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ture anchor repair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두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 (One Anchor Double Fixation (OADF) Technique for Arthroscopic Bony Bankart Repair)

  • 최의성;박경진;김용민;김동수;손현철;조병기;배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0-46
    • /
    • 2010
  •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이 있는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두 가닥의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 나사못를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평균 추시 기간 22.3개월, 범위 13~47개월)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13예, 여자 4예였고, 우측이 14예 좌측이 3예였다. 평균 연령은 24세 (범위 17-42세)였다. 수상 시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범위, 10개월-4년 1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봉합 나사못을 골편이 떨어진 관절 와에 고정한 후 하나의 봉합사를 골편을 둘러싸 고정 시킨 후 또 다른 봉합사를 이용하여 주변 관절 낭을 떠서 고정한 골편을 둘러 싼 후 봉합하였다. 술 후 결과는 Rowe의 평가 방법과 KSS 평가지수를 이용하였고 관절 와의 결손부위와 골편은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최종 추시상 Rowe 견관절 평가지수는 평균 54점 (범위 23~71점)에서 83.4점 (71~90점)으로 전반적으로 향상되었고, 전체적으로 우수 13예 (76%), 양호 3예 (18%), 보통 1예 (6%)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71점 (범위 49~82점)에서 수술 후 92.5점 (범위 82~94점)으로 향상하였다. 최종 추시상 통증이 지속되는 예는 없었으며, 추시기간 동안 재 탈구 된 예는 없었다. 수술 후 삼차원 입체 컴퓨터 단층 촬영이 시행되었던 6예에서 골 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에 대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두 가닥의 봉합사를 가진 생체 흡수성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새로운 수술 방법에 의한 골성 방카르트 병변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이고, 합병증이 낮아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치료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Efficacy of the Subclavian Portal Approach in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 Chae, Seung Bum;Choi, Chang Hyuk;Jung, Suk-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1호
    • /
    • pp.18-24
    • /
    • 2014
  •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subclavian portal approach for the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Methods: We used the subclavian portal to carry out arthroscopic repair of the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The surgery was carried out in 18 cases (average age of 53) from May 2006 to December 2009 with a mean follow-up period of 35 months. Of these cases, 13 patients had the tear in their dominant arms, 16 were male, and 12 were from traumatic ruptures with on average 7.6 months of symptom period to operation. Additional surgery, acromioplasty and subacromial debridement, were carried out on 4 cases each during the subscapularis repair. The integrity of cuff status was assessed by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t 6 months and at 1 year after operation. Results: The initial average range of motion in forward flexion, external rotation, and internal rotation were $160^{\circ}$, $50^{\circ}$ and L4, respectively. At the 1 year follow-up period, these improved to $160^{\circ}$, $52^{\circ}$ and T12, respectively. The initial average functional scores were assessed by KSS, ASES, UCLA, and Constant scoring systems, which were 67, 60, 26, and 65, respectively. These scores improved progressively with time. At 3 months after operation, the scores were 74, 67, 27, and 74; at 6 months, 83, 77, 31, and 75; at 1 year, 88, 86, 32, and 79; and at the final follow-up of 35 months, 84, 92, 34, and 84. Conclusions: In the repair of isolated subscapularis tendon tear, the subclavian portal approach provided a good angle for anchor insertion and sufficient space to manage the upper portion of the tendon tear. In turn, these provisions resulted in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시행한 관절경하 봉합 나사를 이용한 봉합술 (Arthroscopic Treatment with Suture Anchor for the Isolated Subscapularis Tear)

  • 문영래;안기용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37-141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의 하나인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부 봉합술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의 단독손상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이 없는 견갑하근 단독 손상이었고,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가 19예, 상부 2/3인 경우가 7예, 완전 파열인 경우가 3예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2.2개월 (6~26개월) 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constant shoulder score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후 constant shoulder score 는 술 전 평균 $49.9\pm7.3$ 에서 술 후 평균 $73.8\pm3.0$으로 constant shoulder score 중 pain points 는 술 전 평균 $4.3\pm3.2$ 에서 술 후 평균 $11.2\pm3.0$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단독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견갑하근 봉합술은 좋은 치료방법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SLAP 병변 수술에 사용 가능한 새로운 V자 봉합 (Type II SLAP 병변의 관절경적 수술에 있어 새로운 V자 형태의 봉합술기와 기존의 방법과의 임상결과 비교) (New V-shaped Technique in SLAP Repair (Comparison of Cinical Results Between New V-shaped Repair and Conventional Rapair Technique in Arthroscopic Type II SLAP Surgery))

