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d2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3초

Saccharomyces cerevisiae의 Swd2와 Set1의 결합이 Swd2의 이중적인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wd2's binding to Set1 on the dual functions of Swd2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박신애;이정신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86-291
    • /
    • 2017
  • 진핵 세포에서 히스톤의 변형은 크로마틴 구조를 조절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Set1 복합체에 의한 히스톤 H3의 네 번째 라이신 잔기(H3K4)에 발생하는 메틸화는 다양하게 잘 알려져 있는 히스톤 변형 중 하나이다. Set1 complex는 H2B의 유비퀴틴화에 의존적으로 발생하는 H3K4 메틸화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Swd2를 포함하여 7개의 소단위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Swd2는 Set1의 RNA recognition motif (RRM) 도메인 근처에 결합하여 Set1의 활성을 조절하고, 또 RNA의 3' 말단 형성에 관여하는 CPF (Cleavage and Polyadenylation Factors) 복합체의 구성성분이라고 보고되었다. 최근 보고들에 따르면, 이런 Swd2의 이중적인 기능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Swd2 결실돌연변이 균주가 살지 못하는 이유가 CPF 복합체의 구성성분으로써의 기능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Swd2가 Set1의 RRM 도메인에 결합하여 Set1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et1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 우리는 Swd2가 결합할 수 없는 truncated-Set1을 가지고 있는 ${\Delta}swd2$ 돌연변이가 사멸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자라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H3K4 메틸화와 RNA 3' 말단 형성과정에서의 Swd2의 이중적인 기능이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님을 제안하다.

Inactivation of the genes involved in histone H3-lysine 4 methylation abates the biosynthesis of pigment azaphilone in Monascus purpureus

  • Balakrishnan, Bijinu;Lim, Yoon Ji;Suh, Jae-Won;Kwon, Hyung-J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57-165
    • /
    • 2019
  • Di- and tri-methylation of lysine 4 on histone H3 (H3K4me2 and H3K4me3, respectively) are epigenetic markers of active genes. Complex associated with Set1 (COMPASS) mediates these H3K4 methylations. The involvement of COMPASS activity in secondary metabolite (SM) biosynthesis was first demonstrated with an Aspergillus nidulans cclA knockout mutant. The cclA knockout induced the transcription of two cryptic SM biosynthetic gene clusters,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the cognate SM. Monascus spp. are filamentous fungi that have been used for food fermentation in eastern Asia, and the pigment Monascus azaphione (MAz) is their main SM. Monascus highly produces MAz, implying that the cognate biosynthetic genes are highly active in transcription.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how COMPASS activity modulates MAz biosynthesis by inactivating Monascus purpureus cclA (Mp-cclA) and swd1 (Mp-swd1). For both ${\Delta}Mp-cclA$ and ${\Delta}Mp-swd1$, a reduction in MAz production, accompanied by an abated cell growth, was observed. Suppression of MAz production was more effective in an agar culture than in the submerged liquid culture. The fidelity of the ${\Delta}Mp-swd1$ phenotypes was verified by restoring the WT-like phenotypes in a reversion recombinant mutant, namely, trpCp: Mp-swd1, that was generated from the ${\Delta}Mp-swd1$ mutant.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ranscription of MAz biosynthetic genes was repressed in the ${\Delta}Mp-swd1$ mutan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Az biosynthesis is under the control of COMPASS activity and that the extent of this regulation is dependent on growth conditions.

잠분(蠶糞) 급여가 돈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ilkworm Dropping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 이정일;이중동;하영주;정재두;이진우;이제룡;곽석준;김두환;도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8
    • /
    • 2005
  • 항암 효과, 노화 억제, 중풍 억제, 혈압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당뇨병 치료 효과 있다고 알려진 잠분(蠶糞)을 비육 돈에 급여하여 비육돈 체조직내에 생리활성 물질을 축적시키고, 생리 활성 물질이 축적된 돈육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잠분은 건조 상태(수분 $10\%$ 내외)의 잠분을 급여하였다. 대조구는 출하시까지(110 kg) 일반사료를 급여, 처리구 1, 2, 3,은 사료함량에 잠분을 각각 1, 2, $3\%$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고, 처리구 4, 5, 6은 1, 2, $3\%$로 각각 첨가하되 8주간 급여하였다. 급여시험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 부위를 함기 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돈육의 품질 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H는 대조구와 잠분 급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성분, 가열 감량 및 조직감은 대조구와 잠분 급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보수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잠분 급여 처리구가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전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육색과 지방색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대조구와 잠분 급여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육색의 명도와 황색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잠분 급여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잠분을 돼지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면 일반성분, 조직적 특성 및 이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 기능성 돈육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A novel WD40 protein, BnSWD1, is involved in salt stress in Brassica napus

