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aticit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 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bout Student Nurse)

  • 양승애;정덕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6-165
    • /
    • 2004
  • Purpose: This descriptive - comparison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types of nursing program. Method: The convenience sample was drawn from 472 nursing student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ad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developed by Facione & Facione (1994).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with SAS 6.12 program. Result: 1.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279.06. Inquisitiveness was the highest with an mean score 45.50, while systematicity was the lowest with mean score of 36.1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14.36, p=.00)according to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types of nursing program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5.53, p=.00)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t=-3.15, p=.00), religion(F=3.26, p=.02) and critical thinking course taken previously(t=3.10, p=.00).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F=14.36, p=.00) according to senior nursing students in three types of nursing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logic, philosophy, critical thinking course.

  • PDF

비판적 사고 성향과 기초간호과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Basic Nursing Science)

  • 김정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2호
    • /
    • pp.9-15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related to ability of basic nursing scienc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36 students who were students belong to one of province Universit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CCTDI) by Facione & Facione. The instrument was composed of 7 sub-items, truth-seeking, analyticity, systematicity, open-mindness, critical thinking, self-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matur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with SPSS 12.0.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average of total scor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44.8, which means middle level(below 40: low, above 50: high level). Maturity was the highest while open-mindness was the lowest with an average score 5.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basic nursing science grade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ge, gender, and religion. There was strongly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basic nursing science(F=2.84, p=.01).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influence of internet-use Anatomy clas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Flipped learning method applying-

  • Kim, Jung-ae;Kim, Su-min;Yang, Dong-hw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60-6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et-use Anatomy class, as one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clas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April 10, 2018.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180 people in the first year of a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method application.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28.3% of men and 71.1% of women and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fidence(sub-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only (p<.005). Comparing the scores of critical think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ruth seeking (p<.001), Open-mindness (p<.005), Confidence (p<.001), Systematicity (p<.005), Analyticity (p<.001), and Inquisitiveness (p<.001) score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except Maturity (p>.005).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Flipped learning method applying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hang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y Applying Learning Portfolio Completion

  • Kim, Jung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2-17
    • /
    • 2020
  • This study wa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that analyzed the effect by applying the learning portfolio completion. The study period lasted from October 1, 2019 to November 20, 2019. A total of 47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nalyzed with the SPSS 18.0 program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pplication of the learning portfolio completion (Truth-seeking MD= -0.05, p <0.01), Open-mindness MD= 0.11, p <0.001), Analyticity MD= 0.76, p <0.001), Systematicity MD= -.25, p <0.001), Self-confidence MD=-0.54, p <0.001), Inquisitiveness MD=0.29, p <0.001), Maturity MD=-.0.33, p <0.001). In conclusion, the teaching method applied with the learning portfolio completion actually helped nursing students learn nursing students learn based on critical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 further research using learning portfolio is to be done and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completion to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study guideline development for learners.

예비 수학교사들이 이산수학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Discrete Mathematics Learning)

  • 임해미;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9-109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이 이산수학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의 원인과 배경을 조사·분석하여 교사 교육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산수학 교과목에 대한 설문과 지필평가를 실시하고 여기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산수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가치 인식 공유가 요구된다. 둘째, 이산수학 내용요소의 적정성 및 이수 시수의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예비 수학교사들이 갖는 학습 곤란의 발생 원인을 학습요인 이외의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등 학교수학과 대학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연속성 측면에서 내용요소의 체계성, 계열성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과 중등임용에서의 이산수학 출제 비율 조정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7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비유의 분석 (An Analysis of Analogies in the Chemistry Domai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노태희;안인영;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98-4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비유를 수집하여 빈도를 분석하고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한 27권의 교과서에 사용된 비유는 총 235개로서, 교과서 10쪽마다 평균 1개의 비유가 사용되었다. 비유 사용 빈도는 교과서의 종류나 단원의 내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형별로 비유를 분석한 결과, 기능적 속성을 공유한 비유, 언어와 그림으로 모두 제시된 비유, 추상적인 목표물을 구체적인 비유물에 대응시킨 비유, 부연 비유, 일상 비유, 학생 중심의 비유와 체계성이 낮은 비유가 많았으며, 반대로 교과서 본문에 비유라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비유물의 제한점을 언급하는 경우는 적었다.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비교했을 때, 비유의 사용 빈도는 증가하였고, 표현 방식, 대응 정도, 작위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나머지 유형 기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황새와 학교 습지 비오톱을 연계한 환경교육 방안 (Metho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linking Oriental Stork and school wetland biotope)

  • 윤영선;남영숙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55-6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황새와 학교 습지 비오톱이 갖는 관련성을 탐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환경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텃새 황새 멸종과 복원에 이르는 역사 및 학교 습지 비오톱의 활용성을 고찰하고 환경교육에서 갖는 의미와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전체학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강구하였다. 프로그램은 환경교육 핵심요소를 반영하여 총 17차시로 구성되었으며, 황새라는 구체적인 학습소재와 학교시설로서 습지 비오톱이라는 구체적인 장소를 연계하여 체험과 실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환경교육을 도모하고, 내용의 구체성과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 교과 독립 적용 탐구 (Exploring the Independent Application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성영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65-277
    • /
    • 2021
  •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이 기능과 도구 활용 중심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과 참여의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원격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기초적 지식, 기술 및 역량으로 구성된 준거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은 기능과 도구 중심으로 제시되고, 특정 영역 등에 편중되어 있고 체계성, 연계성 등에서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에 초등 정보교과 독립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과 체계 구성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구성 방안 및 예비교사의 실천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딥러닝의 반복적 예측방법을 활용한 철근 가격 장기예측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Long-Term Prediction of Rebar Price Using Deep Learning Recursive Prediction Meothod)

  • 이용성;김경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1-30
    • /
    • 2021
  • 본 연구는 딥러닝의 반복적 예측방식을 활용하여 5개월의 철근 가격 예측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입력데이터의 특성을 모두 단기예측하여 원 데이터에 추가하고, 추가된 데이터로 다음의 시점을 예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장기 예측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식으로 1개월에서 5개월까지 예측한 철근 가격의 예측 평균 정확도는 약 97.24%이다. 제안된 방식을 통해 인간의 경험과 판단을 통한 가격 추정방법의 체계성을 보완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정확한 비용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철근 이외의 건축재료를 비롯하여 시계열 데이터로 가격을 장기예측하는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 of the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Job Competency

  • Yoo, Je-Bog;Hong, J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85-2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전문직업관이 직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상호작용효과를 구성요인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문직업관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업무 독자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 내 체계성과 객관성이 직무수행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내 구성요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구성요인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과 비판적 사고성향 관리에 기여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