  • 현윤석;신성일;강정우;안주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4-19
    • /
    • 2010
  • 목적: Type II SLAP 병변의 관절경적 수술에서 봉합사가 한 개만 연결된 봉합나사를 이용한 새로이 고안된 V자 봉합법과 기존의 봉합법과의 임상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05월부터 2008년 10월 까지 무작위로 새로이 고안된 봉합법으로 수술을 받은 11명의 환자와 기존의 봉합법으로 수술을 받은 1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5개월 이었고 임상결과는 UCLA 점수와 VAS 통증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두 환자군 간의 수술 전 후 UCLA점수와 VAS 통증 점수의 향상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이 고안한 새로운 V자 형태의 봉합법은 봉합사가 한 개만 연결된 흡수성 봉합 나사로도 기존의 방법들과 유사한 임상 결과를 보여 줄 수 있는 유용한 대안으로 생각된다.

Evaluation of Focal Bone Mineral Density Using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of Hounsfield Units in the Proximal Humerus

  • Moon, Young Lae;Jung, Sung;Park, Sang Ha;Choi, Gwi Yo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2호
    • /
    • pp.86-90
    • /
    • 2015
  • Background: Although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evaluating bone quality, Hounsfield units (HU), a standardized computed tomography (CT) attenuation coefficient, provide a useful tool for estimating focal bone mineral density (BM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U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osteoporosis in greater tuberosity with regard to anchor positioning. Methods: Forty patients diagnosed as normal on shoulder CT were includ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xially sectioned CT images were processed to 3-dimensional model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bone quality using Mimics (14.11 platform v14.1.1.1 Materialise). Three-dimensional anchors were simulated and positioned according to 6 regions of interest (ROI) in the greater tuberosity classified using Tingart's system. Mean HU of intra-anchor volumes in the 6 regions was measured. Results: A significant decrease in HU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age (p=0.0001) and menopause (p<0.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U was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with males showing the higher values (p=0.0001). HU of proximal areas of ROI was higher than those of distal areas (p<0.005). However, although mean HU of distal posterior ROI showed the lowest valu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regions (p=0.087). Conclusions: Mean HU of ROIs provides a tool for preoperative assessment of focal BMD, which is a factor of suture anchor stability and can be used to aid decision-making regarding secure anchor positioning for rotator cuff repair. Our data support that the most secure point is the proximal regions of ROI.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에서 골 시멘트를 이용한 봉합 나사 구멍 보강술 (Anchor Hole Augmentation with Bone Cement in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이호민;태석기;박정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37-243
    • /
    • 2010
  •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시 뼈에 봉합 나사못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고령의 환자에서 상완골 결절부위에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봉합 나사못이 빠지거나 고정이 불안정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에서 봉합 나사못의 고정 실패시 골 시멘트를 이용한 봉합 나사못 구멍 보강 기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받은 223명 중 골 시멘트로 봉합 나사못 구멍을 보강했던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두 여자로 평균 65 (49~77)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6 (6~32)개월 이었다. 주사기를 이용해 골 시멘트를 걸쭉한 액상의 상태에서 봉합 나사못 구멍에 주입한 후 압박기로 압력을 가하였으며 항아리 모양의 시멘트 맨틀을 만들도록 노력하였다. 시멘트가 굳어가기 시작할 무렵 봉합 나사못을 구멍에 삽입하였다. 최종 임상적 평가는 시각척도 통증 점수, 능동적 관절 운동범위, age-sex matched Constant score, UCLA score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촬영한 방사선 사진상, 상완골 대결절부의 낭종성 변화 또는 피질골의 위축 등이 전 예에서 보였다.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시멘트 음영의 변화는 볼 수 없었으며, 충진된 시멘트는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UCLA score는 평균 31점 (28~35점) 이었으며 최우수 6예, 우수 8예이었으며 1예는 보통의 결과를 보였다 (p-value 0.008). Age-sex matched Constant score는 평균 90점 (74~98점)으로 상승하였다 (p-value 0.008).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에서 상완골 대결절부의 골위축이 있는 경우에도 골 시멘트를 이용한 봉합 나사못 구멍 보강술에 의하여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었으며 골 시멘트의 사용이 수술 후 결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Unusual Isolated Complete Tear of Subscapularis and Biceps Long Head Tendon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 Sohn, Hoon-Sang;Baek, Duck In;Shon, Min S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3호
    • /
    • pp.127-133
    • /
    • 2014
  • Heterotopic ossification (HO) within the substanc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is a rare lesion which remains a poorly described condition with little known of the exact mechanisms involved. Furthermore, its clinical importance remains still unclear. To our knowledge, there are no studies present to data regarding HO within the substance of the subscapularis tendon, even with resultant isolated complete tear of the subscapularis tendon. Here we present a case of huge HO associated with unusual isolated complete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concomitant with tear of biceps long head tendon. After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the complete tear site of biceps long head tendon, mini-open excision of the ossification and subscapularis repair with suture anchor fixation were performed. The patient showed complete recovery of strength and function of the subscapularis at subsequent 24 months follow up.

