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Scan II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9초

컴퓨터 교학분석기인 T-Scan II를 이용한 측방운동시 구치부 이개시간에 관한 연구 (Study of Disclusion Time during Mandibular Eccentric Movement in Myofascial Pain Syndrome Patients by T-Scan II,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 신준한;권정승;김성택;박형욱;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87-197
    • /
    • 2011
  • 측두하악관절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주변 구조물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다수의 임상문제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근막동통은 측두하악관절장애 중 저작근 장애의 한 종류로, 근막 발통점에 의해 발생하는 감각, 운동, 자율신경 증상이다. 측두하악관절장애와 근막동통의 원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어왔다. 특히 교합 원인은 오랫동안 논쟁의 핵심이었으며,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합원인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런 논쟁은 대부분이 측두하악관절장애 본연의 복잡성에서 기인하지만, 부적절하고 부적당한 연구설계, 선정기준, 연구방법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에 교합분석시 시간과 상대적 힘이 측정가능한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가 소개되었다. 일부 저자들은 T-Scan II를 이용하여 이개시간 개념 및 연장된 구치부 이개시간과 근막통증의 연관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T-Scan II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들은 근막통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의 비교 부재 및 다른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하지 못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교합분석 기기인 T-Scan II을 이용하여 30명의 실험군을 선택하고 이를 38명의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근막통증과 구치부 이개시간과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통계적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의 Cronbach ${\alpha}$ 계수는 0.92 였다. 2. 반복 측정한 이개시간 평가시 양측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개시간 평가시 좌측 우측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근막통증과 이개시간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근막통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개시간을 줄이는 비가역적인 치료는 적절치 않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 여러 교합요소와 헬키모 지수 등을 이용하여 증상의 정량화를 고려한 보다 통제된 대규모 환자 집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철물 수복 형태에 따른 T-Scan Novus와 Dental prescale II를 이용한 교합력 평가 활용 증례 (Evaluation of occlusal strength using T-Scan Novus and Dental prescale II in dental prosthodontic treatments: A case report)

  • 최수현;최유성;이종혁;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60-178
    • /
    • 2023
  • 보철 치료 시 교합관계의 진단과 분석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치료 시행 전 면밀한 교합분석 및 평가가 선행되어 안정적인 악간 관계를 회복시켜 주어야 하며, 치료 과정 및 정기 검진 시에도 이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최근, 치과용 기기와 디지털 처리 방식의 발달로 환자의 교합관계를 기록할 수 있는 새로운 정량적 분석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 T-Scan Novus (Tekscan Inc., S. Boston, MA, USA)는 압력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악 치아의 초기접촉점과 교합접촉점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며 치아의 교합접촉 시간, 교합력의 전후방, 좌우균형을 비교할 수 있다. Dental prescale II (GC Co., Tokyo, Japan)는 압력감지필름을 이용하여 교합접촉점을 스캔하여 접촉점의 밀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최대한 자연스러운 교합상태 치열의 교합력 분포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환자의 치아 상실 부위와 범위에 따라 4-unit 고정성 국소의치, 가철성 국소의치, 총의치, 완전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다. 적절한 교합 분석을 위해, 초진, 각 치료 단계, 치료 직후 및 정기검진 시의 환자의 교합을 T-Scan Novus와 Dental prescale II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보철수복 치료과정에서 교합 분석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었고, 기능 및 심미적으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한 습관적 편측저작자들의 교합 분석 (Occlusal Analysis of the Subjects with Chewing Side Preference Using the T-Scan II System)

