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 and B lymphocyt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Zedoariae rhizoma on Bronchial Inflammation and Allergic Asthma in Mice

  • Ahn, Jong-Chan;Ban, Chang-Gyu;Park, Won-Hwa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636-1648
    • /
    • 2006
  • There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linical experiences and prescriptions of asthma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Zedoariae rhizoma is one of the Korean herbal medicines used to treat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for centuries. However, the therapeutic mechanisms of this medication are still far from clear, In this study, a house-dust-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 p])-sensitized murine model of asthma was used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Zedoariae rhizoma on the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Three different protocol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and/or long-term prophylacitic effect of Zedoariae rhizoma in Der p-sensitized mice. Cellular infiltration and T-cell subset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of allergen-challenged mice were analyzed. Intrapulmonary lymphocytes were also isolated to evaluate their response to allergen stimulation. When Zedoariae rhizoma was administered to the sensitized mice before AC (groups A and C), it suppressed airway inflammation by decreasing the number of total cells and eosinophil infiltration in the BALF, and downregulated the allergen- or mitogen-induced intrapulmonary lymphocyte response of sensitized mice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This immunomodulatory effect of Zedoariae rhizoma may be exer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T-cell subsets by elevation or activation of the CD8+ and double-negative T-cell population in the lung.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to sensitized mice 24 h after AC (group B) did not have the same inhibitory effect on the airway inflammation as Zedoariae rhizoma given before AC. Thus, the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before AC has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reducing bronchial inflammation in the allergen-sensitized mice.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ity of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pproaches us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Zedoariae rhizoma, for the control of allergic disease,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on a murine model of asthma allergic responses. When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was begun at the induction phase immediately after OVA sensitization, eosinophilia and Th2-type cytokine production in the airway were reduced in OVA-sensitized mice following OVA inha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dichotomously modulates allergic inflammation in murine model for asthma, thus offering a different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orders.

Reduced Ceramides Are Associated with Acute Rejection in Liver Transplant Patients and Skin Graft and Hepatocyte Transplant Mice, Reducing Tolerogenic Dendritic Cells

  • Hyun Ju Yoo;Yeogyeong Yi;Yoorha Kang;Su Jung Kim;Young-In Yoon;Phuc Huu Tran;Taewook Kang;Min Kyung Kim;Jaeseok Han;Eunyoung Tak;Chul-Soo Ahn;Gi-Won Song;Gil-Chun Park;Sung-Gyu Lee;Jae-Joong Kim;Dong-Hwan Jung;Shin Hwang;Nayoung Kim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11호
    • /
    • pp.688-699
    • /
    • 2023
  • We set up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reduced ceramides on immune cells in acute rejection (AR). The concentrations of ceramides and sphingomyelins were measured in the sera from hepatic transplant patients, skin graft mice and hepatocyte transplant mice by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Serum concentrations of C24 ceramide, C24:1 ceramide, C16:0 sphingomyelin, and C18:1 sphingomyelin were lower in liver transplantation (LT) recipients with than without AR. Comparisons with the results of LT patients with infection and cardiac transplant patients with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in humans and in mouse skin graft and hepatocyte transplant models suggested that the reduced C24 and C24:1 ceramides were specifically involved in AR. A ceramide synthase inhibitor, fumonisin B1 exacerbated allogeneic immune responses in vitro and in vivo, and reduced tolerogenic dendritic cells (tDCs), while increased P3-like plasmacytoid DCs (pDCs) in the draining lymph nodes from allogeneic skin graft mice. The results of mixed lymphocyte reactions with ceranib-2, an inhibitor of ceramidase, and C24 ceramide also support that increasing ceramide concentrations could benefit transplant recipients with AR. The results suggest increasing ceramides as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AR, where reduced ceramides wer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DC subsets, in particular tDCs.

