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140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22초

Thyroid hormone 처리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착저, 생존 및 성장 (Effects of Thyroid Hormones on Settlement, Survival and Growth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Larvae)

  • 방인철;김윤;김경길;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3-140
    • /
    • 1995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높은 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thyroid hormone을 이용하여 착저를 유도하였다. 적정 처리 시기를 알기 위하여 발달 단계가 서로 다른 변태 전 단계(pre-metamorphic stage)와 초기 변태 단계(early metamorphic stage)의 자어를 이용하였고, triiodothyronine $(T_3)$ 및 thyroxine $(T_4)$두 종류의 thyroid hormone을 0.02,0.04,0.08 및 0.16ppm의 다양한 농도로 침지 처리하였다. 변태 전 단계의 자어에 있어 착저가 완료되는 시기는 0.02 ppm $T_3$$T_4$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2일 단축되었고, 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시기가 짧아져서 가장 높은 농도인 0.16 ppm $T_3$ 처리군은 7일이 단축되었다. 변태 초기 단계에서는 각각 4일 및 7일 단축되었다. 한편 호르몬 종류에 따른 착저 유도 효과는 $T_4$보다 $T_3$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은 변태 전 단계 실험군 중 대조군이 $90.7\%,\;T_3$ 처리군이 $85.6\~73.6\%,\;T_4$ 처리군이 $89.7\~80.7\%$로 호르몬 처리군이 다소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초기 변태 단계 실험군에 있어서는 대조군이 $96.0\%,\;T_3$$T_4$ 처리군이 $92.7\~99.3\%$로 큰 차이가 없었다. 성장에 있어서 호르몬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약간 낮았으나 0.02 ppm $T_4$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 PDF

입원한 영유아의 심첨 맥박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Apical Pulse Measurement Technique Through Hospitalized Children)

  • 조경미;김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48-5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st accurate technique measuring the apical pulse rate, using three counting duration 15, 30 and 60 seconds, and two methods start ‘0’ and start ‘1’. 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as the EKG monitor, stethoscope and stopwatch.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SPSSWIN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made up of 46 children and 20 nurses. The children were infants, & under the age of 5. They were hospitalised in PICU & NICU in 2 tertiary hospitals in seoul from Jan. 1. 1998 to Sep. 10. 1998. The measurement of starting 1 & measurement of starting ‘0’ used the T-test to find out the measurement error. Apical pulse duration of 15, 30, 60 seconds were used to find out measurement error, the measurement error depend on experience of Nurse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en comparing the starting poin of apical pulse 0&1, starting with 1 the measurement error is less, but not statiscally significant. 2. When counting the apical pulse by 15, 30,60 sec. ; 60 seconds counting duration was more accurat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mean of measure error ; Group under 100/min, is 10.33 ; from 100 re 119/min, is 8.30 ; from 120 to 139/min, is 4.76 ; from 140 to 159/min, is 6.09 ; above 160, is 17.83. The differences of these grou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60sec were counted, under 140/min the mean of measurement error is 3.4. Also when 30 seconds were counted from 140/min to 159/min the measurement error is 7.14, above 160/min the measurement error is 16.4. That measurement mean is the smallest than the other durations. During the 15 sec. count the measurement error was the largest of them all. 4. By the experience of the nurses, the apical pulse count measurement error was discovered. Under a year experience this measurement error was the largest(11.09), 1 year to under 3 years, the error is the smallest(4.86). 3 year to under 6 years the error is 8.33, 5 years above the error is 6.11 but this is not statistical significant. Under a year experience when counting 15, 30, 60 seconds the error is the largest. The group of the nurses from a year to under 3 years, the measurement error is the smallest of all the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technique measuring the apical pulse rate, Hargest (1974), starting point ‘0’ is not proved. When the pulse rate increases the 30 sec measurement rate is accurate. Under 140/min the 60 sec measurement rate is the most accurate. Depending on the nurses experiences, there is a variable difference to the apical pulse rate measurement. Especially new nurses training courses should enforce the children’s pulse rate count and the basic vital signs.

  • PDF

부산지역 유흥업소 종사여성으로부터 분리된 HPV16형의 발암유전자(E6/E7) 돌연변이 유형 분석 (Intratypic Variants of HPV-16 E6jE7 Oncogene Isolated from Sexually High-Risk Women in Busan.)

