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Scan system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8초

T-Scan System을 이용한 Maximal Clenching과 Habitual Clenching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Maximal and Habitual Clenching Through T-Scan System)

  • Young-Ku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1989
  • 악구강계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후의 예후를 판정하기 위하여 maximal clenching시에 측정된 tooth contacts의 수와 분포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maximal clenching시 반복된 tooth contacts의 측정은 저작근 피로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연구는 건강한 성인 15명을 대상으로 maximal clenching 및 habitual clenching시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치아접촉 수와 접촉시간을 측정, 비교 검토하여 habitual clenching을 이용한 방법이 Tooth contacts의 연구에 이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bitual clenching시 upright, semisupine position에서의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maximal clenching시의 64.5%, 61.9% 및 73.3%로 나타났다. 2. Maximal clenching시 치아접촉 수와 접촉시간은 16.82개 및 0.429초로 나타났으며 habitual clenching시에는 11.65개 및 0.177초로 나타났다. 3. 치아접촉수와 접촉시간은 체위에 따라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4. 치아접촉수와 접촉시간의 측정시에 habitual clenching을 이용하는 방법이 maximal clenching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재현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Tooth contacts의 연구시 habitual clenching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T-Scan system을 이용한 하악 측방운동 시 교합접촉 분석 (An occlusal contact analysis of lateral mandibular movement using T-Scan system)

  • 송주헌;주세진;이호선;강동완;이경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8-137
    • /
    • 2015
  • 목적: 교합접촉 분석에 대한 연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T-Scan을 이용하여 하악 측방운동시 교합접촉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교합 양상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87명을 대상으로 T-Scan을 이용하여 하악 측방운동시 교합접촉을 분석하였다. 최대교두감합위에서 측방으로 3 mm범위까지 교합접촉을 측정하였으며, 최대교두감합위, 우측방운동, 좌측방운동을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교합접촉은 thin metal foil을 이용하여 재확인하였다. 결과는 균형측 교합접촉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결과: 하악 측방운동시 균형측 접촉 고려 유무에 따라 결과에서 많은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두가지 분류 모두에서 군기능유도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작업측에서는 견치에서 가장 많은 접촉빈도가 관찰되었으며, 견치에서 구치부로 멀어질수록 접촉빈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균형측에서는 제 2대구치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성별에 따른 균형측 접촉 빈도는 여성에서 더 높은 균형측 교합접촉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alpha}$=.05). 결론: 전방유도의 양상 중 군기능유도가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작업측에서는 견치에서 가장 높은 접촉빈도가 관찰되었으며, 균형측에서는 제 2 대구치에서 가장 높은 접촉빈도가 관찰되었다.

Comparison of two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s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 Jeong, Min-Young;Lim, Young-Jun;Kim, Myung-Joo;Kwon, Ho-Beo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49-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Accura to that of the T-scan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subjects were selected. Their maxillary dental casts were scanned with a model scanner. The Stereolithography files of the casts were positioned to align with the occlusal plane. Occlusal surfaces of every tooth were divided into three to six anatomic regions. T-scan and Accura recordings were made during two masticatory cycles. The T-scan and Accura images were captured at the maximum bite force and overlapped to the cast. Photographs of interocclusal records were used as the reference during overlap. The occlusal contacts were counted to compare the T-scan and Accura. McNemar's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corresponding P-values were calculated from a chi-square distribution with one degree of freedom. The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Accura were calculated relative to the T-scan values as a control. RESULTS.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5) were found between the T-scan and Accura methods. The accuracy of Accura was 75.8%, sensitivity was 82.1%, specificity was 60.1%, PPV was 82.9%, and NPV was 60.1%. CONCLUSION. Accura could be another possible option as a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at maximum intercuspation.