상완골 부착 부위에서 파열된 견관절 낭(증례 보고) (Humeral Avulsion of the Glenohumeral Joint Capsule - Case Report -)

  • 이영수;백준식;신동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99-203
    • /
    • 1999
  • It is well known that the essential pathology in traumatic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is the avulsion of the glenohumeral ligament complex from the glenoid rim, However, there were some reports that the avulsion can occur from the humeral attachment site. We have experienced a 42-year-old man who had complained of persistent shoul­der pain after traffic accident and showed the instability on physical examination. The MR arthrogram and arthro­scopic surgery revealed the avulsion of glenohumeral ligament from the humeral attachment site. We repaired the lesion using the suture anchor through the anterior axillary approach and had a good result after 1 year.

  • PDF

아킬레스건 파열 이후에 발생한 종골 결절의 견열골절: 증례 보고 (Calcaneal Tuberosity Avulsion Fracture after Repair of Achilles Tendon Rupture: A Case Report)

  • 이성현;이영;김성배;강홍제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6-219
    • /
    • 2019
  • In clinical practice, recurrent Achilles ruptures have been noted to occurr at the original ruptured site. However, reports of new developed fresh rupture of the Achilles tendon in other sites are is extremely rare. Our report is about one uncommon case of a traumatic calcaneal tuberosity avulsion fracture following augmented repair, which was performed using the Krackow locking loop technique. We performed open reduction and intra-osseous fixation using a suture anchor. This procedure was done through the primary longitudinal incision for the calcaneal avulsion fracture fragment. After 6 months of follow-up, our patient has achieved a complete functional recovery and he can normally perform daily and work-related tasks without pain.

관절경적 Bankart 병변 봉합술: 5년 이상 추시 결과 (Arthroscopic Bankart Repair: At Least 5 Years Follow-up)

  • 허무중;김경택;김철홍;강민수;김현준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3-88
    • /
    • 2009
  • 목적: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환자에서 Bankart 병변에 대해 금속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85명(남 80명, 여 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당시 환자의 평균 연령은 26세(15세~52세)였고, 이환 기간은 6개월에서 38개월까지 평균 20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Bankart 병변이 존재하였고, 동반 병변으로 Hill-Sachs 병변과 SLAP 병변이 각각 44예, 10예였으며, 7예에서 회전근개 부분 파열이 관찰되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7년 5개월(5년 8개월~9년)이었다. 결과: 술 전 Rowe 점수는 평균 29.3점(25점~50점)이였으며, 최종 추시 시의 Rowe 점수는 평균 86.8점(40~100)으로 우수 28 예(32.9%), 양호 46예(54.1%)로 74예(87.%)의 환자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견관절의 운동 범위는 70예(82.4%)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재탈구가 3예(3.5%)에서 발생하였고 관절경적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외상성 재발성 견관절 탈구로 인한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Bankart 병변에 대한 금속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은 우수한 임상 결과와 낮은 재발율을 보였고, 합병증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 중에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