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

검색결과 24,232건 처리시간 0.056초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014년 제 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 Analysis of 2014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김한나;김정선;노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56-7666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4년 제 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원시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청소년 72,060명을 빈도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서적 지지체계(t=44.335, p<,001), 성별(t=27.730, p<.001), 학교급(t=25.347, p<.001), 경제상태(t=-25.345, p<.001), 주거형태(t=-6.158, p<.001), 학교성적(t=-7.512, p<.001), 아버지의 교육수준(t=-2.378, p<.001), 주관적 건강상태(t=46.062, p<.001), 우울(t=-23.837, p<.001), 수면(t=19.871, p<.001), 스트레스 정도(t=-78.685, p<.001), 알코올(t=-13.481, p<.001)과 약물사용(t=-2.671, p<.01)과 흡연(t=-11.988, p<.001), 아침식사(t=4.443, p<.001) 및 신체활동 유무(t=4.757, p<.001)로 확인되었다. 즉, 정서적 지지체계가 있으며, 남학생일수록,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일 때, 경제상태와 학업성적이 상위계층일수록, 가족과 함께 동거하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 때 행복감을 느꼈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 때 우울하지 않고 수면이 충분하며,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음주, 흡연 및 약물 경험이 없을수록, 신체활동과 아침 식사를 할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닭가슴살 Surimi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pH 조절의 영향 (Effect of pH Control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Surimi)

  • 진상근;김일석;허선진;박기훈;하지희;강석모;최영준;김진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4-69
    • /
    • 2006
  • 닭가슴살을 이용하여 pH를 2.5(T1), 3.0(T2), 10.5(T3) 및 11.0(T4)으로 조절하여 제조한 수리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은 T4>T1>T3>T2 순이었으며,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알칼리 처리한 구들이 산 처리한 구들에 비하여 높았으며, 염용성 단백질 추출성, 보수력 및 육색 $L^*$값은 동일한 산과 알칼리 처리구 내에서 pH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수율은 T1이 가장 높았고 T4가 가장 낮았다(p<0.05). pH는 T4가 가장 높았으며, T2, T3가 낮았고, 전단가는 알칼리 처리구들이 산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았다(p<0.05). 파괴강도 및 변형값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높았다(p<0.05). 육색 $a^*$값은 T3>T2>T4>T1 순이었고, $b^*$값은 T4가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낮았다(p<0.05). 조직감 중 씹힘성은 T2, T3가 T1과 T4에 비하여 높았으며, 경도는 T2>T3>T4>T1 순이었고, 응집성과 검성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낮았으며, 탄력성은 T4가 가장 높고 T2가 가장 낮았다(p<0.05). 표면경도는 T3가 가장 높고 T1이 가장 낮았다(p<0.05). 관능검사의 외관은 T2가 가장 높고 T3가 가장 낮은 것(p<0.05)을 제외하고는 전 항목에서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종합적으로 볼 때 pH 11.0으로 조절한 알칼리 처리구인 T4가 다른 세 처리구들에 비하여 수리미의 이화학적 품질이 양호한 결과였다.

정신질환자들에 동반된 기능성 위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e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among Psychiatric Patients)

  • 강등현;장승호;류한승;최석채;노승호;백영석;이혜진;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위장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이하 FGID)이 동반된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Rome III questionnaire - Korean version에 따라 FGID를 선별하여 1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다. 결 과 FGID에 따른 집단간 비교에서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chi}^2=10.139$, p=0.017). FGID 집단에 따른 정신질환의 차이에서는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이하 IBS)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hi}^2=11.408$, p=0.022) IBS 집단은 불안(t=-3.106, p=0.002), 우울증상(t=-2.105, p=0.037), 신체증상(t=-3.565, p<0.001), 특성분노(t=-3.683, p<0.001), 분노-억제(t=-2.463, p=0.015), 분노-표출(t=-2.355, p=0.020)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기능성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집단에서는 불안(t=-4.893, p<0.001), 우울증상(t=-3.459, p<0.001), 신체증상(t=-7.906, p<0.001), 특성분노(t=-4.148, p<0.001), 상태분노(t=-2.181, p=0.031), 분노-억제(t=-2.684, p=0.008), 분노-표출(t=-3.005, p=0.003)지표가 유의하게 높았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증(Nonerosive reflux disease) 집단에서는 불안(t=-4.286, p<0.001), 우울증상(t=-3.402, p<0.001), 신체증상(t=-7.162, p<0.001), 특성분노(t=-2.994, p=0.003), 상태분노(t=-2.259, p=0.025), 분노-억제(t=-2.772, p=0.006), 분노-표출(t=-2.958, p=0.004)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에서 FGID의 유병률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정신사회적 변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의학적 접근은 FGID 환자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전문대 응급구조학생의 응급구조전문직관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views on E.M.T. profession of the E.M.T. college students)

