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ine odor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9초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비육돈사 배기덕트 시설의 악취저감 효과 (Odor Removal Efficiency of Biofilter Ducting Systems in Indoor Pig House)

  • 송준익;최홍림;최희철;권두중;유용희;전중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5-200
    • /
    • 2007
  • 무창 육성 비육돈사에 대한 악취 제어 효율 비교분석을 위하여 Biofilter 덕트에 의한 악취 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서울대 부속목장 실험돈사에서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창 육성비육돈사에서 여름철 최대 배기시 바이오필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속도는 볏짚(.0.77 m/s), ALC(0.56 m/s)으로 측정되었다. 2. 실험시작 5일 후 가스검지기(GV-100)에 의한 간이측정시 암모니아($NH_3$) 농도는 필터 통과 후 볏짚($2mg/{\ell}$), ALC(3ppm)로 측정되어 부자재 사이의 공극율이 높은 볏짚이 높게 나타났다. 부자재에 따른 필터외부에서의 먼지측정 결과 볏짚($93\;mg/m^3$), ALC($32\;mg/m^3$)으로 측정되어 볏짚은 볏짚 간의 넓은 공극에서 발생하는 먼지 및 돈사내부의 먼지가 혼합되어 필터 외부로 배출되어 돈사내부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3. 황화수소($H_{2}S$) 가스농도 변화는 돈사내부에서는 측정일 7일(6 ppm), 21일(5 ppm) 및 36일(7 ppm) 경과함에 따라 어느 일정 시점에서 황화수소 가스농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다른 필터여재에서는 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창 육성비육 돈사에서 Biofilter를 이용한 악취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arcass trait, meat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cently-synthesized Woori Heukdon and commercial LYD pigs under identical rearing condition

  • Van-Ba Hoa;Dong-Heon Song;Ye-Jin Min;Kuk-Hwan Seol;Sun-Moon Kang;Hyun-Wook Kim;Sung-Sil Moon;Soo-Hyun Ch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943-952
    • /
    • 2023
  • Objective: For decades, LYD ([Landrace×Yorkshire] ♀×Duroc ♂) pigs are the most commonly-used commercial breed for meat production in Korea. Recently,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premium pork,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Korea) has synthesized a novel pig breed named Woori Heukdon (WHD).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carcass traits, meat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LYD and WHD pigs under identical rearing condition. Methods: The WHD and LYD pigs (n = 15 each) were rear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and fed the same commercial diet until reaching recommended market weight (100 to 120 kg). After slaughter, the carcasses were evaluated for traits and meat yield, and the meat quality was assessed on shoulder butt and belly cuts.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occurred in slaughter weight between two pig types, WHD had a lower meat yield (by about 6 kg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7%) compared to the LYD pigs (p<0.05). The WHD had a higher fat content (by 4.26% and 13.52% in the shoulder butt and belly,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LYD pigs (p<0.05). The WHD meat showed a lower cooking loss and higher a* (redness) value (p<0.05). The WHD belly had a significantly (p<0.05) higher oleic acid content and concentrations of nonanal, octanal and decanal associated with fatty odor while, the LYD meat had a higher number of pyrazines associated with roasty odor. Regarding sensory quality, higher flavor, juiciness, and acceptability higher scores were given for the WHD meat than for the LYD meat (p<0.05). Conclusion: Under identical rearing conditions the WHD exhibited a better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However, the use of this diet resulted in a high fat level that may be associated with high trimming loss for the WHD.

