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x Ele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3초

단어통사론을 위한 계산 모형 (A Computational Model for the Word-Syntax)

  • 김동주;김한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9권6호
    • /
    • pp.11-23
    • /
    • 2002
  • 한국어 형태론에 대한 기존의 전산모형은 선형적인 것들로 단어 내부구조 분석보다 형태소 분리 문제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선형적 전산모형을 구문 분석 과정과 통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구문 단위 요소의 형성을 위해 형태소 분석 결과를 묶어야만 하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의미적 직관성을 얻기도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리와 구문 요소 형성뿐만 아니라 단어의 구조 분석까지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단어통사론적 시각에 따른 전산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형태소 분리와 변형 문제를 다루기 위해 2단계형태론의 형식화를 도입하고, 품사 문맥을 반영하기 위해 기능성 구분문자를 제안한다. 그리고 형태소의 통사적 결합 검사를 위해 GLR에 기반한 변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일치와 이동 (Agree and Move.)

  • 박승혁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4호
    • /
    • pp.561-585
    • /
    • 2001
  • It has been claimed recently that the two computational operations Move and Agree of Chomsky (2000, 2001a) should be separated into distinct and independent operations. According to this view, Move is an “operation that applies only to meet an EPP-feature of a functional category.” It is also claimed under that analysis that “a candidate for Move is simply a syntactic object with phonetic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hort paper is to show that the operation Move should still be viewed as composite; hence it must have the operation Agree as one of its prerequisites. We argue that the EPP feature of T may not be analyzed as an independent feature that triggers overt displacement in syntax. Under Chomsky's (2000, 2001a) theory, displacement in syntax must require the probe-goal (P, G) association before the actual movement takes place. It is shown in this paper that in order for an element $\beta$ to raise to the [Spec, T] position, the $\varphi$-features of T must establish a (P, G) relation with those of $\beta$ prior to movement. In short, Move requires Agree, the EPP feature being dependent on the minimal $\varphi$-feature [person] of nominals.

  • PDF

구조 기반 BPMN 모델의 Feature 모델로 변환 기법 (A mechanism for Converting BPMN model into Feature model based on syntax)

  • 송치양;김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33-744
    • /
    • 2016
  • BPMN 모델로부터 휘처(Feature) 모델로 변환하는 기존 방법들이 도메인 분석가의 직관에 의존하여 자동화된 변환이 어려운바, 비즈니스 모델링 연계의 휘처 지향 개발의 활성화에 저해가 되고 있다. 본 고는 구조 기반의 BPMN 비지니스 모델을 휘처 도메인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호 이질적인 BPMN(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과 FM(Feature Model) 모델간의 변환을 위해서, 액티비티의 구조에 기반한 그룹핑 기법을 정의하고, 이들 모델의 공통 구조물인 요소(비지니스 기능을 표현)와 구조(요소간 관계 및 프로세스)에 기반해서 모델간 변환 규칙과 방법을 정립한다. 온라인쇼핑몰 시스템을 대상으로 적용 사례를 보인다. 이로서, BPMN 모델로부터 휘처 모델로의 기계적인 혹은 자동화된 구조 변환을 도모할 수 있다.

참조용어(Reference Terminology) 모델 확장을 위한 한의학용어 정형화(Normalization) 연구 (A stud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erm's Normalization for Enlarged Reference terminology model)

  • 전병욱;홍성천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
    • /
    • 2009
  • The discipline of terminology is based on its own theoretical principles and consists primarily of the following aspects: analysing the concepts and concept structures used in a field or domain of activity, identifying the terms assigned to the concepts, in the case of bilingual or multilingual terminology, establishing correspondences between terms in the various languages, creating new terms, as required. The word properties has syntax, morphology and orthography. The syntax is that how words are put together. The morphology is consist of inflection, derivation, and compounding. The orthography is spelling. Otherwise, the terms of TKM(Traditional Korean Medicine) is two important element of visual character and phonetic notation. A visual character consist of spell, sort words, stop words, etc. For example, that is a case of sort words in which this '다한', '한다', '多汗', '汗多' as same. A phonetic notation consist of palatalization, initial law, etc. For example, that is a case of palatalization in which this '수족랭', '수족냉', '手足冷', '手足冷' as same. Therefore, to enlarged reference terminology is a method by term's normalization. For such a reason, TKM's terms of normalization is necessary.

  • PDF

EXPRESS 데이타를 XML 문서로 변환하는 번역기 (An EXPRESS-to-XML Translator)

  • 이기호;김혜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6호
    • /
    • pp.746-755
    • /
    • 2002
  • EXPRESS는 공학 분야의 제품 정보를 기술하는 언어로서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EXPRESS를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종류는 제한적이며 이에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XML은 웹 상에서 데이타의 관리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웹은 사용 및 접근이 쉽고 저렴하기 때문에 XML로 쓰여진 데이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므로 데이타 교환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따라서, EXPRESS로 기술된 정보를 XML로 표현할 경우,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웹 상에서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정보가 기존보다 더 폭넓고 손쉽게 사용되어 원활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EXPRESS 정보를 각각 그에 대응하는 XML DTD와 XML 스키마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EXPRESS의 각 문법 요소들을 분류하고 이 요소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복합적인 경우를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XML DTD 요소와 XML 스키마 요소로 나타내는 번역 규칙을 제시한다. 또한, 이 번역 규칙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는 XML DTD와 XML 스키마로 변환하는 번역기를 구현한다.