  • 민상기;김성순;최병선;장대호;이미옥;최성화;김남호;박연경;정영아;김성준;빈재훈;박호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65-769
    • /
    • 2009
  • HPV-16형의 염기배열 변이는 지역적, 인종적으로 특징적인 차이가 있으며 특히 HPV-16형 E6/E7 유전자의 특정 염기 서열변이는 자궁경부암 및 자궁상피내 신생종양물의 발생을 일으키는 고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부산지역 유흥업소 종사여성으로 분리된 HPV-16형 19건을 대상으로 E6/E7 유전자 영역(nt 34-880)을 표적으로 지역적 염기 서열 변이를 조사하였다. nucleotide 수준에서 HPV16형 E6 유전자는 T178G (n=11), T178A (n=1), T350G (n=4), A442C (n=2), A104T, A111G, C116T, G145T, T183G, C335T, G522C 등 11종의 변이주가 발견되었고, E7 유전자는 A647G (n=12), A645C, A777C, G663A, T732C, T760C, A775T, T789C, T795G 등 9종의 변이주가 발견되었다. 아미노산 수준에서는 HPV-16형 E6 단백질의 경우 D25E (n=12), L83V (n=4), E113D (n=2), MIL, Q3R, P5S, Q14H, D25N, 127R, H78Y, C140S 등 11종의 변이주를, HPV16형 E7 단백질의 경우 N29S (n=12), L28F, T72S 등 3종의 변이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부산지역의 HPV-16형 E6/E7 우점 돌연변이주는 E6 D25E (75%), E7 N29S (78%)로 각각 나타났다. 앞으로 자궁경부암 환자 및 일반여성을 포함한 더 많은 모집 단을 대상으로 HPV-16형 E6/E7의 intratypic variants를 비교 조사하여 실제 HPV-16형 E6/E7 어떤 변이주가 자궁경부암 유발 위험성과의 관련성은 더 많이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슬관절 연골 연화증의 진단에서의 Dual Echo in Steady State (DESS) 영상의 유용성 : 급속 스핀에코 자기공명 영상과 비교 (Usefulness of Dual-Echo in Steady State (DESS) Image in Chondromalacia of Knee Joint: Comparison of DESS and Turbo Spin-Echo MR Images)

  • 윤삼현;하두회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66-72
    • /
    • 1999
  • 목적: 급속 스핀 에코 MR영상과 Dual Echo in Steady State(DESS) 영상을 비교하여 슬관절 연골 연화증의 병소 발견에 있어서 DESS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관절경 수술과 자기 공명 영상을 시해안 환자중 수술 소견에서 슬관절의 연골 연화가 있었던 26명(남:여=14:12, 평균 46.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1.5 T 자기 공명 장치를 사용하였고, 급속 스핀 에코 양자 밀도와 T2 강조영상의 게측 게수로써 TR/TE 3000-4200/16-96msec, FOV $140-160{\times}150-160$, matrix size $180{\times}256$, 절편 두께 4.0mm, 절편 간격은 0.5mm로 하였으며, DESS 영상의 계측계수로써 TR/TE 25.4/9.0msec, filp angle $35-35^{\circ}$, FOV $150-160{\times}150-160mm$, matrix size $192{\times}256$, 효과적 절편 두께 1.5mm로 하였으며, DESS 영상은 시상단면을, 양자 밀도 강조 영상과 T2 강조영상은 시상 단면과 관상 단면을 얻어 비교하였다. 영상의 분석은 2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합의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슬개-대퇴 구획, 슬관절의 내측, 외측 구획으로 나누었으며, 자기 공명 영상과 관절경 소견의 등급은 0: 정상, I: 연화 또는 수포, II: 표층 균열, III: 심층 균열, IV: 전층 균열 또는 골노출로 나누었고,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를 구하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상 I등급 7예, II등급 21예, III등급 6예, IV등급은 18예 였으며, 급속 스핀 에코 자기공명 영상에서의 관절경 소견과 구획과 등급이 일치했던 경우는 등급별로 0%, 14%, 0%, 61%로 나타났으며, DESS 영상에서는 각각 0%, 33%, 50%, 67% 이었다(p=0.001). 또한 각 부위에서 등급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고식적 자기공명 영상에서의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는 59.6%, 88.6%, 78.8% 였으며, DESS 영상에서는 73.1%, 88.4%, 82.2%로 나타났다(p=0.007). 결론: 슬관절의 연골 연화증의 진단에 있어서 DESS 영상이 급속 스핀 에코 자기공명영상보다 높은 발견율과 민감도를 보였다. 그러므로 급속 스핀 에코 MR 영상과 더불어 DESS 영상이 슬관절 연골연화즈의 진단에 보다 더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Effects of forestry host plants, rearing seasons and their interaction on cocoon productivity of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in uttarakhand