반복유산을 경험한 환자에서 임신중 태반항원과 동종항원에 노출된 모체 림프구면역반응은 언제부터 소실되나? (When Dose Losses of Maternal Lymphocytes Response to Trophoblast Antigen or Alloantigen Occur in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 최범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15-122
    • /
    • 1998
  • The maintenance of a viable pregnancy has long been viewed as an immunological paradox. The deveolping embryo and trophoblast are immunologically foreign to the maternal immune system due to their maternally inherited genes products and tissue-specific differentiation antigens (Hill & Anderson, 1988). Therefore, speculation has arisen that spontaneous abortion may be caused by impaired maternal immune tolerance to the semiallogenic conceptus (Hill, 1990). Loss of recall antigen has been reported in immunosuppressed transplant recipients and is associated with graft survival (Muluk et al., 1991; Schulik et al., 1994). Progesterone $(10^{-5}M)$ has immunosuppressive capabilities (Szekeres-Bartho et al., 1985). Previous study showed that fertile women, but not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abortion (URA), lose their immune response to recall antigens when pregnant (Bermas & Hill, 1997).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immunosuppressive doses of progesterone may affect proliferative response of lymphocytes to trophoblast antigen and alloantigen. Proliferative responses using $^3H$-thymidine ($^3H$-TdR) incorporation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to the irradiated allogeneic perip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s alloantigen, trophoblast extract and Flu as recall antigen, and PHA as mitogen were serially checked in 9 women who had experienced unexplained recurrent miscarriage. Progesterone vaginal suppositories (100mg b.i.d; Utrogestan, Organon) beginning 3 days after ovulation were given to 9 women with unexplained RSA who had prior evidence of Th1 immunity to trophoblast. We checked proliferation responses to conception cycle before and after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once a week through the first 7 weeks of pregnancy. All patients of alloantigen and PHA had a positive proliferation response that occmed in the baseline phase. But 4 out of 9 patients (44.4%) of trophoblast antigen and Flu antigen had a positive proliferative response. The suppression of proliferation response to each antigen were started after proliferative phase and during pregnancy cycles. Our data demonstrated that since in vivo progesterone treated PBMCs suppressed more T-lymphocyte activation and $^3H$-TdR incorporation compare to PBMCs, which are not influenced by progesterone. This data suggested that it might be influenced by immunosuppressive effect of progesterone. In conclusion, progesterone may play an important immunological role in regulating local immune response in the fetal-placental unit. Furthermore, in the 9 women given progesterone during a conception cycle, Only two (22%) repeat pregnancy losses occured in these 9 women despite loss of antigen responsiveness (one chemical pregnancy loss and one loss at 8 weeks of growth which was karyotyped as a Trisomy 4). These finding suggested that pregnancy loss due to fetal aneuploidy is not associated with immunological phenomena.

  • PDF

뽕나무버섯부치(Armillaris tabescens)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의 생쥐 Sarcoma 180에 대한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 Against Mouse Sarcoma 180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Armillaria tabescens)

  • 이건우;김혜영;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1-108
    • /
    • 2007
  • 뽕나무버섯부치는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만성간염, 담낭염 및 암의 치료에 널리 이용해온 맛이 좋은 식의약용 버섯이다. 뽕나무버섯부치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Sarcoma 180가 접종된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는 $10{\sim}2000\;{\mu}g/ml$ 추출물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28.8{\sim}46.5%$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으로 추출한 조다당류는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대조군에 비해 약 $1.8{\sim}2.1$배 내외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9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1.9배 증가하였다. 또한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흥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민긴뿌리버섯(Oudemansiella radicata)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조다당류의 항암 및 면역 활성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Oudemansiella radicata)

  • 김상범;이건우;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9-114
    • /
    • 2007
  • 민긴뿌리버섯은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예로부터 식용은 물론 항암, 고혈압 및 진균감염증의 치료에 널리 이용해온 식의약용 버섯이다. 민긴뿌리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여 Sarcoma 180에 접종된 ICR mice에 주사하여 수명연장 및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각각의 세포는 $10{\sim}1000\;{\mu}g/ml$ 추출물 농도에서 70% 내외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각각의 조다당류가 투여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수명이 각각 $42.9{\sim}66.7%$ 연장되었다.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대조군과 LPS군에 비해 약 $1.4{\sim}3$배 내외의 증가율을 보였다. 총 복강 세포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최고 3.5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2.5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폐암 세포주에서 5-aza-2'-deoxycytidine 처치에 의해 발현되는 암항원 유전자 분석 (Analysis of 5-aza-2'-deoxycytidine-induced Gene Expression in Lung Cancer Cell Lines)