  • 박은희;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45-254
    • /
    • 2006
  • 구강안면 영역의 통증이나 치아결손, 부정교합 같은 치아적 요소가 편측저작습관의 주요요인으로 여겨지나, 치아적 요소가 선호하는 저작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화된 교합분석 시스템인 T-Scan II 시스템을 사용하여 편측으로 저작하는 대상자와 양측으로 저작하는 대상자 사이에 교합양상의 특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편측 저작자의 주저작측과 비저작측 사이의 차이를 함께 평가하고자 하였다. 편측저작습관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20명의 편측 저작자(평균 $25.25{\pm}2.84$세)와 20명의 양측 저작자(평균 $27.00{\pm}5.07$세)를 선정하였으며 치아적 문제나 악골의 통증이나 기능이상 같은 문제가 있는 경우는 모두 제외하였다. 습관적 폐구와 측방운동시의 교합양상은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습관적 폐구는 시간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었다. 각 세 단계에서의 접촉점의 수와 교합력의 비율을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습관적 페구 동안의 경과시간 및 치아 활주면적, 좌우측 각각의 측방운동시간이 측정되었다. 편측 저작 습관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양측 저작을 하는 사람에 비해서 치아의 평균 교합 면적이 작았다(p<0.005). 습관적 편측저작자에서 저작측과 비저작측을 비교해보았을 때 비저작측의 교합면적은 저작측에 비해 작았으나 (p<0.005), 편측저작자의 저작측과 양측저작군의 어느 한쪽의 교합면적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초접촉부터 최대교두감합위까지의 경과 시간 및 측방운동 시간, 치아의 활주 면적 및 교합력의 좌우 비율도 양측저작군과 편측저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작시 좌우측 중 교합면적이 작은 측을 피하여 교합효율이 높은 방향으로 저작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찰 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T-scan II System을 이용한 교합분석 (Occlusal Analysis in the Policemen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 임현대;정승아;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65-373
    • /
    • 2006
  • 이 연구는 경찰사회에서의 측두장애환자의 교합상태를 평가하여 습관적인 최대교합시에 교합접촉 시기와 접촉수, 접촉힘을 분석하여 과도한 개구나 이악물기등의 악습관 교정을 제시 하는데 있다. 경찰사회에서는 일반 사회에는 다른 양상의 최대 개구, 습관적인 긴밀한 최대 교합상태 등으로 인하여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복적인 훈련이나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는 그동안 유지되어 오던 저작근을 비롯한 악구강계 평형 상태에 변화를 초래하여 측두하악관절과 그에 따른 구조물에 동통을 유발 내지는 악화 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합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T-scan II system(Tekscan Co., USA)을 이용하였으며, 최대 교합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약 20 mm 정도의 개구 상태에서 최대교합시까지 물었다. 경찰종사자의 측두하악장애환자는 일반 측두장애환자보다 최초 접촉부터 최대 접촉까지 걸리는 시간은 오래 걸리며, 최종 접촉까지의 시간은 보다 짧았으며, 최종 교합접촉력은 더 강하여, 더 짧은 시간에 강한 힘을 유지한 채 폐구가 이루어져 측두하악관절에 더 많은 잔존한 부하를 전달하였다. 이환 측과 교합접촉 시간, 교합 접촉 힘등의 교합양상과는 관계가 미약하였으며, 최대 접촉력이 가해진 시기에서 우측이 이환 측이면 우측 악궁에, 좌측이 이환측일 경우 좌측 악궁에 집중되는 좌, 우 악궁간 불균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측두하악장애를 가진 경찰 종사자들의 하악 운동에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과 습관적인 최대 교합상태에서의 보다 적은 힘을 유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임플란트 보철의 교합 접촉 변화에 대한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Occlusal Contact Changes in Implant Prosthesis)

  • 윤철희;김대곤;이양진;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1호
    • /
    • pp.21-30
    • /
    • 2007
  • Despite of the successful clinical performance of implants, it is still lacking of the knowledge of changes in implant oc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infraocclusal contact after clinical occlusal function of implant. Twenty patients(38 implants) were recalled during 10 months after placement of implant prosthesis. Occlusion changes were investigated at placement, placement 1 months, 4 months and 10 months serially with silicone bite material and T-Scan II sensor. Bony changes were also evaluated with periapical radiographs. The changes of silicone thickness and T-Scan II sensored area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d ANOVA and the Scheffe's post-hoc test at the 95% significance level.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made based on this study: 1. Alveolar bone loss was within 0.20mm and it was generally concluded within physiologic level.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ickness changes of silicone material at 1 month and 4 months of occlusal function.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months of occlusal function (p<0.05).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of occlusal contact area in T-Scan II at 1 month and 4 months of occlusal function,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10 months of occlusal function (p<0.05). Conclusively, as time goes by, implant occlusion to be formed infraocclusion was to be far close and increased occlusal contact. However, it was not observed destructive bone resorption in periapical radiographs and any other side effects.

정형 보철용 금속이 자기공명영상에 미치는 영향 II (Effect of Metals used in Orthopedic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I)

  • 김형균;최성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15-120
    • /
    • 2012
  • Metals used orthopedic in huma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of the metal to be inserted, The information to users about the image distortion is to propose a basis for judgment. Metals used orthopedic on Stainless, Titanium and Clip using ferromagnetic artifacts and distortion of the image were measured. Using Phantom "Effect of Metals used in Orthopedic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I" pig in a paper subsequently was carried out using the same bone. Experimental results using a pure Titanium is a relatively high diagnostic value was found that.