In vitro Fermentation of Rumen Microorganisms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Bacterio-mineral Water (BMW) Produced from Bio-reacted Swine Manure

  • Kim, Chang-Hyun;Park, Joong Kook;Lee, Gi Yeong;Seo, In Jo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35-1439
    • /
    • 2005
  • Bacterio-mineral water (BMW) produced from manure has been known to exert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on animal production and odor control.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BMW produced from bio-reacted swine manure on in vitro gas production, cellulose degradation, microbial growth and fibrolytic enzyme activities of mixed rumen microorganisms. The five levels of 0, 0.001, 0.005, 0.01 and 1.0% BMW were supplemented into serum vials containing mixed rumen microorganisms. Incubations were carried out anaerobically at $39^{\circ}C$ without shaking for 0, 12, 24, 48, 72 and 96 h. There were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for the initial rate of gas production. At 72 h incubation, the gas production tended (p<0.1) to be increased by the 0.01 and 1.0% BMW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0.001% BMW treatment. At the end of incubation (96 h), the sample supplemented with 0.01% BMW was higher (p<0.05) than control (0% BMW) in the gas production. The microbial growth rate was increased by all the BMW treatments, while 0.01% BMW was most effective in stimulating the growth rate. Although the addition of BMW on the filter paper DM degradation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throughout the incubation period except the 48 h incubation, DM degradation tended to be increased by all BMW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The addition of both 0.005 and 0.01% BMW highly increased (p<0.05) CMCase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after 24 h and 48 h incubation, while at the 72 h incubation the 0.01% BMW addition only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fter 72 h incubation, the xyla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0% BMW compared with the addition of 0.001 and 0.005% BMW, while at the other incubation times, the xylanase activity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0.01% BMW of supplementation level would be the suitable addition level to stimulate rumen fermentation increasing microbial growth and cellulose degradation.

Assessment of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raised on the low plane of nutrition

  • Choi, Jung Seok;Jin, Sang-Keun;Lee, C.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10호
    • /
    • pp.37.1-37.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ow plane of nutrition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A total of 136 crossbred barrows and gilts weighing approximately 55 kg were allotted to 8 pens, with 17 animals housed per pen, in a 2 (sex) ${\times}$ 2 (nutrition)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The animals allotted to a medium plane of nutrition (MPN) received a finisher phase 1 (P1) diet containing 3.47 Mcal DE/kg and 0.92 % lysine and a P2 diet containing 3.40 Mcal DE/kg and 0.78 % lysine for 35 d and 36/43 d, respectively; the animals allotted to the low plane of nutrition (LPN) received only a P2 diet containing 3.00 Mcal DE/kg and 0.68 % lysine 7 d longer than MPN. The animals were slaughtered following the feeding trial, after which the loin, ham, Boston butt, and belly were taken from a total of 24 animals, with the average live weight being 120 kg,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traits were analyzed. Average daily gain did not differ between MPN and LPN during either P1 or P2. Average daily feed intake was greater (P < 0.05) in LPN vs. MPN during both phases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for the gain:feed ratio. Backfat thickness (BFT) was less in LPN vs. MPN (21.7 vs. 24.1 mm at 115 kg). The plane of nutrition influenced no effect on any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loin, ham, or Boston butt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Fresh hams from LPN exhibited superior aroma and odor scores than those from MPN; however, sensory quality traits were not influenced by the plane of nutrition in other fresh primal cuts or cooked meat. Instead, fresh primal cuts and cooked meat from gilts rendered superi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scores, respectively, than those from barrows.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plane of nutrition may be useful to increase the slaughter weight of finishing pigs with a moderately high BFT by virtue of its BFT-lowering effect with or without exerting a slightly positive influence on pork quality.

양돈 슬러리에 첨가된 발효탄수화물의 종류별 악취물질 농도 비교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Carbohydrate on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Pig Slurry)

  • 황옥화;양승학;전중환;곽정훈;최동윤;양승봉;김두환;조성백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3
  • Slurry treatments included peanut shell, palm golden fiber, almond hull, which was added 2% of the amount of slurry, and non-treatment control (n=4 each group). Levels of odorous compounds were measured from the liquid slurry incubated in $20^{\circ}C$ for 2 wk in chamber whose structure is similar to slurry pit. Concentration of phenols and indoles was higher (p<0.05) in control (48.4, 4.0 ppm) compared to almond hull (31.5, 1.4 ppm) or palm golden fiber (29.1, 1.6 ppm) group. Short chain fatty acid (SCFA) level was lowest (p<0.05) in control (2,121 ppm) but highest in peanut shell group (3,640 ppm). Branched chain fatty acid (BCFA) concentration was highest (p<0.05) in peanut shell (296 ppm), but lowest in almond hull (90 ppm). Taken together,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almond hull in pig slurry by which crude fiber and non-digestible fiber (NDF) may act as a carbon source.