  • 김창수;이해영;김종인;장희경;박종욱;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967-977
    • /
    • 2004
  • 배경: DNA 메칠화란 유전자의 Promoter에 있는 CpG dinucleotide의 cytosine기에 메칠기가 붙는 현상을 말한다. CpG dinucleotide에 과메틸화가 일어나면 일부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며, 그 반대로 CpG dinucleotide의 메칠화가 억제되면 유전자 발현이 증가된다. DNA 메칠화 억제제인 5-aza-2'- deoxycytidine (ADC)을 폐암세포에 처치했을 때 암항원 유전자의 발현 유무와 이를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고, 아울러 MHC와 B7의 발현과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암치료 백신에 ADC를 임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4개의 사람 폐암세포주 (NCIH1703, NCIH522, MRC-5 및 A549)에 ADC를 1 uM 농도로 처치한 후 48시간 뒤에 MAGE family, GAGE, NY-ESO-1, PSMA, CEA 및 SCC항원 유전자에 대한 RT-PCR을 실시하였고, 폐암세포에서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최적의 ADC처치 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ADC농도와 처치 시간을 다양하게 하여 암세포를 자극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ADC 처리가 폐암 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하였고, ADC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및 5 uM 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세포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MAGE, GAGE, NY-ESO-1 및 PSMA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MAGE아형 중에는 MAGE-1, -2, -3, -4, -6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암항원인 CEA발현은 변화가 없었으며 SCC항원 유전자의 발현은 오히려 ADC처치에 의해 감소되었다. ADC 처치 후 24∼48 시간이 지난 뒤부터 암항원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ADC처리에 의해 유도된 유전자의 발현성은 ABC처치 후 최소 14일까지 유지되었다. 또 ADC를 0.2, 1, 5 uN 농도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개 0.2 uM농도에서도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1, 5 uM농도에서 매우 강하게 유도되었다. ADC 처리가 페암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페암세포주에서 MHC 및 B7분자의 발현은 유도되지 않았다. 또 ADC농도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5 uM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알아본 결과 ADC 처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은 매우 감소하였다. 결론: 폐암세포주에서 ADC처치는 MAGE, GAGE 및 NY-ESO-1과 같은 세포독성 T 림프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ADC의 세포독성과 항원 발현 유발시간을 분석할 때 1 uM 농도에서 48시간 처치한 후 ADC가 없는 배지에서 수일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ADC를 처치하여도 MHC 및 B7의 발현의 변화는 없었으므로 ADC를 처치한 폐암세포를 암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MHC나 B7 및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령버섯(Agaricus brasiliensis) 자실체 추출 조다당류의 항암 및 면역증강 작용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Fruiting Body of Agaricus brasiliensis)

  • 차윤정;김정화;이태수;이우윤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7-67
    • /
    • 2011
  • 신령버섯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혈당, 혈압강하효과와 콜레스테롤 저하, 항종양,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령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메탄올, 중성염용액 및 열수 등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성분을 분석한 결과 ${\beta}$-glucan은 21.54~32.31%, 단백질은 0.16~9.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고 신령버섯 추출 조다당류를 Sarcoma 180, HT-29, NIH3T3 및 RAW 264.7 등의 암세포 및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10~2000 ${\mu}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 각각의 세포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arcoma 180으로 접종된 ICR 생쥐에 신령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각각 18.8~50.6% 연장되었다. 비장세포의 증식능과 B 임파구의 활성화에 미치는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비장 세포 증식능은 대조군에 대해 1.1~1.2배의 증식능을 보였고 B 임파구의 활성은 대조군에 대해 1.2~1.6배 증가하였다. 또한 버섯추출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대식세포에서 1.3~4.3배의 많은 nitric oxide를 발생시켰다. 비장세포에 여러 농도의 조다당류를 처리한 후 TNF-${\alpha}$, IL-$1{\beta}$, IL-2 및 IL-6 등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생성된 사이토카인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2.2배 높게 나타났다. 중성염용액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4배 증가하였고, 열수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백혈구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7배 증가하였다.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신령버섯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면역을 증강시키는 것은 물론 Sarcoma 180에 대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화의 과육 및 종자 추출물이 골형성 관련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us and Semen from Rosa rugosa on Osteoimmune cells)