  • Lee, Sang-Hun;Lee, Jun-Hee;Paek, Kyung-Hee;Kwon, Suk-Yoon;Cho, Hye-Sun;Kim, Shin-Je;Park, Jeong-Mee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2호
    • /
    • pp.165-172
    • /
    • 2010
  • Genes that are expressed early in specific response to high salinity conditions were isolated from rapeseed plant (Brassica napus L.) using an mRNA differential display method. Five PCR fragments (DD1.5) were isolated that were induced by, but showed different response kinetics to, 200 mM NaCl.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and homology search revealed that the deduced amino sequences of three of the five cDNA fragments showed considerable similarity to those of ${\beta}$-mannosidase (DD1), tomato Pti-6 proteins (DD5), and the tobacco harpin-induced protein hin1 (DD4),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remaining clones, DD3 and DD2, did not correspond to any substantial existing annotation. Using the DD3 fragment as a probe, we isolated a full-length cDNA clone from the cDNA library, which we termed BnSWD1 (Brassica napus salt responsive WD40 1). The predicted amino-acid sequence of BnSWD1 contains eight WD40 repeats and is conserved in all eukaryotes. Notably, the BnSWD1 gene is expressed at high levels under salt-stress conditions. Furthermore, we found that BnSWD1 was upregulated after treatment with abscisic acid, salicylic acid, and methyl jasmonate. Our study suggests that BnSWD1, which is a novel WD40 repeat-containing protein, has a function in salt-stress responses in plants, possibly via abscisic acid-dependent and/or -independent signaling pathways.

잠분(蠶糞) 급여가 돈육 등심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ilkworm Droppings on Chemical Composition of Pork Loin)

  • 이정일;이중동;하영주;정재두;이진우;이제룡;곽석준;김두환;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1013-1022
    • /
    • 2004
  • 잠분은 건조상태(수분 10% 내외)의 잠분을 급여하였다. 대조구는 출하시까지( 11 0 kg) 일반사료를 급여, 처리구 1, 2, 3은 사료 함량에 잠분을 각각 1,2, 3%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고, 처리구 4, 5, 6은 1, 2, 3%로 각각 첨가하되 8주간 급여하였다. 급여시험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 서 12일간 저장하면서 돈육의 화학적 조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지방산화는 대조구와 잠분 급여 처리구간 에 유의적안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총 myoglobin 함량은 잠분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 < 0.05). 관능검사 중 마블링 점수와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잠분 급여 처리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P < 0.05). 무기물 중 Na, Mg, Ca, Mn 및 Fe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잠분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 < 0.05). 반면에 P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잠분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 <0.05). 잠분 급여로 아미노산 함량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aspartie acid, serine, tyrosine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에 glutamic acid, alanine, isoleucine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잠분 급여수준과 급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stearic acid 함량은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이e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5). 포화지방산 함량은 잠분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Preventing Shift Work Disorder in Shift Health-care Workers

  • d'Ettorre, Gabriele;Pellicani, Vincenz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2호
    • /
    • pp.244-247
    • /
    • 2020
  • The occurrence of the shift work disorder (SWD) in health-care workers (HCWs) employed in 24/7 hospital wards is a major concern through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literature, SWD is the most frequent work-related disturb in HCWs working on shift schedules including night shift. In agreement with the Luxembourg Declaration on workplace health promotion (WHP) in the European Union, a WHP program has been developed in a large Hospital, involving both individual-oriented and organizational-oriented measures, with the aim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WD in nurses working on shifts including night shift. The objective assessment of rotating shift work risk and the excessive sleepiness were detect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WHP program, by using the Rotating Shiftwork-questionnaire and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ed WHP program in minimizing the impact of shift work on workers' health and in preventing the misalignment between sleep-wake rhythm and shift working.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최적 이차침전지 형상 파악 (Defining optimu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larifier using computer simulation)

