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x Ele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8초

새로운 구문 요소를 이용한 개선된 H.264 동영상 압축 방법 (An improved H.264 Video Encoding using a New Syntax Element)

  • 백성학;문용호;김재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1C호
    • /
    • pp.1123-112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H.264의 동영상 압축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새로운 구문 요소를 제안한다. 기존 H.264 압축 부호화 방식에서는 RUN, MB_type이라는 독립된 구문 요소로서 매크로 블록 정보를 전송한다. 그런데 다양한 테스트 시퀀스들에 있어서 RUN, MB_type 구문 요소들을 하나로 결합할 경우 압축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독립된 2가지 구문 요소를 하나로 통합한 새로운 (RUN, MB_type) 구문 요소를 제안한다. 그리고 보다 성능 개선을 위하여 제안한 구문 요소의 부호로서 화면 종료를 나타내는 EOF 부호를 새로이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모의실험 결과에서는 기존 방식에 비해 제안한 방식이 매크로 블록의 압축률에 있어 최대 15% 향상됨을 보여준다.

HEVC CABAC 복호화기의 역이진화기 설계 (Hardware Implantation of De-Binarizerin HEVC CABAC Decoder)

  • 김두환;김소현;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6-329
    • /
    • 2016
  • HEVC CABAC 부호화기에서는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기 전에 구문 요소를 이진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따라서 HEVC CABAC 복호화기에서도 이진 산술 복호화기를 통해 이진 값으로 나타낸 구문 요소들을 원래의 값으로 역이진화 하는 역이진화기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요소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진 값의 병합을 수행하는 제어기와, 제어기로부터 병합된 이진 값을 원래의 구문 요소로 변환시키는 엔진으로 구성된 역이진화기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설계된 역이진화기는 Verilog HDL로 기술하고 0.18um 공정에서 합성 및 검증하였으며, 하드웨어 크기는 3,114 게이트이고 최대 동작 속도는 220 MHz이다.

다중 부호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H .264/AVC 동적 부호화 방법 (An Efficient Dynamic Entropy Coding by using Multiple Codeword in H.264/AVC)

  • 백성학;문용호;김재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C호
    • /
    • pp.1055-106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H.264/AVC 엔트로피 부호화 방식에서 다중 부호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동적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H.264/AVC에서 사용된 Exp-Golomb 부호어는 정적 확률 분포 특성 때문에 (7)에서 제시한 일원화 구문요소의 심볼 분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다중 부호어 들은 다양한 통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동영상에 따라 일원화 구문 요소를 부호화하기 위해 다중 부호어 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동적 부호화 방법이 제안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방식이 (7)방식에 비해 화질의 열화 없이 압축 효율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다중 부호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H.264/AVC 동적 부호화 방법 (An Efficient Dynamic Entropy Coding by using Multiple Codeword in H.264/AVC)

  • 백성학;문용호;김재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9C호
    • /
    • pp.1244-125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H.264/AVC 엔트로피 부호화 방식에서 다중 부호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동적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H.264/AVC 에서 사용된 Exp-Golomb 부호어는 정적 확률 분포 특성 때문에 [7]에서 제시한 일원화 구문요소의 심볼 분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 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다중 부호어들은 다양한 통계적 특성을 나다낸다. 따라서 주어진 동영상에 따라 일원화 구문 요소를 부호화하가 위해 다중 부호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통적 부호화 방법이 제안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방식이 [7] 방식에 비해 화질의 열화 없이 압축 효율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공간구조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추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tracking analysis for Spatial configuration analysis)

  • 박종현;이종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95-102
    • /
    • 2009
  • An architectural space can be considered a life form that interconnects a number of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the humans who live in i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complexity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each element, but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is architectural space. The Space Syntax that emerged in 1980s has been studied and us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methods. Space Syntax is the space analysis tool that analyzes the physical structure of space and represents it as a graph. Space syntax enables its various applications in space analysis by quantifying each spatial property of a whole structure, analyzing it systemically and objectively based on mathematical logic, and representing the results as a quantitative value. Integration of Space Syntax, a widely used index, reflects human behavior in spatial configuration. Meanwhile,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environmental psychology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 and human behavior by applying behavioral science to architectural plan. One of the most widely used one is spatial behavior simulation which uses models and simulat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o anticipate practical situations and investigate the behavior related spatial problems. In this study, which focuses on the accessibility of the space syntax model, the usefulness of space will be analyzed through the simulation of human behavior that moves through each space. Furthermore, the validity of index will be verified by displaying several examples and compared with integration in space syntax, which represents the usefulness of space.

