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x

검색결과 771건 처리시간 0.028초

XML 구문지향 편집기의 자동 생성 방안 (A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of XML Syntax-Directed Editor)

  • 유재우;박호병;조용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6B호
    • /
    • pp.369-376
    • /
    • 2005
  • XML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 사용자가 XML 문서를 작성하기란 아직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XML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XML 구문지향 편집기를 소개하고, 구문지향 편집기의 내부 자료구조인 추상구문을 정의하고, 정의된 추상구문 규칙으로 문서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또한 DTD로부터 추상구문 규칙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XML 구문지향 편집기를 생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추상구문의 구조와 구문지향 편집기의 작성 절차를 통하여 더욱 용이하게 XML 구문지향 편집기 생성이 가능하다.

Development of an Arden Syntax Translator for Building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with XML

  • Doo, Sung-Hyun;Jung, Chai Young;Bae, Jong-M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19-126
    • /
    • 2015
  • CDSS provides clinical doctors with knowledge to be required when they diagnose or make decision about treatment strategy. Arden Syntax is one of the language with which we write MLM that is a component of CDSS. It was designated as a standard by HL7/ANSI. ArdenML is an XML version of Arden Syntax. In this paper we propose a tool which translates Arden Syntax MLMs into ArdenML MLM. To this end we first defines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wo languages. Next we presents a modified version of Arden Syntax grammar to improve performance of lexical analysis and minimize parsing conflicts. Finally we presents syntax and semantics gaps between the both languages, which are a structural representation problem, a data type problem, and a disrelation problem. Our translator resolves such issues and generates exact ArdenML codes for an arbitrary Arden Syntax MLM.

이식성을 위한 메타데이터 기반의 CDSS 구축 (Implementation of Meta Data-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Portability)

  • 이상영;이윤현;이윤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21-229
    • /
    • 2012
  • A model for expressing meta data syntax in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portability of the Arden Syntax in medical treatment. In this model that is Arden syntax uses two syntax checking mechanisms, first an XML validation process, and second, a syntax check using an XSL style sheet. Two hundred seventy-seven examples of MLMs were transformed into MLMs in ArdenML and validated against the schema and style sheet. Both the original MLMs and reverse-parsed MLMs in ArdenML were checked using a Arden Syntax checker. The textual versions of MLMs were successfully transformed into XML documents using the model, and the reverse-parse yielded the original text version of MLMs.

Space Syntax를 이용한 서울시 버스개편의 접근성 효과 분석 (Accessibility (serviceability) of Hierarchical Bus Network in Seoul)

  • 이병욱;이승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63-1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pace Syntax와 통행시간을 이용하여 접근성 산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Space Syntax는 네트워크의 연결성이나 접근성을 정량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통에서 중요한 요소인 통행시간이나 거리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환승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적(Inner Product) 개념을 도입하여 Space Syntax와 대중교통노선의 단위를 일치시켜 링크 단위로 변화하였으며, 통행시간의 변수를 추가하였다. 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서울시 강남구를 대상으로 서울시버스 개편효과를 분석하였다. 접근성 산출 결과 서울시 버스개편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Using Syntax and Shallow Semantic Analysis for Vietnamese Question Generation

  • Phuoc Tran;Duy Khanh Nguyen;Tram Tran;Bay V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0호
    • /
    • pp.2718-2731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using syntax and shallow semantic analysis for Vietnamese question generation (QG). Specifically, our proposed technique concentrates on investigating both the syntactic and shallow semantic structure of each sentence. The main goal of our method is to generate questions from a single sentence. These generated questions are known as factoid questions which require short, fact-based answers. In general, syntax-based analy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approaches within the QG field, but it requires linguistic expert knowledge as well as a deep understanding of syntax rules in the Vietnamese language. It is thus considered a high-cost and inefficient solution due to the requirement of significant human effort to achieve qualified syntax rules. To deal with this problem, we collected the syntax rules in Vietnamese from a Vietnamese language textbook. Moreover, we also used differen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echniques to analyze Vietnamese shallow syntax and semantics for the QG task. These techniques include: sentence segmentation, word segmentation, part of speech, chunking, dependency parsing,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We used human evaluation to assess the credibility of our model, which means we manually generated questions from the corpus, and then compared them with the generated questions. The empirical evidence demonstrates that our proposed technique has significant performance, in which the generated questions are very similar to those which are created by humans.