  • 강세찬;임정대;이재철;박혜진;강남성;손은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7-16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의 과육(RRF)과 종자(RRS) 부위의 추출물이 골다공증 및 골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각각 조골세포의 세포 증식능과 LPS로 유도된 염증상태에서 전구-파골세포가 염증유발 물질로 분비하는 NO와 TNF-$\alpha$ 분비 억제 조절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과육(RRF)과 종자(RRS)가 골다공증 및 골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노화된 상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생쥐와 노화생쥐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에서 B 림프구와 T 림프구의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과육(RRF)과 종자(RRS)는 그 효능과 농도에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모두에서 조골세포의 세포 증식효과와 LPS에 의한 NO 분비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NF-$\alpha$ 조절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종자(RRS)는 $500\;{\mu}g/m{\ell}$에서 pre-osteoclastic cell에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LPS 에 의해 유도 증가된 TNF-$\alpha$의 분비도 오히려 증가시켰다. 따라서 과육(RRF)이 종자(RRS)보다 안전하고 효능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정상 및 노화생쥐의 비장 세포에 대한 림프구 증식효과에서도 과육(RRF)과 종자(RRS)는 모두 비장세포 증식을 나타내었고, ConA 처리에 의한 T세포 증식에도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LPS에 의한 B림프구의 세포증식효과에서 과육(RRF)의 경우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나, 종자(RRS) $1000\;{\mu}g/m{\ell}$에서는 LPS 처리에 의한 B림프구의 증식을 오히려 감소시킴으로써 B 림프구의 면역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과육(RRF)과 종자(RRS)는 정상 및 노화생쥐에서 같은 양상을 보임으로써 노화된 상태에서 특별히 다른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종자(RRS)가 LPS에 의한 B세포의 증식에 오히려 감소효과를 나타낸 점을 고려할 때, 종자(RRS)에 대해서는 처리 농도와 효능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되며, 과육(RRF)이 노화 및 정상상태에서의 골다공증 및 골질환에 좀 더 안전하고 효능성 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stress during slaughter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tropical beef cattle

  • Carrasco-Garcia, Apolo A.;Pardio-Sedas, Violeta T.;Leon-Banda, Gloria G.;Ahuja-Aguirre, Concepcion;Paredes-Ramos, Pedro;Hernandez-Cruz, Bertha C.;Murillo, Vicente Veg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0호
    • /
    • pp.1656-166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tress during slaughter of beef cattle on physiological parameters, carcass, and meat quality at a Federal Inspection Type slaughterhouse located in the southeast of Mexico. Methods: A total of 448 carcasses of male Zebu×European steers with an average age of 36 months were included. Carcass assessment of presence of bruises and bruise characteristics was carried out on each half-carcass. Blood variable indicators of stress (packed cell volume,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glucose, cortisol concentration) and meat quality parameters (pH, color, shear force, drip loss)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448 carcasses evaluated, 81% of the carcasses showed at least one bruise; one bruise was detected in 36.6% and two bruises in 27.0% of animals. Of the 775 bruises found, 69.2% of the bruises were grade 1 in region 3. Of the 448 carcasses studied, 69.6% showed hyperglycemia (6.91 mmol/L); 44.3% and 22.7% showed high (74.7 ng/mL) and extremely high (108.8 ng/mL) cortisol levels, respectively, indicative of inadequate handling of animals during preslaughter and slaughter. Of the carcasses evaluated, 90.4% had a pH ≥5.8 with an average of pH 6.3. In both pH groups, meat samples showed L values >37.0 (81.6%) and a shear force >54.3 N; meat pH≥5.8 group showed a drip loss of 2.5%. These findings were indicative of dark, firm, and dry (DFD) meat. According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rades 1 and 2 bruises in region 3 and grade 1 bruises in region 5 were highly associated with cortisol, drip loss, and color parameters b and h and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L, a, and C. Conclusion: The bruises probably caused by stress-inducing situations triggered DFD meat. Appropriate changes in handling routines in operating conditions should be made to minimize stress to animals during the slaughter process to improve animal welfare and meat quality.

