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ctic Analysis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6초

구문 분석과 One-Stage DP를 이용한 연속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ontinuous Digits using Syntactic Analysis and One-Stage DP)

  • 안태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7-104
    • /
    • 1995
  • 본 논문은 음성 다이얼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연속 숫자음 인식에 관한 연구로써,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P에 의한 음성 인식 방법을 제안하다. 인식 실험을 위해 우선 구간 구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MS (Dynamic Multi-SEction) 모델을 만들며, 제안된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P 방법으로 실험 대ㅛ상의 연속 숫자음 데이터를 인식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명의 ㅣ남성 화자에 의해 2-3번 발음도니 21종의 7자리의 연속 숫자음이 사용되었고, 기존의 One-Stage DP와 제안된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P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화자 종속과 화자 독립 실험을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제안된 방법이 인식률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안된 방법에서는 화자 종속과 화자 독립 실험에서 각각 약 91.7%, 89.7%로 나타났다.

  • PDF

구문 의존 경로에 기반한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 인식 (Detection of Protein Subcellular Localization based on Syntactic Dependency Paths)

  • 김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4호
    • /
    • pp.375-382
    • /
    • 2008
  •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를 인식하는 것은 생물학 현상의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생물학 문서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 정보를 문서 내용으로부터 얻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논문들은 문장의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고자 하였으며, 언어학적 정보가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를 인식하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시스템들은 구문 정보를 얻기 위해 부분 구문분석기만을 사용하였고 재현율이 좋지 못했다. 그러므로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전체 구문분석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더 많은 언어학적 정보를 위해 의미 정보 또한 사용이 가능하다.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은 전체 구문분석기와 어휘망(WordNet)을 기반으로 한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각 단백질 단어로부터 그 단백질의 위치후보에까지 이르는 구문 의존 경로를 구축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구문의존 경로의 루트 정보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단백질 부분트리와 위치 부분트리의 구문-의미 패턴을 추출한다. 구문 의존 경로의 루트와 부분트리로부터 구문태그와 구문방향을 구문 정보로서 추출하고, 각 노드 단어의 의미태그를 의미 정보로서 추출한다. 의미태그로는 어휘망의 동의어 집합(synset)을 사용한다. 학습데이터에서 추출한 루트 정보와 부분트리의 구문-의미 패턴에 따라서, 실험데이터에서 (단백질, 위치) 쌍들을 추출했다. 어떤 생물학적 지식 없이, 본 논문의 방법은 메드라인(Medline) 요약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 결과에서 학습데이터에 대해 74.53%의 조화평균(F-measure), 실험데이터에 대해서는 58.90%의 조화평균을 보였다. 이 실험은 기존의 방법들보다 12-25%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SVM을 이용한 절-절 간의 의존관계 설정 (Determining the Dependency among Clauses based on SVM)

  • 김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2호
    • /
    • pp.141-144
    • /
    • 2007
  • 문장이 길어질수록 구문분석의 정확률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문장을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단위로 구문분석을 수행한 후 각 구문분석결과를 합쳐 완성된 구문트리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주로 절 단위로 문장이 분할되고, 각 절의 구문분석결과를 통합하게 되는데, 통합 과정에서 절-절 간의 의존관계 설정에 많은 오류가 생긴다. 이러한 절 간의 의존관계의 애매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절-절 간의 의존관계를 분석해 본다. Support Vector Machines(SVM)을 사용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본 논문에서 실험한 방법과 기존의 방법들의 성능을 비교해 본 결과, 절-절 간의 의존관계 설정에 있어서 $8.88{\sim}15.35%$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Representing Topic-Comment Structures in Chinese

  • Pan, Haihua;Hu, Jianhua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 /
    • pp.382-390
    • /
    • 2002
  • Shi (2000) claims that topics must be related to a syntactic position in the comment, thus denying the existence of dangling topics in Chinese. Under Shi's analysis, the dangling topic sentences in Chinese are not topic-comment but subject-predicate sentences. However, Shi's arguments are not without problem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opics in Chinese can be licensed not only by a syntactic gap but also by a semantic gap/variable without syntactic realization. Under our analysis, all the dangling topics discussed in Shi (2000) are, in fact, not subjects but topics licensed by a semantic gap/variable that can turn the relevant comment into an open predicate, thus licensing dangling topics and deriving well-formed topic-comment constructions. Our analysis fares better than Shi's in not only unifying the licensing mechanism of a topic to an open predicate without considering how the open predicate is derived, but also unifying the treatment of normal and dangling topics in Chinese,