컴퓨터 교학분석기인 T-Scan II를 이용한 측방운동시 구치부 이개시간에 관한 연구 (Study of Disclusion Time during Mandibular Eccentric Movement in Myofascial Pain Syndrome Patients by T-Scan II,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 신준한;권정승;김성택;박형욱;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87-197
    • /
    • 2011
  • 측두하악관절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주변 구조물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다수의 임상문제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근막동통은 측두하악관절장애 중 저작근 장애의 한 종류로, 근막 발통점에 의해 발생하는 감각, 운동, 자율신경 증상이다. 측두하악관절장애와 근막동통의 원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어왔다. 특히 교합 원인은 오랫동안 논쟁의 핵심이었으며,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합원인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런 논쟁은 대부분이 측두하악관절장애 본연의 복잡성에서 기인하지만, 부적절하고 부적당한 연구설계, 선정기준, 연구방법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교합분석시 시간과 상대적 힘이 측정가능한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가 소개되었다. 일부 저자들은 T-Scan II를 이용하여 이개시간 개념 및 연장된 구치부 이개시간과 근막통증의 연관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T-Scan II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들은 근막통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의 비교 부재 및 다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하지 못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을 이용하여 30명의 실험군을 선택하고 이를 38명의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근막통증과 구치부 이개시간과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통계적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의 Cronbach ${\alpha}$ 계수는 0.92 였다. 2.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 평가시 양측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개시간 평가시 좌측 우측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근막통증과 이개시간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근막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개시간을 줄이는 비가역적인 치료는 적절치 않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 여러 교합요소와 헬키모 지수 등을 이용하여 증상의 정량화를 고려한 보다 통제된 대규모 환자 집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scan III® system을 이용한 일부지역 노인의 교합양상과 인지기능의 관련성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cclusal status in elderly individuals using the T-scan III® system)

  • 신해은;조민정;최연희;송근배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1권2호
    • /
    • pp.96-101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cclusal status in elderly individuals. Methods: A total of 162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attended the senior citizen center in Daegu city, were included after consent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was obtain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was us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Occlusal status was determined using the T-scan $III^{(R)}$ system.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hi}^2$ test, t-test, one 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3.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use of dentures. Individuals with posterior occlusal status had higher MMSE-K scores than those with anterior occlusal statu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osterior occlusal for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cclusal status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individuals. Active national policies to improve occlusal condi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are needed.

성인의 악하부에 발생한 낭성 림프관종 (Cystic lymphangioma in the submandibular triangle in the adult)

  • 김은경;한원정;김상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1권3호
    • /
    • pp.175-179
    • /
    • 2001
  • Cystic lymphangioma is an uncommon benign developmental tumor of the lymphatic system, seen rarely in adults. A 23-year-old man visited DKUDH complaining of the painless swelling in the right submandibular area. It was reported that swelling had increased since 5 months ago. Clinically, fltriangle uctuant and mobile mass was palpated at the right submandibular area. CT scan showed a large, well-defined, homogenous low density mass, measuring 5.0 × 2.5 × 4.0 cm. T1W MRI scan demonstrated a large, multiseptated homogenous low signal mass with septum and rim enhancement. Proton-density and T2W MRI scan showed mass of high signal intensity. MRI scan was able to delineate better the enhanced multi septation and extent of the lesion. Histopathologically, a lobulated cystic mass lined by a layer of flattened endothelium was observed.