  • PDF

Mismatches in Korean Copula Constructions and Linearization Effects

  • Chan Chung;Kim, Jong-Bok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 /
    • pp.36-49
    • /
    • 2002
  • One main complexity of the copula constructions concerns a mismatch between morphology and syntactic constituency: the copula seems to form a morphological unit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element, whereas in terms of syntax the copula appears to take this as its syntactic complement. In capturing such mismatches, we show that the copula is treated as an independent verb at the level of tectogrammatical structure (or syntax tree), whereas as a bound morpheme at the level of phonogram-matical structure (or domain tree), in terms of Dowty 1992 (or Reape 1994). This paper, adopting the notion of DOMAIN in HPSG, shows that copula constructions are a subtype of compacting-constructions. These constructions compact the domain value of the copula and that of its preceding element together into one domain unit, eventually making it inert to syntactic phenomena such as scrambling, deletion and pro-form substitution. This construction-based approach provides a clean analysis for the formation of the copula construction and related phenomena.

  • PDF

RDF기반 인터넷 자원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Metadata with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for Internet Resources)

  • 조윤희;이두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7-170
    • /
    • 2000
  • RDF는 모든 자원을 독립적으로 취급하며, 특정 자원과 관련한 자원을 연결하는 모형을 제공하는 인터넷 자원 기술을 위한 통합기술모형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의 분산된 정보환경에서 탐색과 접근을 제공하는 의미와 구조, 구문의 공통적인 규칙인 RDF의 모형과 구문, 스키마 명세와 메타데이터 기술요소인 Dublin Core의 이론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XML의 응용인 RDF를 기반으로 Dublin Core 요소의 DTD 및 스키마, 메타데이터 설계를 구현하였다.

  • PDF

Museum Web 공간의 사용성 평가와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bility test and Space Syntax analysis in Web Museum)

  • 최성욱;황미영;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9-104
    • /
    • 2002
  • The main concept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about how to express the interface element of the virtual museum on tile cyber space and how to evaluate its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basis of this thesis is to help people build their efficient spaces on the current virtual museum. My understanding about the interface element and its structural evaluation is grounded on Usability evaluation and Syntax thesis. For the survey, I utilize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regular questionnaire; the other is heuristic evaluation which is derived from empirical study and practical experience. The survey is mainly composed of contents, design, usability and overall impression. The main concept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initial foundation of the virtual museum on cyber space by suggesting an objective evolutional norm including esthetic orientation.

  • PDF

상업 몰(mall)공간에서 V.P의 주목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Feng-GUI와 space syntax를 적용한 평가방법 제안 -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ology of Attention to V.P in Commercial Mall Space - Proposal of an Evaluation Method through the application of Feng-GUI and Space Syntax -)

  • 이지성;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1-58
    • /
    • 2011
  • As it gets nearer to the modern society,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re changing and the spatial form of public space is changing into the complex structure where it is interlinked with each other diversely. In particular, as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complex spreads nationwide, the form of complex commercial space assuming the nature of malls appears prominently. In such a large-scale complex commercial space, the diverse visual elements make the environment difficult to be perceived. Like this, the attention in the commercial space where a variety of visual stimuli are in the presence, is important element, so the plan of VP(visual presentation) is needed for effectively selecting or inducing the space. Thus, in this study, human visual and perception process will be reviewed and a method to evaluate the attention will be proposed. Also, the attention of each stores in the complex commercial spaces will be evaluated to propose the indicators for resonable spatial panning in the future.

XML 문서 편집을 위한 추상문법 (An Abstract Grammar for XML Document Editing)

  • 신경희;최종명;유재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268-277
    • /
    • 2003
  • 문서내의 태그를 정의하는 문서타입정의(DTD)는 구문구조를 정의하는 XML 문서문법으로 이문법에 따라 작성되는 XML 문서는 파싱처리로 적합성을 확인해야 한다. XML 문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파싱 방법으로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결정적 파싱은 표준에서 언급한 모든 엘리먼트선언에 대한 결정적 내용 모델에 대한 정의를 만족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합한 XML 문서 처리를 위하여 구문 편집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구문편집에 기본이 되는 DTD의 내부표현과 그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하여 기술한다. 문자열로 표현되는 DTD의 엘리먼트선언과 어트리뷰트선언의 문서 논리구조는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그래프구조와 데이블구조로 변환되고, 특히 테이블구조의 구문정보는 속성값을 갖는 문맥자유문법형태로 구문지향적 편집기에 이용되는 문법이 된다. 이 문법을 XML 추상문법이라고 하고 문법생성결과 및 구문편집 예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