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 림프구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3초

백혈병의 면역학적 표지자검사의 결과분석 (Surface Marker Analysis in Acute Leukemias)

  • 문진영;이채훈;김경동;김정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359-369
    • /
    • 1997
  • 저자들은 1993년 3월에서 1997년 9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임상병리과에 면역학적 표지자 검사가 의뢰된 153명의 백혈병 환자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AML 61례, ALL 46례, FAB 아형이 확정되지 않았던 12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EDTA 항응고처리한 골수나 말초혈액에서 단핵세포층을 분리한후 일련의 단클론항체와 FITC 표지 이차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법을 실시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AML 61례에서의 비전형적인 표지자 표현 양상을 보면 CD7 32.8%, CD10 14.8%, CD5 13.1%, CD2 6.6%, CD4 4.9%, CD19 1.6%의 양성률을 보였고, TdT 양성은 3.9%였다. 혼성 백혈병으로 최종 진단을 내린 경우는 13.1%로 그 중 단구성 계열이 대부분(6/8)이었다. ALL 46례에서의 면역학적 검사에 따른 분류에 따르면 CALLA(+) B precursor형이 65.2%를 차지하였고, CALLA(-) B precursor형이 10.9%, T 세포형 8.7%, B 세포형 2.2%, 혼성림프구형(B&T) 4.3%, 미분화성 백혈병 2.2%였고, 혼성 백혈병으로 진단된 경우는 6.5%였다. 골수성 표지자 양성인 ALL은 CD13이나 CD33 양성인 례가 각각 2.2%였다. 급성 백혈병에서 골수형태와 세포화학검사로 FAB 아형을 확정하지 못한 12례에서 혼성 백혈병이 5례(41.7%)였고, 림프구 계열이 7례(58.3%)였으며 그 중 B 세포계열이 3례, T 세포계열이 3례, 혼성 림프구형(B&T)이 1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는, 면역학적 표지지 검사로 더 정확하게 AML과 ALL을 감별할 수 있었으며, M0, M7 아형진단에도 도움이 되며, 형태학적, 세포화학적검사로 정확히 진단할 수 없었던 급성 백혈병의 분류에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급성 백혈병의 진단을 위하여 FAB 분류 뿐 만 아니라 면역학적 표지자 검사를 함께 시행한다면 보다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유기 유방염 감염우의 유방내 면역저하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I. 유방염 감염우와 정상우의 말초혈액 및 유즙내 림프구 아집단 분포율 비교 (Characterization of immunosuppressive factors in the mastitis-infected mammary gland of non-lactating cows I. Comparison of propor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from peripheral blood and mammary gland secretions of normal healthy cows and mastitic cows)

  • 신동백;박용호;남향미;문진산;주이석;신종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35-646
    • /
    • 1996
  • To establish the effective ways to prevent bovine mastitis, the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ttributable factors causing down-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in mammary gland of non-lactating cows. Lymphocytes from peripheral blood and mammary gland secretions(MGS) were obtained from normal healthy cows and mastitic cows, respectively. Cellular immune responses were examined by comparison of propor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using a set of monoclonal antibodies and flow cytometr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Proportions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 subpopulations expressing BoCD2 and BoCD4 molecules were 32.9%, 15.4% in mastitic cows and 43.3%, 28.3% in normal healthy cows, respectively. The ratios of BoCD4 to BoCD8 were 0.76 and 1.47, respectively. 2. Proportions of mammary gland lymphocyte subpopulations expressing BoCD2 and BoCD4 molecules were 18.5%, 8.3% in mastitic cows and 38.2%, 14.2% in normal healthy cows, respectively. The ratios of BoCD4 to BoCD8 were 0.6 and 2.0, respectively. 3. Proportions of T lymphocyte subpopulations from MG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peripheral blood both in mastitic cows and normal healthy cows. However, lymphocyte subpopulations expressing ACT2 and ACT3, which represent activated T suppressor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GS than those in peripheral blood.

  • PDF

군소(Aplysia kurodai)에서 추출한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 (Immune Regulating Effect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Sea Hare (Aplysia kurodai))

  • 박시향;정세영;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72-378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군소로부터 다당류를 추출 정제한 다당 분획물을 혈액 림프구와 대식 세포주를 사용하여 면역 조절효과를 실험해 보았다. 군소부터 추출 분획한 다당류는 48시간 동안 처리 시 Jurkat cell의 증식률을 40% 이상 증가시켰으며, 혈액암 세포종인 Jiyoye cell에 대하여는 그 성장률이 농도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렇지만 Jurkat cell에 24시간과 48시간 동안 군소 다당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IL-2와 IFN-$\gamma$ 생성량의 유의적인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RAW264.7 cell line에 대하여는 IL-12의 경우는 47% 이상 증가하여, 군소 다당 분획물의 면역 조절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두경부 T 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발생한 진행성 다초점성 백질뇌병증 - 증 례 보 고 -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in a Patient with T Cell Lymphoma of Head and Neck - A Case Report -)