사료 및 보조사료로서의 생균제 급여에 따른 돈사 환경개선과 돼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 and Probiotic Feeding on the Improvement of Hoggery Environment and the Productivity of Swine)

  • 이은영;임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0-209
    • /
    • 2011
  • 동물은 고기, 우유, 및 달걀과 같은 중요한 산물을 생산한다. 현대사회의 도시화과정 및 고도 성장은 보다 많은 동물성 산물을 요구하고 작은 농장에서 밀집화된 사육이 이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축 분뇨생산량이 증가되었으며, 그에 따른 악취문제도 필연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분뇨로 인한 악취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환경개선을 이루는 큰 장애가 될 것이다. 축산환경으로 생산되는 악취는 휘발성지방산, 암모니아와 휘발성아민, 인돌과 페놀, 그리고 황화합물 네 종류로 분류된다. 질소성분의 절반이상은 뇨로 배설되기 때문에 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저단백 사료와 합성아미노산을 급여시키고, 소화효소나 미생물제제 혹은 생균제를 사료에 첨가시켜줄 경우 질소원의 배출량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축산환경의 개선과 축산분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사료 및 보조사료를 급여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슬러리 환경개선물질이 초지환원용 양돈 슬러리의 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rseradish, Spent Mushroom Compost and Almond Hull on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of Pig Slurry for Recycling in Grassland)

  • 조성백;황옥화;이준엽;김중곤;최동윤;박성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2-256
    • /
    • 2013
  • 본 연구는 양돈 슬러리의 악취물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의 효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페놀류 농도는 고추냉이와 아몬드피 구에서 낮았고, 인돌류 농도는 아몬드피 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따라서 슬러리에 아몬드피를 첨가하면 VOC 농도가 감소되었다. SCFA 농도는 팽이버섯폐배지와 아몬드피 구에서 높았고, BCF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다른 모든 처리구에서 낮았다(p<0.05). 또한 슬러리의 pH는 팽이버섯폐배지와 아몬드피 구에서 낮았다(p<0.05). 따라서 팽이버섯폐배지 또는 아몬드피를 슬러리에 첨가하면 SCFA 농도는 증가되고 BCFA 농도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상(固相) 미세 추출법에 의한 축산 관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가스 화합물의 정량적 평가 (Quantification of Odorants from Animal Husbandry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 김재혁;최홍림;권소영;임홍래;;;박철휘;김현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4
    • /
    • 2006
  •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와 이를 저감하려는 연구들이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악취 기인 화합물 및 이들의 발생 메커니즘이 규명되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악취 화합물의 분석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상(固想) 미세추출법(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대상 화합물을 흡착하고, GC/MSD 혹은 GC/FID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화합물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 악취 화합물은 trimethylamine(TMA), carbon disulfide($CS_2$), dimethyl sulfide(DMS), dimethyl disulfide(DMDS), acetic acid(AA), propionic arid(PA) 그리고 n-butyric acid(BA)이다. SPME-GC 검정곡선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TMA의 결정계수($R^2$)는 0.984(0.056-1.437), $CS_2$는 0.996(0.039-0.999), DMS는 0.994(0.029-0.756), DMDS는 0.995(0.024-0.623), AA는 0.992(0.068-1.314), PA는 0.955(0.047-0.940), 그리고 BA는 0.976(0.036-0.712)이었다. 분석 검출한계는 AA, PA, BA, TMA, DMS, $CS_2$, DMDS에 대하여 각각 5.67, 6.39, 5.78, 25.2, 0.098, 0.363, 0.099 ppbv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사, 돈사 및 우사에서 발생하는 악취화합물을 정량 분석하였다. 계사 내부에서 DMDS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이 검출이 되었는데, 문헌에서 보고된 human odor threshold를 초과하였다.

