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ture Material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7초

상완골 대결절 골절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예비 보고- (Arthroscopic Treatment of Greater Tuberosity fracture - Preliminary Report -)

  • 지종훈;김영율;박상은;라기항;도정훈;김원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65
    • /
    • 2007
  • 목적: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상완골 대결절 골절편을 고정하며 동시에 동반된 병변을 치료하여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전위 골절, 복잡 골절, 회전 근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 나 관절 순 손상을 동반한 미세 전위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중에서 관절경하에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못을 동반 사용하여 정복 및 고정을 시행한 총 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6개월 이상 추시된 환자의 최종 운동 각도 및 ASES 및 UCLA score를 이용하여 술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평근 ASES 및 UCLA score는 술후 최종 추시 시 93.6점과 31.5점로 향상되었으며 술후 최종 추시시 평균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54.3도, 측방거상 145.8도, 외회전 32.6도, 내회전 제 1 요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전위된 골절이거나, 골절편이 작거나 여러개일 경우, 또는 회전근 개 파열, 견관절 구축이나 반카르트 병변등의 동반질환들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경하에서 동반 병변 치료와 함께 봉합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관나사 못을 동반 사용하여 대결절 골절을 고정하는 방법은 유용한 치료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탈구에서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한 변형된 Phemister 술식 (The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with the Suture Anchor Added for the Augmentation of Conoid Ligament in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문기혁;남일현;이영현;김기철;이재훈;안길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34-39
    • /
    • 2010
  • 목적: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탈구에서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한 변형된 Phemister 술식의 치료 방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4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ockwood 제 3형이 11예, 5형이 3예 였고 환자의 평균나이는 45.2세 였다. 변형된 Phemister 술식에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하여 수술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4개월이었으며 술 후 임상적 평가는 Weitzman 분류 및 VAS 점수와 Constant 점수, KSS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Weitzman 분류상 13예에서 우수, 1예에서 양호로 평가되었고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70.7도, 외전 166.4도, 외회전 68.2도, 내회전 T7 였다. 평균 VAS 점수는 1.9, 평균 Constant 점수는 90.8점, 평균 KSS 점수는 91점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는 모든 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탈구에서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한 변형된 Phemister 술식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가토 대퇴정맥 미세정맥문합술 후 정맥 문합부 재생에 관한 미세조직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FOR VEIN REGENERATION AFTER MICROVASCULAR ANASTOMOSIS IN RABBIT FEMORAL VEIN)

  • 노홍섭;김철환;김경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4호
    • /
    • pp.340-349
    • /
    • 2007
  • Free flap transplantation with microvascular anastomosis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by development of surgical technique, materials and postoperative monitoring equipments of flap. But success rate of microvascular anastomosis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and failure rate is about 5-10%.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success rate is surgical technique and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failure of microvascular anastomosis are ischemic time of free flap, thrombus formation of anastomosis region and vascular spasm. In this study, vascular patency and thrombus formation in experimental micro-venous anastomosis, and endothelial repair were observed with histologic analy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vascular patency test in 30 minute and 7 day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 with heparin irrigation, all of 12 anastomosis site were good vascular patency. 2. In thrombus formation in 2 weeks group(Experimental I), 2 site of 6 cases were observed thrombus, and in 4 weeks group(Experimental II), 1 site of 6 cases were observed thrombus. 3. In histologic examination, normal vein(Control Group) showed continued internal elastic lamina, well formed thick smooth muscle layer and connective tissue. The group of 2 week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Experimental I) showd locally recovered internal lamina, discontinued internal lamina, disorganized smooth muscle cells and granulation tissue around suture silk. In the group of 4 week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Experimental II), anastomosis site showed almostly continued internal lamina, disorganized smooth muscle cells and cicartrized tissue around suture silk. 4.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in 2 weeks(Experimental I)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 mesh fibrin formation showed near to endothelial cells, and in 4 week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EXperimental II), numerous blood cells and fibrin mesh formation was seen associated with irregular endothelial cell arrangement. 5.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in 2 week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Experimental I), irregular arrangement of smooth muscle cells was seen adjacent to collagenized tissue around suture silk. In 4 week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Experimental II), denuded venous wall composed of relatively well arranged smooth muscle cells was covered by endothelial cells, but fibroblast cells and foreign body giant cells near to suture silk was remained.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results of good vascular patiency and anti-thrombotic effect of heparin were obtained as a local irrigation solution, and repair of venous endothelial cell was observed in 2 weeks after micro-venous anastomosis.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통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치료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Suture Bridge Technique)