  • 신동아;장종희;장진우;박용구;김태승;정상섭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682-1687
    • /
    • 2000
  •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PML) is a fatal demyelinating disease that occurs in immunocompromised hosts. We report a case of PML that developed in patient with T cell lymphoma of head and neck. During chemotherapy for lymphoma, she was confused and had memory impairment.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revealed confluent signal change at white matter of the frontal lobe, insula, and anterior limb and genu of internal capsule. The lesion was confirmed with brain biopsy and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 was compatible with PML.

  • PDF

Acanthamoeba culbertsoni 감염에 있어서 세포 매개성 면역 (Cell-mediated immunity in mice infected with Acanthumoeba culbertsoni)

  • 김명준;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3호
    • /
    • pp.143-154
    • /
    • 1990
  • 병원성이 강한 Acanthamoeba culbertsoni에 감염된 마우스를 감염 정도에 따라 경(輕)감염, 중(中)등 감염, 중(重)감염 실험군으로 나누었을 때 감염 기간에 따라 발현되는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의 차이를 지연형 과민반응, T와 B림프구의 아세포화 정도 및 자연 살세포의 독성을 통하여 곤찰하고 또한 혈청내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감염 마우스의 사망율은 $3{\times}10^3$개의 아메바 영양형을 감염시킨 경(輕) 감염군에서는 17%였으며, $1{\times}10^4$개를 감염시킨 중(中)등 감염군에서는 34%, $1{\times}10^5$개를 감염시킨 중(重) 감염군에서는 65%였다. 세포 매개성 면역을 관찰하기 위한 지연형 과민반응의 변동을보면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후 7일째 발바닥의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감염 후 14일째에는 감소하였고 각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각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 culbertsoni lysate 및 B 림프구 mitogen인 LPS에 의한 비장세포의 아세포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T림프구 mitogen인 con. A로 처리한 비장세포의 아세포화 정도는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7일 이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림프구 mitogen인 poly I 처리시는 실험군 모두에게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con. A와 poly I에 의한 아세포화 정도에 있어서 각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자연살세포의 세포 독성은 실험군 모두에게 대조군에 비해 감염 후 1일째에 증가되었고 감염 후 5일째에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각 실험군 간에 세포독성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혈청내 항체가는 각 실험군 모두에서 감염 7일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해 계속 증가하였으나 각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결핵 발병과 CD44 유전자 다형성사이의 연관성 연구 (Association between Tuberculosis Case and CD44 Gene Polymorphism)

  • 임희선;이상인;박상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23-328
    • /
    • 2019
  • 결핵균에 의한 만성 세균성 감염인 결핵은 결핵균의 특성, 숙주의 면역상태와 유전적 감수성의 차이에 의해 잠복성과 활동성으로의 진행정도에 차이가 있다. 결핵균에 대한 숙주 방어 기전은 주로 대식세포, T 세포 및 수지상 세포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기인한다. CD44는 결핵균에 감염되면 활성 T 세포에서 발현되며 림프구 이동을 조절한다. 또한 CD44는 ECM에 대한 백혈구의 부착을 매개하여 대식세포, CD4+ T cell 등을 폐로 불러모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D44 유전자의 다형성은 결핵균에 대한 숙주세포의 면역기전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CD44 유전자의 유전자 다형성이 결핵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결핵균과 CD44의 연관성에 대하여 대한 한국 협회 자원의 443명의 cases와 3228명의 control을 이용하여 CD44 유전자의 237개의 SNP를 분석하였다. 이 중 17개의 SNP가 결핵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가장 유의성 있는 SNP는 rs75137824였다(OR=0.231, CI: 1.51~3.56, $P=1.3{\times}10^{-4}$). 또한 결핵 발병에 유의성이 있는 SNP중 rs10488809의 경우는 전사인자 JUND 및 FOS에 결합하는 부위로써 CD44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핵 발병이 CD44 발현 차이에 의한 숙주 면역반응에 차이에 의해서 감수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 낼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결핵균 감염에 대한 숙주면역의 유전적 차이가 결핵 진행정도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유전적 배경에 대한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rypsin과 chymotrypsin이 호산구 화학주성 및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rypsin and chymotrypsin on the chemotaxis and activation of eosinophil)