  • Bhatia, N.K.;Yousuf, Mohd.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0권2호
    • /
    • pp.31-39
    • /
    • 2015
  • Antheraea mylitta Drury (Lepidoptera: Saturniidae) is a commercial silk producing forest insect of India, but it has never been experimented in Uttarakhand state in spite of the huge availability of its forestry host plants. This is the first study on A. mylitta in Uttarakh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forest based commercial rearing of A. mylitta, in tropical forest areas of Uttarakhand to reduce poverty among forest dependent people. In current study, we assessed the effect of seven forest tree species, rearing seasons, and their interactions on cocoon productivity of Daba (bivoltine) ecorace of A. mylitta in the New Forest of FRI, Dehra Dun during 2012 and 2013 and collected the data that was analysed by two-way completely randomized block factorial design. Post HOC Tukey's HSD 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homogeneous pairs of means. We also carried out Evaluation Index analysis to rank the tested forestry host plants for better growth and development of A. mylitta under the climatic condition of Uttarakhand.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cocoon yield of A. mylitta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rearing seasons (DF=1, F=88.24, p<0.05) and host plants (DF 6, F= 368.63, p<0.05); however, their interactions were found insignificant (DF=6, F=0.99, p>0.05). In first rearing season of July-August, there was higher cocoon yield than the second season of September-November. Results indicated that Terminalia alata fed larva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coon yield (164.11 cocoons/300 larvae); followed by, T. tomentosa (148.89 cocoons), T. arjuna (140.00 cocoons) and Lagerstroemia speciosa (129.47 cocoons) fed larvae. Whereas, Lagerstroemia tomentosa fed larvae that was used by the first time in India, showed lowest cocoon yield (48.81 cocoons), followed by T. chebula (72.53 cocoons) fed larvae. Cocoon yield of T. tomentosa and T. arjuna fed larvae of A. mylitt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구강설에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의 특성과 치료효과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result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of oral tongue)

  • 김기호;최은주;김형준;남웅;차인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1호
    • /
    • pp.15-20
    • /
    • 2011
  • Intro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oral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s (SCC) and the treatment result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40 patients diagnosed and treated for oral tongue SCC at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4 were reviewed. For statistic analysis, the survival rate was determin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with SPSS version 12.0, and the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was evaluated using a log-rank test.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oral tongue SCC patients was 55 (19-85 years old). According to the T, N and pathologic stage, the patients were distributed from a higher to a lower incidence of cases, as follows: T2 (46.4%), T1 (37.9%), T4 (8.5%), and T3 (7.1%); N0 (65%), N1 (20.7%), N2 (13.6%), and N3 (0.7%); and stage I (31.4%), stage II(25.7%), stage IV (22.2%), and stage III (20.7%). Local and region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was present in 13.6%, 5% and 4.2% of patients, respectively. The five-year survival rate was 72.2%, and the prognostic factors for oral tongue SCC included neck metastasis, pathologic stage of the disease, cell differentiation, treatment modality, neck dissection as part of the treatment plan, and neck node recurrence. Discussion: It is suggested that ipsilateral neck dissection or bilateral neck dissection should be selected as a treatment of tongue SCC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공중보건간호사제도 관련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System of Public Health Nurse)

  • 이영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3-23
    • /
    • 2016
  • 본 연구는 공중보건간호사제도가 국민보건향상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제도로 도입 될 수 있도록 의료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제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남자간호사 간호의 질 확인을 통해 공중보건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술적 조사를 실시한 융합연구이다. 최종 연구 참여 인원은 의료서비스 제공자(간호사, 의사, 물리치료사 등) 75명, 이용자(입원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 65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기술통계와 Chi-square, t-test로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공중보건간호사제도 도입에 대하여 제공자 집단 77.3%와 이용자 집단 66.2%가 동의하였다. 공중보건의료인으로 가장 적합한 직종으로 제공자의 81.4%, 이용자의 70.8%가 간호사라고 답하였다. 공중보건간호사의 복무기간에 대한 견해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t=7.56, p = .03). 공중보건간호사로서 필요한 간호역량에 대하여 제공자 집단과 이용자 집단 모두 간호전문성 개발 노력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남자간호사 간호의 질 점수는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공중보건간호사로 배출될 남자간호사의 정신 사회적 간호, 의사소통 간호 확인을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ATY 사가공에 의한 Fluffy Spun-like Yarn의 물성 (1)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luffy Spun-like Yarn by ATY Textured (1))