  • 서재성;박성혁;김원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1-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을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으로 치료받은 9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 (12~23개월)이었다. 파열의 크기는 중파열이 43예, 대파열이 47예였다.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KSS, ASES, UCLA,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휴식 및 운동 시 평균 VAS 점수는 각각 수술 전 2.56, 6.94에서 최종 추시 시 0.96, 1.70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UCLA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7.08점에서 최종 추시 시 31.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우수가 31예 (34%), 양호가 49예 (54%), 불량이 10예 (12%)였다. 최종 추시 시 60세 이하인 경우 31.47점, 61세 이상인 경우 30.69점이었으며 (p=0.344), 중파열인 경우 31.23점, 대파열인 경우 31.11점이었고 (p=0.924), 비외상군이 31.10점, 외상군이 31.23점이었다 (p=0.929). 결론: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하여 동통의 감소 및 견관절 기능 향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믿을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수술 당시 연령, 외상력 유무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시행한 관절경하 봉합 나사를 이용한 봉합술 (Arthroscopic Treatment with Suture Anchor for the Isolated Subscapularis Tear)

  • 문영래;안기용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37-141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의 하나인 견갑하근 단독 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파열부 봉합술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본원에서 견갑하근의 단독손상에 대해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다른 회전근 개의 손상이 없는 견갑하근 단독 손상이었고, 견갑하근 손상의 범위는 상부 1/3인 경우가 19예, 상부 2/3인 경우가 7예, 완전 파열인 경우가 3예 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2.2개월 (6~26개월) 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최초 내원 시점과 최종 추시의 constant shoulder score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후 constant shoulder score 는 술 전 평균 $49.9\pm7.3$ 에서 술 후 평균 $73.8\pm3.0$으로 constant shoulder score 중 pain points 는 술 전 평균 $4.3\pm3.2$ 에서 술 후 평균 $11.2\pm3.0$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견갑하근의 단독손상 시 봉합나사를 이용한 견갑하근 봉합술은 좋은 치료방법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A Novel Technique of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by Double Ligation Method (DLM) for Intracorporeal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 Takayama, Yuichi;Kaneoka, Yuji;Maeda, Atsuyuki;Fukami, Yasuyuki;Takahashi, Takamasa;Uji, Masahit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3호
    • /
    • pp.290-300
    • /
    • 2019
  • Purpose: The optimal method for intracorporeal esophagojejunostomy remains unclear because a purse-string suture for fixing the anvil into the esophagus is difficult to perform with a laparoscopic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our novel technique to fix the anvil into the esophagu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02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our institution with an intracorporeal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in a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a Roux-en-Y reconstruction (166 cases) or a laparoscopy-assisted proxim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36 cases). After incising 3/4 of the esophageal wall, a hand-sewn purse-string suture was placed on the esophagus. Next, the anvil head of a circular stapler was introduced into the esophagus. Finally, the circular esophagojejunostomy was performed laparoscopicall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methods. Results: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200.3 minutes. The average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time was 6.4 minutes. The overall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lavien-Dindo classification grade ${\geq}II$) was 26%.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n anastomotic leakage and stenosis at the esophagojejunostomy site were 4 (2.0%) and 12 (6.0%), respectively. All patients with stenosis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There was no mortality. Regarding the materials and devices for anvil fixation, only 1 absorbable thread was needed. Conclusions: Our procedure for hand-sewn purse-string suturing with the double ligation method is simple and safe.