  • PDF

낭독체에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들의 운율구 실현 양상 -청취실험을 바탕으로- (Aspects of Prosodic Phrases' Formation Produced by Chinese Speakers in the Reading of Korean Text)

  • 윤영숙
    •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29-4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Chinese speakers realize Korean prosodic phrases in the reading of Korean texts. Prosodic phrase, in this study, is defined as basic unit of spoken language which can be perceived as purely separate phonetic unit by both hearer and speaker, and is realized with a coherent intonational configuration. Prosodic phra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th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rosody influences the accuracy and fluency of spoken languag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spect of syntagmatic operation of prosody that produces prosodic phrases. We have specificall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osodic phrase's boundary and its syntactic status. Furthermore, we examined internal syntactic structure of each prosodic phrase. And the results of each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aspects of prosodic phrases' formation produced by native Korean speakers. The results show that Chinese speakers tend to coincide the prosodic phrases with syntactic structure more than native Korean speakers.

  • PDF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English Gerunds

  • Kim, Yong-Beom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7권2호
    • /
    • pp.117-137
    • /
    • 2003
  •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n alternative analysis involving categorical issues related to English gerunds. Especially, this paper rejects Maulof's approach that creates a new syntactic category gerund by mixing nominal and verbal categories. This paper identifies two syntactic structures in English gerunds: nominal gerunds and verbal gerunds. This distinction is based on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is intended to account for the external distribution and endocentricity of the construction. Treating verbal gerunds syntactically as verbal categories, this paper proposes that English verbal gerunds act like other verbal categories such as infinitives whereas nominal gerunds behaves much like derived nominals. This paper proposes a few lexical rules that can take care of the two types of gerunds. The proposal can be extended to prepositional complements as well as sentential subject positions. This proposal not only resolves the issues involving distributional properties of the gerund construction but also captures syntactic parallelism observable between gerunds and other verbal constructions in English.

  • PDF

Effect of Using QuillBot on the Writing Quality of EFL College Students

  • Hye Kyung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42-47
    • /
    • 2023
  • The majority of research on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AWE) programs has focused primarily on Grammarly, whereas QuillBot and its us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rooms remains limitedly explor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QuillBot on the writing quality of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6 participants took pre- and post-writing tests, and four analytical tools were applied to assess their writing quality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diversity, lexical richness, and readability. Results of the syntactic complexity analysis across the four indices demonstrates that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FL writing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tantial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lexical richness and read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QuillBot can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Grammarly and assist EFL writers in improving their overall writing quality.

GPSG를 이용 구문 해석기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NATURAL LANGUAGE PARSER USING GPSG)

  • 우요섭;김영섭;김한우;최병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7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1144-1147
    • /
    • 1987
  • This paper designs parser using GPSC for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of English input sentences. By use of a number of unification-based principles and Tomita's algorithm, syntactic analysis is described. Also in semantic analysis, Montague semantics is used.

  • PDF

한국 대학생의 에세이에 나타난 영어 능력 수준과 통사적 복잡성 간의 관계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Syntactic Complexit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39-444
    • /
    • 2021
  • 본 연구는 자동화된 통사 구문 분석 프로그램인 TAASSC를 활용하여 한국 대학생의 에세이에 나타난 영어능력 수준과 통사적 복잡성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ICNALE 코퍼스에 포함된 한국인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를 분석하였고, 구 복잡성 지표와 절 복잡성 지표가 영어 수준을 얼마나 잘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구 복잡성 지표는 영어 능력 수준 변인의 8%, 절 복잡성 지표는 약 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절 복잡성 지표가 구 복잡성 지표보다 한국인 대학생의 영어 수준을 조금 더 잘 예측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구 복잡성 지표가 쓰기 능력 발전의 표준이 된다는 Biber 외(2011)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