  • 김학수;최은숙;김진회;신동민;이인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8-4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of perceptions related to E.M.T. profession of E.M.T. stud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16 students from 3 junior college by questionaire from November 25 to November 29, 1996 in Kwang-Ju, Cheong-Ju, and Kong-Ju.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AS and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view on profess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special knowledge & skill training (t=-1.686, P<.001), high income (t=-0.753, P<.05) 2. The view on competence as a E.M.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ncein sufficient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E.M.T. (t=-1.144, P<.001), own's health (t=-0.808, P<.001), sincerity and responsibility (t=-1.429, P<.01), satisfaction and effort (t=-1.335, P<.01), boundary of affairs (t=-1.356, P<.01) 3. The view on E.M.T. profess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protect of pt. life & to relieve the pain (t=-2.388, P<.001) 4. The view on necessary knowledge of E.M.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assessment (t=-2.168, P<.001), ACLS (t=1.678, P<.001), hemorrhage & shock (t=-3.252, P<.001), trauma (t=-4.284, P<.001), cardiopulmonary disturbance (t=-2.897, P<.001), acute abdomen (t=-4.284, P<.001), neonatal disease (t=-4.032, P<.001), OBGY disease(t=-4.151, P<.001), emergency delivery (t=-2.825, P<.001), infectious disease (t=-2.930, P<.001), environmental emergency (t=-3.123, P<.05), recording(t=2.22, P<.05) 5. The view on ideology of E.M.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 & faith (t=-2.344, P<.001), knowing of own (t=-2.142, P<.01), humanity (t=-2.581, P<.05), knowing of patient (t=-2.079, P<.05).

  • PDF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직관 (Gab Theory and Minimal Intuition on Truth)

  • 이진희
    • 논리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5-184
    • /
    • 2016
  • 윌리엄슨(Williamson)은 간극이론과 타르스키 T-도식이 양립불가능함을 보였다. 필자는 이글에서 이러한 윌리엄슨의 주장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간극이론이 'p⊨T

    그리고 T

    ⊨p'와는 양립가능함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곧 간극이론이 진리에 대한 최소한의 직관을 포착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논의는 간극이론의 논리적 공간을 'p⊨T

    그리고 T

    ⊨p'와 '이가율의 부정'의 양립가능성을 통해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간극이론을 수용할 경우 함께 수용해야할 귀결개념을 제시하고, 아래 두 주장이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 직관의 논리적 귀결임을 보일 것이다. 1) not-T

    와 T는 동치가 아니다. 2) 'p⊨T

    '는 성립하지만 'not-T

    ⊨not-p'는 성립하지 않는다.

  • PDF

탄력밴드 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지속적 효과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in the Elder)

  • 소위영;송미순;조비룡;박연환;김연수;임재영;김선호;송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47-1259
    • /
    • 2009
  •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은 감소 현상(sarcopenia)을 나타낸다. 근육의 감소는 노인의 의료비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어 보이지만, 근육의 감소가 근력의 감소로 연결되어 체력의 약화, 활동성의 감소, 낙상의 증가 등과 같은 독립적인 생활을 감소시킨다. 이는 신체장애로 연결되며, 또다시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연결된다. 결국, 근감소증은 사망률을 상승시키는 잠재 위험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 운동을 통한 근감소증 예방과 관련된 변인인 신체조성 및 체력의 향상된 변화와 더불어 운동 중단에 따른 운동효과의 상쇄(相殺) 정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J구 J노인복지관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60-70대의 노인 14명으로 선정하였다. 12주 동안의 탄력밴드 운동은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였다. 측정시기는 12주간의 통제전, 통제후(운동전), 12주간의 운동 후(운동중단 전), 12주간의 운동중단 후로 신체조성 과 체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12주간의 통제전·후 신체조성과 체력 변인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간의 운동전·후 신체조성의 체중(t=2.978, p=0.001), 체질량지수(t=3.502, p=0.004), 체지방율(t=2.216, p=0.045), 근육량(t=-3.837, p=0.002), 내장지방면적(t=5.186, p<0.001), 허리-엉덩이 둘레비(t=3.045, p=0.009) 모든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891 p<0.001), 덤벨들기(t=-4.702,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860,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5.910, p<0.001), 등 뒤에서 손잡기(t=-3.835, p=0.002), 244cm 왕복 걷기(t=7.560, p<0.001)의 모든 변인에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효과가 12주간의 운동중단 후에도 신체조성의 체중(t=2.323, p=0.037), 체질량지수(t=2.503, p=0.026), 근육량(t=-3.137, p=0.008)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489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694,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3.690, p=0.003), 244cm 왕복 걷기(t=7.539, p<0.001)의 변인에서 그 유지가 지속되었다. 노인에게 있어서 탄력밴드 운동은 신체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그 운동의 효과가 12주가 경과되어도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119 Rescue party's)