METHODOLOGICAL VARIATIONS IN TEXTBOOKS OF TURKISH GRAMMAR AND SYNTAX USED IN TURKISH UNIVERSITIES

  • TURAN, FIKRET
    • Acta Via Serica
    • /
    • 제3권1호
    • /
    • pp.27-42
    • /
    • 2018
  • Textbooks of Turkish grammar and syntax that are commonly used in Turkish universities demonstrate certain differences of approach, interpretation and terminology of syntax.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syntactic approaches that are implemented in the grammar works of Muharrem Ergin, Tahsin $Banguo{\breve{g}}lu$ and Tahir Nejat Gencan, and in the syntax works of Leyla Karahan, Mustafa ${\ddot{O}}zkan$ & Veysi Sevinçli and H. ${\dot{I}}brahim$ Delice as the most commonly used textbooks, and determine resemblances and variations of syntactic approaches between them. It is concluded that, among others,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s between these works concern the constructions of the non-finite subordination, the ki-subordination and compound sentences.

Space Syntax 기법의 대중교통망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pplying the Space Syntax Technique to the Network of Public Transportation)

  • 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3-77
    • /
    • 2004
  • 대도시의 도심 정체나 대중교통 장려책과 같은 요소로 인해 대중교통에 대한 관심과 이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선의 설계나 배분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고 적절한 정량적인 방법론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선의 공급과잉이나 공급부족으로 인해 접근성이 지역간에 편중되어 나타나며, 도시 각 구역의 정류장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시간과 비용, 심적 부담에 있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한편, Space Syntax 이론은 도시공간이나 건축공간의 접근성을 공간의 기하학적인 연결구조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Space Syntax 이론을 대중교통 문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수정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간략한 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이를 적용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 PDF

실내공간을 위한 기반 Syntax 접근성 분석 알고리즘 (Syntax-based Accessibility Analysis Algorithm for Indoor Spaces)

  • 김혜영;전철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7-256
    • /
    • 2007
  • 접근성은 주로2차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도시나 교통문제 등에 적용되어왔다. 그러나 대규모 복합 건물들이 생겨나면서 접근성과 같은 계량적인 측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Space Syntax에서의 접근성 산출방법과 이를 3차원 공간 내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래 Space syntax는 거리나 시간과 같은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토폴로지 기반의 이론이지만,본 연구에서는 공간간 거리,층간 이동 등의 부하를 고려함으로써 공간의 깊이를 산출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캠퍼스 건물모델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HEVC CABAC 복호화기의 역이진화기 설계 (Hardware Implantation of De-Binarizerin HEVC CABAC Decoder)

  • 김두환;김소현;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6-329
    • /
    • 2016
  • HEVC CABAC 부호화기에서는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기 전에 구문 요소를 이진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따라서 HEVC CABAC 복호화기에서도 이진 산술 복호화기를 통해 이진 값으로 나타낸 구문 요소들을 원래의 값으로 역이진화 하는 역이진화기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요소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진 값의 병합을 수행하는 제어기와, 제어기로부터 병합된 이진 값을 원래의 구문 요소로 변환시키는 엔진으로 구성된 역이진화기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설계된 역이진화기는 Verilog HDL로 기술하고 0.18um 공정에서 합성 및 검증하였으며, 하드웨어 크기는 3,114 게이트이고 최대 동작 속도는 220 MHz이다.

Space Syntax 기반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 추천 애플리케이션 (Space Syntax-based Application to Recommend Paths for Female's Safe Leisure Life)

  • 임원준;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27-13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Space Syntax 이론을 적용한 여성의 안전한 여가활동 경로를 추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구축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이 우선순위로 가지는 최단시간, 최단거리 탐색과는 다르게,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접근성, 지역 간 상호관계 등을 바탕으로 추천경로를 생성하고 여성의 여가활동에 있어 다양한 위험요소를 염두에 두게 된다. 결과적으로 Space Syntax 알고리즘을 통해 여성 사용자들의 주관적 선택사항이 적용된 자기맞춤형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