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ovial Sarcom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연조직종양의 조직 성분 평가를 위한 자기공명영상: MEDIC 과 지방억제 T2 영상의 비교 (MRI Evaluation for the Histologic Components of Soft-tissue Tumors: Comparison of MEDIC and Fast SE T2-weighted Imaging)

  • 문태용;이인숙;이준우;최경운;김정일;김의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8
  • 목적: 연조직종양의 조직 성분을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하는데 MEDIC과 지방억제 T2 영상을 비교하여 더 나은 검사방법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연조직종양 10예 (신경집종 3예, 혈관종 2예, 지방종 1예, 혈관각화종 1예, 윤활막육종 1예, 지방육종 1예 그리고 악성섬유조직구종 1예)에서 25 조직 성분 (혈관 5예, 신경 4예, 섬유성 4예, 과세포성 4예, 출혈성괴사 2예, 낭성 2예, 지방성 2예, 점액버팀질 1예, 그리고 혈전 1예)을 선택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조직 성분과 일치하는 동일 단면상을 가진 MEDIC과 지방억제 T2영상에 동일한 크기의 관심영역을 그려 불균질치를 얻었다. 불균질치는 영상의 불균질성을 나타내는 표준편차 값을 관심영역에서 얻은 신호강도 평균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결과: 25 조직 성분의 불균질치는 MEDIC 보다 지방억제 T2영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p < .001). 결론: MEDIC 영상은 불균질치가 현저히 낮으므로, 자기공명영상으로 연조직종양의 조직 성분을 평가하는데 지방억제 T2영상 보다 MEDIC 영상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성인에서 발생한 중배엽성 신종의 폐전이 1예 (A Case of Lung Metastasis of Mesoblastic Nephroma in Adulthood)

  • 문진욱;김길동;신동환;한창훈;정재호;박무석;정상윤;이재혁;김영삼;김세규;김성규;장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402-407
    • /
    • 2003
  • 저자 등은 성인에서 드물며, 또한 국내에서 원격전이를 일으킨 예가 보고된 바 없는 중배엽성 신종이 35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하여 신적출술 7년 후 폐전이로 하나의 큰 종괴를 형성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슬관절 주위 악성 및 침윤성 골종양의 분절 절제술 후 회전 성형술 (Segmental Resection and Rotationplasty of Malignant and Aggressive Bone Tumors Around Knee)

  • 한수봉;박홍준;김형식;김성훈;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1-58
    • /
    • 2001
  • 목적 : 어린이나 혹은 성인에 생긴 대퇴부 절단술이 필요한 슬관절 주위의 악성 및 침윤성 골종양에서, 분절 절제 및 회전 성형술을 시행한 치험례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2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슬관절 부위의 악성 및 침윤성 골종양으로 하지 분절 절제 및 회전 성형술을 시행 받은 2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악성종양의 경우 평균 57(6~120)개월이었고, 평균 연령은 21.4(5~37)세였다. 26례 중 stage IIB 이상의 골육종이 18례, 활막 육종이 2례, 병적골절 또는 재발된 거대 세포종이 6례였다. 결과 : 기능적 결과는 사망 또는 절단술을 받은 4례를 제외한 22례에 대하여 Shriner's rating system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18례에서 우수, 3례에서 양호, 1례는 보통이었다. 족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11^{\circ}$(족배굴)~$80^{\circ}$(족저굴)였으며, 보조기 착용 후 일상 생활의 보행이 가능하였다. 국소 재발은 2례, 원격 전이는 10례에서 관찰되었다. 초기 합병증은 혈전증 3례와 패혈증 1례가 있었다. 후기 합병증은 불유합 및 지연유합이 6례, 부정 회전이 2례, 족관절의 운동제한이 1례 있었다. 결론 : 약 10세 미만의 소아에서 많은 하지 부동이나 성장에 따른 골수강의 확장으로 종양 삽입물의 해리가 예상되는 경우와 악성 및 침윤성 골종양으로 절단술이 불가피한 경우에, 기능적으로 우수한 회전 성형술은 부분 사지 구제술로써 유효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