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ystematics

검색결과 1,613건 처리시간 0.029초

Bacterial Systematics: Importance and Trends

  • Seong, Chi-Nam;Baik, Keun-Sik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7년도 제48회 학술심포지움 및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25.1-25.1
    • /
    • 2007
  • See Full Text

  • PDF

한국산 맵시벌과의 분류학적 연구 8. 참알락 뭉툭맵시벌(뭉툭맵시벌 아과) (A Systematic Study of the Ichneumonidae Hymenoptera) from Korea VIII. The Tribe Cteniscini (Tryphoninae))

  • 차진열;이종욱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2호
    • /
    • pp.137-146
    • /
    • 1988
  • 한국산 참알락뭉툭맵시벌 족을 재고찰한 결과 3 종의 기존종이 확인되었으며, 한국 미기록종인 Cteniscus quadri eps Uchida, SMicroplectrus erosus holmgren 과 Smicroplectrus quinquceinctus GRavenhorst 등 3종이 추가되어 한국산 참알락뭉툭맵시벌 족은 총 6종이 보고된다.

  • PDF

한국산 맵시벌과의 분류학적 연구 9. 자루맵시벌족(뭉툭맵시벌 아과) (A Systematic Study of the Ichneumonidae (Hymenoptera) from Korea IX. The Tribe Phytodietini (Tryphoninae))

  • 차진열;이종욱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권2호
    • /
    • pp.147-164
    • /
    • 1988
  • 한국산 자루맵시벌 족을 재고찰한 결과 9종의 기존종이 확인되었으며, 연구결과 한국 미기록종인 Netelia (Bessobates( kiuhabona Uchida, Netelia (Netelia) laevis Cameron 2 종 및 1 신종인 Netelia (Bessobates) corrensis, n.sp 가 추가됨으로서 한국산 자루맵시벌 족에는 총 12종이 보고된다.

  • PDF

해양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던 한국 천해산 바다거미류 (Korean Shallow-water Pycnogonids based on Collections of the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김일회;홍재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권2호
    • /
    • pp.35-52
    • /
    • 1986
  • 해양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던 한국산 바다거미류를 조사한 결과 총 21종이 밝혀졌는데, 이 중에서 6종은 한국내 미기록종이고 1 종은 신종임이 판명되어 Anoplodactylus hwanghaensis 라고 명명하여 기재 및 도해한다. 또 한국내 미기록종에 대한 고찰과 도해도 첨가한다.

  • PDF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Aleiodes (벌목: 고치벌과: 송충살이고치벌아과)속 4종에 대한 보고 (Four New Records of Parasitoid Wasps of Genus Aleiodes (Hymenoptera: Braconidae: Rogadinae) from South Korea)

  • 이경현;손주형;남궁혜반;임종옥;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49-56
    • /
    • 2023
  • 송충살이고치벌아과의 Aleiodes의 미기록종 4종(A. lipwigi, A. guidaae, A. subemarginatus, A. caprinus)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본 연구에선 종의 동정을 위한 진단, 분포, 삽화 및 DNA 바코드 서열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