고층아파트단지 필로티 공간의 이용도와 공간구문론 동선관련 지표값과의 상관성 연구 -화성동탄신도시아파트를 중심으로- (Interrelationship Study about Pilotis space utilization in high-rise apartment complex and indicator values related with Space Syntax circulation -Focusing on Hwaseong Dongtan Newtown Area Apartment-)

  • 송병하;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73-568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고층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요 계획요소로 자주 채택되고 있는 저층부 필로티 공간의 이용실태를 관찰조사하고 공간구문론 축선도 분석(axial analysis)을 통한 동선관련 지표값들(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과 비교하여 단지내 필로티 공간의 배치와 공간 이용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혀 향후 아파트 단지내 필로티 공간 배치 계획 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필로티 공간은 '단순 이동' 공간으로만 주로 이용되고 있어 주민커뮤니티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주동별 필로티 공간의 이용 빈도 격차는 '돌출형 출입+필로티 부가형' 단지가 '필로티 출입형' 단지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고, 환경파괴(vandalism) 현상도 더 관찰되고 있다. 셋째, 필로티 공간의 이용도는 공간구문론의 동선관련 지표값인 연결도, 통제도,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와 관련이 있으며,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값이 높은 필로티 공간은 이용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고, 최소 2가지 이상의 지표값이 낮은 필로티 공간은 이용빈도가 낮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각적 측면에서 랜드마크 요소의 최적입지선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Location Selection and Analytic Method of Landmark Element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 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60-6367
    • /
    • 2015
  • 랜드마크와 같이 시각적 인지가 용이해야 하는 요소의 입지 선택은 공간설계과정에서 많이 등장하는 화두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시각적 요소의 가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활용한 그래프 분석기술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분석의 틀이 평면적이고 시점과 대상점의 설정이 고정적이어서, 실질적인 분석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환경에서 동적 시점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비지향성 다차원 가시도 분석(MDVC-N) 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3차원 컴퓨터그래픽기술을 이용하여 분석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시점과 대상점을 설정하는 스크립트 구조를 설계하였다. 여기에 고저차를 갖는 지형에 다양한 높이의 건물이 배치되어 있는 복합화된 대지를 예시모델로 적용하여 분석방법론을 검증하고 입지별 대안의 시각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6개의 대안을 설정하여 정량적인 가시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2) 3차원 그래프로 재현하여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3)공간구문론의 국부통합도를 공간이용행태 변수로 보정한 결과를 산출함으로서 분석의 적용성을 향상시켰다.

XML DTD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구조 정보 및 인덱스 메카니즘 (An Index Mechanism and Structure Information for Efficient Retrieval of XML DTD)

  • 김영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80-86
    • /
    • 2003
  • XML은 웹 상에서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데 있어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언어이다. XML로 표현된 정보는 의미가 부여됨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빠른 검색을 제공한다. 반면에, XML 문서는 논리적으로는 유사하지만 구조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표현방식으로 작성됨으로 인해, 이 기종 시스템 및 장치를 갖는 문서처리 환경에서 문서를 교환하고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XML DTD로 변환하고, 동일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구조로 작성된 XML DTD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조 정보 표현과 인덱스 메카니즘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특정 엘리먼트에 대한 효율적이고 빠른 검색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간단한 연산으로 엘리먼트에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 PDF

기능과 복도유형에 따른 요양병원 외래진료부·중앙진료부의 공간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Configuration of Central Medical Treatment Part and Outpatient Part at Geriatric Hospital according to Function and Corridor Type)

  • 배선미;윤소희;김석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7-15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linkage and spat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 department and diagnosis/treatment area of geriatric hospitals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function and corridor types. Methods: To exam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of outpatient department and diagnosis/treatment area of six geriatric hospitals according to the corridor type, were systemized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corridor type and made into a j-graph, and an index was created by using space syntax to understand spatial characteristics. Results: 1) Different functional spaces are connected by a corridor, which, therefore, can be an axis of the connectivity and linkage of functional spaces and an important element in a clear hierarchy. 2) Treatment areas were disconnected from different functional spaces and, therefore, the accessibility was low. Many hospitals had an arrangement plan for treatment and diagnosis areas, and recent hospitals have segmented treatment areas within the rehabilitation space, which resulted in deeper space. 3) In terms of the level of integration, more integrated reception area meant shallower spatial depth, and deeper space for treatment and diagnosis areas. Implications: Spatial relation of outpatient department of geriatric hospitals was analy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양동마을 조선 상류주거에 대한 공간사회학적인 비교 분석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of Upper Class Housing the Chosun Dynasty - Focus on the Yang-Dong Village -)

  • 이동찬;채현수;김정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1호
    • /
    • pp.35-51
    • /
    • 2004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upper class house in Yang-dong village with the purpose of spatial-sociological study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Space is the basic element of architecture and is fundamental for understanding architecture. Space, however,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its social context rather than through its physical or psychological attributes. Space exists in a society, provi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frames it Social environment affects the thoght of people who are members of that society. Space is built by the people in a society and is affected by their thought. Spatial-sociological study can explain a mutual rela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through context. It defines characteristics of space based on mutual relations which exist among the people, the culture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of society but also having a sociological component, study of architectural space should consider the social context. Since architectural space is built on social and cultural bases, to understand it requires various methods of study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is one alternative. Using space syntax, this study analyzes houses in Yang-dong village by not only defining attributes of individual houses, but also common attributes of houses in the village. Based on common attributes of houses in the village, the attributes of Yang-dong village houses can be re-defined within the social context. the results from a spatial-sociological analysis of upper class housing of the Yang-dong village are as follows; (1) Related to confucian ideas in Chosun Dynasty : A house has a dualistic center organized with 'an-chae' and 'sarang-chae'. 'an-chae' space is organized unsociably from outside. (2) Related to various space pattern of Yang-dong village House in the Chosun Dynasty period :As variations in the types of space pattern, the village house exhibit different attribu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