  • 이명구;김명빈;김진환;윤택중;최정은;김동환;모은경;박명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59-366
    • /
    • 1996
  • 연구배경 : 기관지천식 등의 알레르기 질환의 병인에 호산구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화학주성의 연구는 새로운 변조성분에 대한 호산구의 반응을 평가하는데 in vivo 실험에 앞서 유용한 방법론으로 쓰이고 있다. 탈과립화된 비만세포와 활성화된 T 림프구가 기관지 천식의 병태생리에 관계하며 tryptase는 비만세포의 활성화후 분비되는 단백분해효소 중 하나로써 호산구의 화학주성과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백분해효소의 대표격인 trypsin과 chymotrypsin이 호산구의 화학주성과 활성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자 함에 있다. 방법 : 호산구의 분리는 혼합된 과립구로부터 호중구를 제거하는 면역자기방법으로 하였고 화학주성은 multi-well micro-Boyden chamber로 정량하였으며 ECP 유리정량은 fluoroimmunoassay를 이용하였다. 결과 : 호산구는 trypsin에 화학주성을 보였고 최대의 반응이 $1000{\mu}g/ml$에서 $56.52{\pm}14.50$/HPF로 양성대조군인 PAF에 필적하였다. 반면 chymotrypsin에 대해서는 화학주성을 보이지 않았다. Trypsin으로 처리한 호산구의 ECP 분비능은 trypsin 10, 100, $1000{\mu}g/ml$ 농도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7, 3.7, 6배 높았다. Soybean trypsin inhibitor로 전처치하였을 때 ECP의 분비능은 감소되었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차이가 없었다. 결론 : trypsin은 호산구에 화학주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호산구를 활성화하여 호산구 과립단백의 하나인 ECP를 분비하게 한다고 사료된다. 반면 chymotrypsin은 호산구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폐문부의 림프절 종대 1예 (A Case of Parahilar Lymph Node Enlargement)

  • 이희정;손지웅;최유진;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209-212
    • /
    • 2005
  • 유육종증은 침범된 기관에 T림프구와 단핵구가 축적되고, 비건락성 상피양세포 육아종이 생기면서 정상 조직의 구조가 파괴되는 원인 불명의 비교적 흔한 만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쉰목소리를 보여 기관지 내시경을 하였으나, 마비된 왼쪽 성대 자체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었으며, 컴퓨터 단층촬영과 Gallium-67 스캔에서 비대해진 종격동으로 회귀 후두신경 압박에 의한 임상 양상으로 추측하였고, ACE증가와 피부 병변의 비건락성 육아종을 보였으며 또한 결핵, 진균 등의 침범은 배제할 수 있어 유육종증을 진단하였다. 해외에서는 쉰목소리의 원인으로 유육종증이 진단 된 경우가 종종 보고되고 있으나, 한국에서 드문 것으로 보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일부 자원자들의 이동전화 4시간 연속 사용 후 림프구 DNA 손상 평가 (DNA Damage of Lymphocytes in Volunteers after 4 hours Use of Mobile Phone)

  • 지선미;오은하;설동근;최재욱;박희찬;이은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4호
    • /
    • pp.373-380
    • /
    • 2004
  • Objectives : There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adverse health effects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originating from cell phones which are widely used in modern life. Cell phone radiation may affect human health by increasing free radicals of human blood cells.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identify DNA damage of blood cell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aused by cell phone use.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effect of acute exposure to commercially available cell phones on certain parameters such as an indicator of DNA damage for 14 healthy adult volunteers. Each volunteer during the experiment talked over the cell phone with the keypad facing the right side of the face for 4 hours. Th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Comet assay), which is very sensitive in detecting the presence of DNA strand-breaks and alkali-labile damage in individual cells, was used to assess peripheral blood cells (T-cells, B-cells, granulocytes) from volunteers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cell phone radiation. The parameters of Comet assay measured were Olive Tail Moment and Tail DNA %. Results : The Olive Tail Moment of B-cells and granulocytes and Tail DNA % of B-cells and granulocytes were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nt after 4-hour use of a cell phone compared with controls.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cell phone radiation caused the DNA damage during the 4 hours of experimental condition. Nonetheless, this study suggested that cell phone use may increase DNA damage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other contributing factors.

소아에서 신장 이식 후 발생한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1례 (A Case of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 in a Child)

  • 장원경;한혜원;이미정;김태형;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245-252
    • /
    • 2003
  •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PTLD)는 이식 후 발생하는 림프증식성 질환으로 이식장기의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면역억제제의 사용 및 이에 따른 EBV 감염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소아 PTLD의 경우 성인에 비해 EBV의 초감염 또는 재활성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더 강력한 면역억제제들의 개발 및 사용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본 증례는 14세 여아로 신이식 44개월 후에 EBV 감염의 증거 없이 지발성 PTLD가 발생하였으며 골수 검사상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어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시작하였고, 치료 후 완전 관해는 이루어졌으나 심한 중성구 감소증에 따른 패혈성 쇼크로 입원 77일만에 사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