  • 신상열;정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461-6468
    • /
    • 2013
  • 본 연구는 병원 전 응급의료 현장을 담당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2012년 7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전북지역의 119 구급대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조사결과 대상자의 57.9%가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한 자각증상을 호소하였으며 신체부위별로는 허리와 엉덩이 부분에 통증이 있다는 응답이 47.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이러한 통증의 원인이 구급업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에서 성별(t=16.579, p=.000), 연령(t=102.344, p=.000), 학력(t=5.363, p=.027), 음주(t=6.999, p=.030), 흡연(t=6.266, p=.009)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적 특성에서는 경력(t=67.684, p=.000), 구급차량 탑승인원(t=7.717, p=.004), 자격 및 면허(t=25.480, p=.000), 직급(t=74.615,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Protein Deprivation on Subsequent Efficiency of Dietary Protein Utilization in Finishing Pigs

  • Whang, K.Y.;Donovan, S.M.;Easter,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59-665
    • /
    • 2000
  • A nitrogen (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N deprivation on subsequent N retention, blood urea nitrogen (BUN) and IGF-I levels and the ratio of IGF binding protein (IGFBP)-3 to IGFBP-l and -2. Pigs in treatment (T) 1 were given diet A (2.39% N) and those in T2 and T3 were given diet B (1.31% N) and excreta were collected (period 1 (P1)). Pigs in T1 continued to receive diet A while diets for T2 and T3 were changed to diets A and C (2.74% N), respectively. The excreta were collected for two more periods (P2 and P3). During P1, pigs in T2 and T3 retained 50% less N (p<0.001) than those in T1. However, pigs provided T2 (p<0.01) and T3 (p<0.05) retained more N than those assigned to T1 during P2. Pigs in T3 tended to retain more (p=0.10) N than those receiving T2 for the same period. The BUN values were lower (p<0.05) for pigs assigned to T2 and T3 than T1 during P1 and P2. Both IGF-I and IGFBP ratios of pigs assigned to T1 were higher (p<0.05) than those given T2 and T3 during P1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during P2 and P3.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으로 발효시킨 함기포장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erobic Packed Pork during Storage after Fermentation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s)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류현지;박기훈;이제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79-690
    • /
    • 2005
  • 이 연구는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돈육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 뒷다리를 채취하여 $7{\time}10{\time}2$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소스(간장소스 T1, 고추장소스 T2, 된장소스 T3)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10일간 발효숙성한 후 함기포장하여 $1{\pm}1^{\circ}C$에서 1, 14 및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T1이 저장 1일에 T2와 T3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14일과 28일에 현저하게 높았다(P<0.05). 보수성은 T1이 저장 1일과 28일에 T2와 T3에 비해 높았다. 전단가는 T3가 T1과 T2에 비해 낮았다. 표면 육색의 L*값은 T3가 T1과 T2에 비해 높았지만, a*와 b*값은 T2가 T1과 T3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VBN은 저장 1일과 14일에 T3가 T2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28일에는 T1이 T2와 T3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14일과 28일에 T3가 T1과 T2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총균수는 저장 1일에 T1이 T2와 T3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14일과 28일에는 T2가 T1과 T3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대장균 수는 저장 1일에 T1과 T3가 T2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P<0.05), 저장 14일과 28일에는 T2와 T3는 대장균 성장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산균 수는 T2가 T1과 T3에 비해 낮았다. 이상에서, 고추장 발효 돈육인 T2는 양념육 고유의 색을 나타내면서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다.

금속-치환 $AlPO_4-5$ 분자체에서 가교 $T_1-OH-T_2(T_1$=Al,B 그리고 $T_2$= P, Si)에 대한 성질 : MNDO (Properties of $T_1-OH-T_2$(T1 = Al, B and T2 = P, Si) Bridges on Metal-Substituted $AlPO_4-5$ Molecular Sieves : MNDO Calculations)

  • 손만식;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
    • /
    • 1994
  • 알루미노인산염 족($AlPO_4-5$, BAPO-5, 그리고 SAPO-5)분자체의 구조 골격인 가교 $$T_1-OH-T_2$(T_1$ = Al, B 그리고 $T_2=$ P, Si) 안정성 및 가교 OH 그룹 이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반경험적 MNDO 계산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계산은 Al-OH-P, B-OH-P 그리고 Al-OH-Si덩어리 모델로써 실행하였다. Al-OH-P가교 모델에서 Al대신에 B원자를 치환할 때 B-OH-Si가교에서는 변형이 우선적으로 일어났으나, P 대신에 Si원자를 치환한 Al-OH-Si가교에서는 회전이 우선적으로 일어났다. 이러한 모델 덩어리에서 OH그룹 이온성 및 가교 안정성은 B-OH-P < Al-OH-P < Al-OH-Si 가교 순서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