  • PDF

저자장 자기공명영상시스템에서 선주사확산강조영상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Line Scan Diffusion Weighted Imaging at Low Tesl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 홍철표;이동훈;이도완;이만우;백문영;한봉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1-38
    • /
    • 2008
  • 0.32 T 자기공명영상시스템에서 선주사영상기법(line scan imaging)을 이용한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 펄스열(pulse sequence)을 개발하였다. 선주사영상은 단면선택 경사자장과 함께 90도 펄스를 가하여 단면을 선택한 후 y 방향으로 경사자장을 가한 후 180도 라디오파 펄스를 가하여 단면영상의 y-방향 픽셀크기와 같은 너비의 x축에 평행한 띠를 따라 에코가 발생하게 한 뒤 x-방향으로 주파수부호화해서 1차원 k-공간 데이터를 획득하며 이를 1차원 푸리에변환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선주사확산강조영상(line scan diffusion weighted image)을 위해서 한 쌍의 사다리꼴모양의 경사자장을 선주사영상기법의 180도 펄스 전후에 대칭으로 배치하였으며 사용된 확산경사자장기울기의 최대값은 G = 15 mT/m 이었고 최대 b 값은 $301.50s/mm^2$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선주사확산강조펄스열을 이용하여 0.32 T 자기공명영상 장비에서 트리아실글리세롤 팬텀(triacylglycerol, TAG) 및 염화나트륨 수용액 (NaCl = 0.1w/v%) 팬텀 영상을 획득하였다. 또한 1.5 T 자기공명영상시스템에서 단일여기에코평면영상화(single shot echo planar imaging)로 동일한 팬텀의 확산강조영상을 구하였다. 선주사확산강조영상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에코평면영상을 이용한 확산강조영상과 비교하여 자화율차이에 의한 영상왜곡이나 화학이동에 의한 허상들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선주사확산강조영상에서 측정한 염화나트륨 수용액 팬텀의 확산계수($963.90{\pm}79.83{\times}10^{-6}mm^2/s$)는 1.5 T에서 계산된 확산계수($956.77{\pm}4.12{\times}10^{-6}mm^2/s$)와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 PDF

경찰 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T-scan II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 (Occlusal Analysis in the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 임현대;정승아;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65-373
    • /
    • 2006
  • 이 연구는 경찰사회에서의 측두장애환자의 교합상태를 평가하여 습관적인 최대교합시에 교합접촉 시기와 접촉수, 접촉힘을 분석하여 과도한 개구나 이악물기등의 악습관 교정을 제시 하는데 있다. 경찰사회에서는 일반 사회에는 다른 양상의 최대 개구, 습관적인 긴밀한 최대 교합상태 등으로 인하여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복적인 훈련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는 그동안 유지되어 오던 저작근을 비롯한 악구강계 평형 상태에 변화를 초래하여 측두하악관절과 그에 따른 구조물에 동통을 유발 내지는 악화 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합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T-scan II system(Tekscan Co., USA)을 이용하였으며, 최대 교합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약 20 mm 정도의 개구 상태에서 최대교합시까지 물었다. 경찰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는 일반 측두장애환자보다 최초 접촉부터 최대 접촉까지 걸리는 시간은 오래 걸리며, 최종 접촉까지의 시간은 보다 짧았으며, 최종 교합접촉력은 더 강하여, 더 짧은 시간에 강한 힘을 유지한 채 폐구가 이루어져 측두하악관절에 더 많은 잔존한 부하를 전달하였다. 이환 측과 교합접촉 시간, 교합 접촉 힘등의 교합양상과는 관계가 미약하였으며, 최대 접촉력이 가해진 시기에서 우측이 이환 측이면 우측 악궁에, 좌측이 이환측일 경우 좌측 악궁에 집중되는 좌, 우 악궁간 불균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경찰 종사자들의 하악 운동에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과 습관적인 최대 교합상태에서의 보다 적은 힘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초고속 나선 주사 영상을 위한 고차 Shimming (Higher Order Shimming for Spiral Scan image)

  • 김판기;전수열;안창범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341-342
    • /
    • 2007
  • 3T MRI system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magnetic field를 균일하게 만들어야 한다. 특히 초고속 영상 기법인 Spiral scan 방식과 EPI scan 방식에서는 이미지 영역에서의 magnetic field의 inhomogeneity에 의해 영상의 왜곡이 심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magnetic field의 inhomogeneity를 단시간 내에 측정하기 위해 fast spin echo방식의 pulse sequence 제안하고, magnetic field를 분석하기 위한 field map의 구성과, field pattern의 효과적인 분석을 통하여, magnetic field를 균일하게 만드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