  • 이병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9-230
    • /
    • 2010
  • Computer simulation has been widely used to design and optimize the ope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ince 1980. For secondary clarifiers, the simulation has been a tool to optimize the performance by providing dimensions for flocculation well. However,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find the optimized geometrical parameters in circular secondary clarifier using simulation tools. In this study, three SVIs (Sludge Volume Indexes), two well types (feed and flocculation wells), 8 SWDs (Side Water Depths) and 9 bottom slopes were variables for simulation. Diurnal inflow and associated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s were used for input loadings. When flocculation well was installed, 48% less concentration at lowest ESS (Effluent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s was produced and the diurnal ESS concentration range had been reduced by 52%. From these results, flocculation well must be installed to produce lower and stable ESS from circular secondary clarifiers. Under same loading conditions with $300m{\ell}$/g of SVI, The lowest ESS was produced when SWD was 4.5m with 4% of bottom slope. Therefore, SWD and bottom slope must not be deeper than 4.5m and must be near 4%, respectively, in circular clarifier with flocculation well to produce the lowest ESS concentration.

가열처리 및 탄화처리 소나무재(Pinus densiflora) 목분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I) - 원소 분석, SEM, 질소 흡착-탈착 실험 - (Analysis of Structure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arbonized Pine Wood (Pinus densiflora S. et Z) Powder (I) - Elemental Analysis, SEM, N2 Adsorption-desorption-)

  • 이인자;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44-5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소나무재 심재부와 변재부 목분 탄화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탄화 온도의 영향을 원소 분석, 질소-흡착 실험, 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탄화물의 표면 구조 및 특성은 탄화 온도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그 의존성은 변재부(swd)와 심재부(hwd)에 관계없이 정성적으로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심변재부간 경도, 성분 및 조직학적 차이 등의 영향 때문에 hwd를 탄화한 경우가 swd를 탄화한 경우보다 비표면적은 크고, 평균 pore 지름은 작았다. 예비 탄화 단계에서 대부분의 분해 반응이 일어나므로, 탄화물의 주성분은 탄소였다. 탄화 온도가 $700^{\circ}C$가 될 때까지는 미미하나마 탄화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비표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800^{\circ}C$ 이상에서는 pore filling 및 narrowing 효과에 의하여 비표면적은 감소하였고, 특히 $900^{\circ}C$ 이상에서는 공극의 안쪽에 뿌리를 둔 육각 기둥 형태의 새로운 탄소 구조체가 형성되었다. 탄화물의 흡착 등온선은 type I, 흡착 등온선에서 보인 이력 루프는 type H4로 분류되었다.

PG-GAN을 이용한 패션이미지 데이터 자동 생성 (Automaitc Generation of Fashion Image Dataset by Using Progressive Growing GAN)

  • 김양희;이찬희;황태선;김경민;임희석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6
    • /
    • 2018
  • 이미지와 같은 고차원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샘플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은 음성 합성, 이미지 변환 및 이미지 복원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고해상도의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과 생성한 이미지들의 variation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Progressive Growing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PG-GANs)을 구현 모델로 채택하였고, 이를 패션 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PG-GANs은 생성자(Generator)와 판별자(discriminator)를 동시에 점진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데, 저해상도의 이미지에서부터 계속해서 새로운 레이어들을 추가하여 결과적으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끔 하는 방식이다. 또한 생성 데이터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미니배치 표준편차 방법을 제안하였고 GAN 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MS-SSIM이 아닌 Sliced Wasserstein Distance(SWD)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비모수적 DDoS 공격 탐지 (Nonparametric Detection Methods against DDoS Attack)

  • 이종락;홍종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2호
    • /
    • pp.291-305
    • /
    • 2013
  • 네트워크상에서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 탐지를 위해 수집되는 트래픽 자료(BPS, PPS 등)는 시간 순서대로 발생하는 대용량 자료이다. 대용량 자료에서 공격 탐지를 위한 변화점 탐지 알고리즘은 정확성 뿐 아니라 시간과 공간적인 계산 수행의 효율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자료에서 변화점 탐지에 대한 Ross 등(2011)이 연구한 순차적인 Sliding Window and Discretization(SWD) 방법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경험적 분포함수와 순위를 이용한 다섯 종류의 검정방법을 사용하면서 자료의 분포에 대한 가정없이 DDoS 공격을 탐지할 수 있도록 새로운 비모수 모형을 제안한다. 다양한 확률밀도 함수와 이에 대응하는 모평균과 분산을 변화시키면서 모의실험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모수적 검정방법을 SWD 방법에 적용하여 모형의 효율성을 탐색하고 토론한다. 그리고 실증 분석을 통해 공격 탐지율 및 공격 탐지의 정확성을 기준으로 성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