과개교합자의 저작근 활성도 및 교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TE FORCE AN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 IN DEEPBITE)

  • 정동기;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5-104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T-Scan system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정상교합자와 과개교합자의 최대교합력과 근활성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두 집단으로 구성 되었다. 한 집단은 20명의 정상교합자이고 다른 집단은 30명의 과개교합자이다. 과개교합자는 Class I deepbite(9명의 남자와 7명의 여자)와 Class II div. 1 deepbite(8명의 남자와 6명의 여자)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군에서 155.93 N, I급 과개교합군에서 165.11 N, II 1류 과개교합군에선 111.55 N이었으며, II급 1류 과개교합군의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2. 정상교합군과 과개교합군 모두에서 치야접촉점이 증가할수록 교합력은 증가하였다(표 3). 3. 최대교합시 II급 1류 과개교합군의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활성도는 전상교합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P<0.01),모든 군에서 교근의 활성도가 전측두근보다 높았다(P<0.05). 4. 모든 군에서 교합력과 근활성도, 치아접촉점의 수와 근활성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표 5).

  • PDF

말초성 동맥 질환에 있어서 $^{201}T1$을 이용한 말초혈관 관류스캔의 유용성 (Thallium-201 Perfusion Scan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나정일;우인숙;김덕윤;고은미;김진우;김영설;김광원;최영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2-199
    • /
    • 1991
  • Peripheral arterial disease, because of it's significant and prolonged morbidity and related mortality is a major medical and surgical problem. Contrast angiogram remains the essential standard for the anatomic demonstration of disease. It does not, however, provide data suitable for quantification or any evaluation of the microcirculation. For these reasons, radionuclide studies are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by not only confirming the diagnosis and offering objective data on the physiologic significance of anatomic lesions, but by offering prognosis of healing and prediction of therapeutic results. In addition, radionuclide procedures offer means to safely and repeatedly monitor response to therapy and long term follow up.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201}T1$ perfusion scan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s. We performed $^{201}T1$ perfusion scans in patients with five Buerger' s disease (10 legs), six DM gangrenes (12 legs) and classified three perfusion pattern groups. Finally we compared treatment modalities among each groups and compaired T1-201 perfusion scan findings with angiographic findings in six patients with Buerger's disea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ven legs showed increased perfusion in stress image and normal or increased perfusion in resting image (type 1). Six legs showed decreased perfusion in stress image and improved in resting image (type II). Of total 13 legs, only 1 leg needed to amputation. 2) Three legs showed decreased perfusion in stress and resting image (type III), and subsequently all cases were received surgical amputation. 3) In six Buerger's disease patients, there were disagreements in two patients (2 legs) between $^{201}T1$ scan and angiography, in which angiograms were normal but $^{201}T1$ scans showed 'type II' perfusion patterns.

  • PDF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교합 분석 (Occlusal Analysis of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T-Scan II System)

  • 양동효;이원섭;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105-111
    • /
    • 2007
  • 측두하악장애가 교합접촉 양상에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나 아직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증상측과 무증상측 사이의 교합접촉 양상을 비교하고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편측 증상만을 가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T-Scan II system (Tekscan, INC., USA)을 사용하여 치료 전후의 교합접촉 양상을 평가하였다(남:녀=7:29, 평균 $29.2{\pm}14.8$세). 좌우측의 접촉점 수(number of contact point), 접촉력(contact force), 상대적 접촉력(relative contact force, %)을 조사하여 치료 전후의 좌우 균형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전 환자의 증상측은 무증상측에 비해 접촉점 수와 접촉력이 감소되었으나(접촉점 수: p=0.056, 접촉력: p=0.060), 치료 후에는 증가되어 양측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증상측의 접촉점 수와 접촉력이 치료 전후에 차이를 보인 반면(접촉점 수: p=0.038, 접촉력: p=0.052), 비이환측은 치료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악궁 내 좌우 균형성을 평가하는 상대적 접촉력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치료 전 양측간 차이가 약 27%였다가 치료 후에 약 12%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01).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편측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는 교합접촉 양상의 좌우불균형을 보이지만, 보존적 치료 후에 그 차이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보다 대칭적이고 균형적인 교합을 회복하며 접촉점 수와 접촉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