고상식돈사의 분뇨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Two-storey Pig House for the Control of Manure)

  • 정종원;유용희;박규현;감동환;이문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5-182
    • /
    • 2008
  • 국내 2층돈사 및 톱밥돈사의 분뇨처리 실태 조사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알맞은 고상식돈사의 적정분뇨 처리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Control 1, T1, T2에서 분뇨처리상 평균 온도는 $25.3{\sim}25.4^{\circ}C$로 차이가 적었고, 공기유동은 Control 1과 T1의 공기유동보다 T2에서 공기유동이 적었으며 먼지 발생량은 Control 1에서 54 cpm로 T1과 T2 보다 많이 발생되었다. 2. 암모니아 농도는 $0.5{\sim}14.5ppm$로 Control 1가 평균 6.0 ppm으로 가장 높았고, T1(2.8 ppm)과 T2(2.6 ppm)에서 낮았으며, 처리간에 유의차(p<0.05)가 있었다. 또한 톱밥살포 전, 후의 암모니아 농도를 비교한 결과 톱밥을 살포하는 Control 1과 T1 처리구에서 감소효과가 있었다. 3. 이산화탄소($CO_2$)의 농도는 T1(581 ppm) 처리구에서 제일 낮았고, 수분함량은 Control 1과 T2에서 적정 수분함량인 65%에 근접하였으며, T1에서는 수분함량과 pH가 가장 높았으며 유기물함량과 탄질비는 가장 낮았다. 4. 두당 톱밥살포량은 Control 1과 T2에서 각각 0.26, $0.27m^3$로 T1 보다 적었고, 브로어 등 경영비에서는 T2 처리구가 좋았다. 따라서 분뇨처리상에서 톱밥을 10 cm 바닥에 덮고, 주기적으로 2층에서 톱밥을 살포하는 T2 처리구가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지환원용 비육돈의 분과 뇨에 있어서 휘발성유기물과 휘발성지방산 농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in Feces and Urine of Finishing Pigs)

  • 조성백;황옥화;양승학;곽정훈;최동윤;양성봉;김두환;박성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0-124
    • /
    • 2014
  • 초지 또는 농경지에 살포되는 퇴비와 액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악취민원에 대처하기 위하여, 돼지의 분과 뇨에 존재하는 악취물질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 비육돈의 분과 뇨에 함유된 휘발성유기물의 농도 비교 페놀, p-크레졸 및 페놀류 농도는 분 보다 뇨에서 높았으며 (p<0.05), 분 보다 뇨에 축적된 비율이 페놀은 138배, p-크레졸은 545배 높았다. 인돌 농도는 분 보다 뇨에서 높았으며, 스카톨은 뇨 보다 분에서 높았다 (p<0.05). 휘발성유기물은 대부분 뇨로 배설되었으며, 이 중 농도 및 악취강도가 가장 높은 물질인 p-크레졸이 뇨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돼지 분뇨를 고액분리 하였을 때 퇴비로 이용되는 고체보다 액비로 이용되는 액상물질에서 악취가 훨씬 강할 것으로 예측된다. 2. 비육돈의 분과 뇨에 함유된 휘발성지방산의 농도 비교 아세트산과 단쇄지방산 농도는 분 보다 뇨에서 높았으며 (p<0.05), 부티르산과 프로피온산은 차이가 없었다 (p>0.05). 이성체지방산 중 I-부티르산의 농도는 뇨 보다 분에서 높았지만 (p<0.05), I-발레르산과 이성체지방산은 차이가 없었다 (p>0.05). 휘발성지방산 중에서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은 분에서 각각 65와 20%, 뇨에서는 각각 93과 4%로 휘발성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지만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단쇄지방산은 악취강도가 낮다. 반면에 악취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성체지방산은 분과 뇨 간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휘발성지방산이 악취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돼지 분뇨의 악취물질 중 악취강도가 높은 p-크레졸은 뇨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퇴비와 액비 생산과정 중 액상처리 시 악취강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악취강도는 휘발성지방산의 농도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