  • 박명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3-231
    • /
    • 2013
  • This research has a main focus on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on-the-spot industrial field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physical properties of fluffy spun-like material. The fluffy spun-like yarn is developed as fluffy yarn similar to natural spun-like yarn by treating polyester(FDY and + type shaped DTY) with ATY machine. In this experiment, using ATY machine for raw material texturing, we produced two fluffy yarns: (i) + type shaped(50d/36f, DTY) as core yarn and 100d/192f FDY as effect yarn[ATY(D)], (ii) FDY(75/36) as core yarn and 100d/192f FDY [ATY(F)] as effect yarn. After producing thous yarns, we twisted them with 500T/M, 700T/M, 1000T/M, respectively. produced yarns through this process were used as the samples for this experiment. Even though the shrinkage of fluffy yarn ATY(F) and ATY(D) becomes high as treated temperature rises and treated time lengthens, it is more affected by treated temperature then by treated time. In this experiment, produced fluffy yarn[ATY(D)] shows a little high values for temperature, but almost same values for higher temperatures. When we compare ATY(F) with ATY(D) fluffy yarn shows more natural fluffy yarn surface structure like natural cotton. The shrinkage of 700T/M twisted ATY(D) fluffy yarn show about 11% under treated temperature $180^{\circ}C$ and treated time 30min, and about 7% under $120^{\circ}C$ and 30min, respectively. But the shrinkage of 1000T/M fluffy yarn shoes about 9% and 6% under same conditions. Regarding treated time, tenacity and initial modulus of ATY(D) fluffy yarn rise high until 30min, but do not show much increase above 30min. Regarding treated temperature, tenacity and initial modulus of it rise high aboyer $140^{\circ}C$.

호텔기업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차이 분석 (Comparison between Regular Workers and Contingent Worke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Hotel Industry)

  • 한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503-51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기업의 고용형태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호텔기업의 경영자 및 인사담당자들에게 고용형태를 기준으로 한 기업성과의 향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2011년 11월 1일부터 2011년 11월 30일까지 30일간 강원지역 특1급 호텔 3곳(A,H,I)에 재직 중인 식음료부서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직원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OCOM 13(나는 진정으로 직장문제가 나의 문제로 생각된다) 항목이 5% 수준(t=2.140)에서, OCOM 8(나는 이 직장에서 오랫동안 근무할 생각이다)이 10% 수준(t=-1.88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각 집단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JSATI 8(교육 및 훈련의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진다) 항목이 5% 수준(t=2.1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기업의 고용형태에 따라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규직 직원의 경우 지속적 몰입요인이 개인적성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몰입은 개인적성 만족에 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안정적인 고용을 위한 장기적인 정책과 직원들의 능력에나 노력에 대한 보상을 통해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가지게 하여 몰입수준을 높이고, 이것이 또한 직무만족수준에도 영향을 미쳐 고객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LPS 자극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칼슘의존성 ROS와 NO 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CLA의 억제효과 (Effect of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on Calcium-Dependent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최태원;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0
    • /
    • 2015
  • 염증상태에서의 CLA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ROS와 NO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t10c12-CLA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세포질 내 칼슘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LPS 자극으로 ROS 생산은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칼슘결합제인 BAPTA/AM에 의해 감소하였다. t10c12-CLA 또한 LPS 자극 RAW 264.7 세포의 ROS 생산 증가를 억제시켰으며 BAPTA/AM과 함께 처리시 더욱 억제되었다. NO의 생산과 NF-${\kappa}B$ p65 활성도 t10c12-CLA, BAPTA/AM, t10c12-CLA와 BAPTA/AM의 동시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증 조건에서 CLA는 과도한 ROS와 NO의 생산 및 NF-${\kappa}B$의 활성을 칼슘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