TANK 모형을 구성하였다. 낙동강 단위유역별 취수량과 방류량을 바탕으로 한 물수지 자료 또한 구비하여 모형에 고려되도록 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하여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에서 8일 간격으로 관측한 유량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모의된 일유량이 실제 유량을 비교적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8일간격 유량관측자료의 일유량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축된 모형은 적용에 앞서 10년 평균 저수량을 기준으로 1차 오염총량관리 기준유량과의 비교를 시도하였으며, 상류 댐 방류의 영향 및 물수지의 영향을 배제한 상태의 자연유량을 산정하여 이를 현재 유황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현재유량과의 비교 결과 다목적 댐의 방류효과로 인한 유량 증가효과 및 대규모의 취수로 인한 유량 감소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산정된 자연유량을 통하여 비유량을 산정한 결과 $5,000km^2$이하인 유역 면적의 경우 비유량 $0.0048m^3/s/km$를, $5,000km^2$이상인 경우에는 비유량 $0.0043m^3/s/km$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에 유역의 물이용 및 상류의 댐 방류 효과가 고려되면 실제 유역의 저수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TANK Model) in Paddy Field Area (논에서의 수질예측 모형(탱크 모형) 적용)

  • Kim, Byoung-Hee;Yoon, Chun-Gyeong;Jeon, Ji-Hong;Hwang, Ha-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0a
    • /
    • pp.461-464
    • /
    • 2002
  • This study is to application the TANK modle for Ponding depth and discharge, T-N, T-P simulation from paddy field area. Simulation coefficient of correlation for Ponding depth and discharge, T-N, T-P were 0.89, 0.60, 0.99, 0.91 respectively. advanced purposes are development of agriculture runoff character modeling and applic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 with this study model.

  • PDF

Sensitivity Analysis for Tank Model's Parameters by Apply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quations (잠재증발산식 적용에 따른 Tank 모형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 Rim, Chang-Soo;Lim, Ga-Hui;Lee, Won;Kim, J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58-358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라 강수량과 증발산량이 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출량도 변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으며, 댐 유역의 유출량 산정은 홍수나 용수의 확보측면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탱크모형은 일본의 Sugawara가 1961년 처음 개발한 모형으로 유역을 오리피스 유출공을 가진 저류형 수조의 조합으로 가정하여 유량을 산정하는 유출모형으로 매개변수가 많고, 이들을 시행착오로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경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나 계산법이 명확하고 수문현상을 잘 재현한다는 장점이 있다. 탱크에는 강수량, 유출량, 그리고 증발량과 같은 입력 자료가 필요하며, 정확한 실제 증발산량 값을 알기는 어렵기 때문에 물수지를 이용해 증발산량을 계산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유출량 미계측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태양복사에너지, 온도, 바람, 기압, 습도와 같은 기상학적 인자에 따라서 잠재증발량을 산정하여 탱크 모형의 입력 자료로 사용한다면, 유출량자료가 없는 유역에서도 탱크모형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댐유역과 합천댐유역의 유출량 산정을 위해 잠재 증발산량 산정식(Penman, FAO P-M, Makkink, Preistley-Taylor, Hargreaves)을 적용하여 Tank 모형 매개변수들의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섬진강댐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 옥정리와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사이에 있으며, 유역면적은 $763km^2$, 댐 높이는 64m, 제방길이 344.2m 댐으로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적용기간은 1975년~1992년이다. 합천댐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에 있는 댐으로 높이 96m, 길이 472m, 유역면적 $925km^2$의 다목적 댐이며,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적용기간은 1989년~1999년이다.

  • PDF

The Evaluation of Strength for the Corner Block Structure in the LNG Tank using Sloshing Pressure of the Scaled Tank (모형수조 슬로싱 하중을 이용한 LNG 탱크 코너블럭(Corner Block) 구조물의 구조강도 평가)

  • Park, Jun Hyeong;Park, Si Jong;Kim, Seong Hoon;Choi, Jae Min;Jun, In Ki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6 no.5
    • /
    • pp.327-33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sloshing pressure of a actual tank by using measured pressure in scaled down tank and to evaluate with structural strength of LNG Corner Block.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sloshing analysis about 138K class tank by using Ansys CFX program, and were measured both average pressure and maximum peak pressure according to scaled tank ratio. Also, measured pressure was converted to pressure of the actual tank by Froude scale law, and we conducted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strength about the conner block of actual size KC-1.

Development of Optimal Septic Tank in the Countries of Water Shortages (물 부족국가에서 활용가능한 정화조의 최적모형 개발)

  • Lim, Bong-Su;Jing, Hai-L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1 no.4
    • /
    • pp.418-427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lab-scale novel septic tank system for improving the conventional septic tank in the developing countries of water shortages. The lab-scale novel septic tank system consists of sepetic tank, aeration tank with HBC-ring, and sand filter. Optimum HRT was reguired about 1.5days to get a total COD removal efficiency of 90%, COD, BOD and SS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70%, 60%, and 85% in sepetic tank only. The structure of sepetic tank with two stages results in the high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When sepetic tank, aeration tank, and sand filter were more than HRT 1.5days, 18hrs, and 12hrs, respectively, final effluent was less than 20 mg/L of BOD, 14 mg/L of SS, so that there is a high potential of its use for reusing water in flush toile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HRT change on nutrient removal. Tot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40%, final effluent was 30~40 mg/L of TN, total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11~25%, final effluent was 9~12 mg/L of TP. Because there is very small amounts of 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in effluent, it was possible to reuse water for agricultural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