In vitro에서 1-β-D-arabinofuranosyl-cytosine의 염색체 파열 유도 (1-β-D-Arabinofuranosyl-cytosine Induces Chromosomal Breaks in vitro)

  • 전인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186-1193
    • /
    • 2003
  • 목 적 : 염색체 취약부위는 세포를 특정의 화학물질에 노출시키거나 특수한 배양조건에서 배양 할 때 쉽게 파열되는 염색체상의 특정구역이다. 취약부위는 유전성질환 및 악성종양과 관련이 있으며, 현재에는 분자생물학적 실험기법의 개발로 분자수준에서 이해가 되고 있다. 새로운 취약부위 및 취약부위의 발현을 높이거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실험실적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암제로 사용되는 Ara-C를 이용하여 염색체파열을 조사하여 보았다. 한편 염색체 취약부위가 종양형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Ara-C에 의해 발열되는 취약부위와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 및 종양에서 일정하게 염색체변이가 관찰되는 특정의 염색체 부위와의 상관관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성인 남녀 각각 3명의 말초혈액 내 T-림프구를 세포배양 후 Ara-C를 첨가하고 다시 caffeine을 처리한 뒤 종전에 시행했던 방법과 동일하게 검체 처리하여 염색체파열 부위를 관찰하였다. 염색체 취약부위는 염색체상의 일정부위에서 100개의 염색체파열 당 2회 이상의 염색체파열이 6명 중 4명 이상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1) T-림프구를 엽산이 부족한 MEN-FA 배지에서 배양 시 Ara-C는 100개의 분열세포 당 252.1개의 염색체파열을 유도하였으며, Ara-C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25.2개가 관찰되어 Ara-C를 처리한 경우에 염색체파열이 의미 있게 많았다(P<0.05). 2) Ara-C에 의한 염색체파열은 엽산이 부족한 MEM-FA 배지에서 엽산이 충분한 RPMI 1640 배지에서 보다 많이 되었다(P<0.05). 한편, 2.0 mM 농도의 caffeine은 엽산만 부족한 배양 배지에서는 염색체파열을 상승시키지 못했으나, Ara-C와 병행사용 시 상승시켰다. 3) Ara-C에 의해 가장 많이 파열된 부위는 3p14.2.이었으며, 발현된 취약부위는 20부위였다. 4) 발현된 취약부위 중 7 부위는 JUN, SKI, REL, N-MYC, FHIT, MET, ETS-1, FOS의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와 일치하였으며, 15부위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 급성골수성백혈병, 만성림프구성백혈병, 골수이형성성증, 악성흑색종, 신경모세포종, 소세포성폐암, 난소암, 유전성 신장암, 혼합성 지방육종시 염색체상에 이상이 있는 부위와 일치하였다. 결 론 : S기 특이성 항암제인 Ara-C는 정상성인의 T-림프구를 엽산이 부족한 MEM-FA배지에서 배양시 염색체 파열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유도하였다. 한편으로 Ara-C 특이성 염색체 취약부위는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 및 특정 종양에서 관찰되는 특이한 염색체변이가 있는 부위와 상당 예에서 일치하여 아직 알려지지 않은 암유전자를 찾거나 분석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염색체변화와 종양형성과정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