반월상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 봉합술의 결과 (Results of Arthroscopic inside to Out Repair of Meniscus Tear)

  • 김보현;황인성;윤태봉;변재용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4
  • 목적: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봉합술후 임상적 치유와 환자의 만족도를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따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8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반월상 연골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Inside to out 봉합술을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하여 시행 후 12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5명 1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치유와 주관적 만족도로 평가 하였으며 이들 결과에 대한 나이,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 파열의 부위, 파열 길이, 파열의 종류, 관절 연골의 손상 정도, 동반된 전방 십자인대 수술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치유는 84례(76%)이었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98례(89%)이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동반한 경우에, 파열 길이가 2cm이하인 경우가 2cm이상인 경우보다. 관절 연골의 퇴행성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가 심한 경우보다 임상적 치유율과 환자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의 경우에, 수상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짧을수록, 파열의 종류가 종 파열인 경우 임상적 치유율이 높았다. 복잡 또는 퇴행성 파열의 경우 낮은 임상적 치유율에 비해 환자의 만족도는 높았다. 결론: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Inside to out 봉합술은 다양한 봉합이 가능하고 사용이 쉬운 술식이다. 반월상 연골의 봉합 여부 결정에 있어 환자의 연령은 절대적인 고려 대상이 아니며, 퇴행성 또는 복잡파열, 관절연골의 손상이 동반된 파열의 경우 환자선택과 수술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증을 줄일수 있으며, PASTA 병변을 포함해서 후상방 파열과 동반되지 않은 견갑하건의 부분 파열은 매우 적합한 관절경하복원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위장관문합 및 봉합 시 인공 흡수성 단사인 Glycoside-$\varepsilon$- 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혼성중합체의 안정성 및 유용성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 Glycoside-$\varepsilon$-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Interpolymer, in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and Closure)

  • 이혁준;김윤호;양한광;이건욱;최국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2호
    • /
    • pp.93-96
    • /
    • 2003
  • Purpose: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s offer excellent glide characteristics and cause minimal tissue trauma as a result of their smooth monofilament structure and gradual absorption within the healing tissues. For these reasons, these suture materials are commonly used in various surgical fields such as gastroenterology, urology, gynecology, and plastic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a new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 Glycoside-..-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interpolymer (GCT), in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and closur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55 gastrointestinal anastomoses and closures using GCT $MONOSYN^{R}$, B. Braun, Germany) in 4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between December 2001 and May 2002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characteristics, operative procedure, surgeon's opinion of handling properties of GCT, and sut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34 males and 13 females (M:F= 2.6:1) with an average age of 54.2 years old. Forty-five cases of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20 gastrojejunostomies and 25 jejunojejunostomies) and 10 cases of intestinal closure (7 gastrostomy closures and 3 duodenal stump closures) were performed in 41 cases of stomach cancer, three of peptic ulcer disease, two of GIST, and one MALToma. The handling properties of GC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not breaking load, knot security, and placing property were always scored with 7 to 9 points (10=excellent, 1=very poor). Two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6\%$) were noted. One was a leak of the gastrojejunostomy site which was successfully managed conservatively, and the other was a stricture of the gastrojejunostomy site which was managed by reoperation (side-to-side jejunojejunostomy). Conclusion: GCT seems to be an applicable suture material for various gastrointestinal anastomoses and closures.

  • PDF

고령 환자의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Arthroscopic Full-Thickness Rotator Cuff Repair in Elderly Patients)

  • 천상진;이동호;박용건;손승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8-45
    • /
    • 2020
  • 목적: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전층파열 환자에 대해 일열 봉합술 또는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간 추시한 임상적 결과와 영상의학적 결과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7년 8월 사이에 본원에서 회전근 개 전층파열로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 시도에 불응하는 65세 이상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과도하지 않은 일정한 장력하에 견인하여 회전근 개 건이 족문 절반 이상을 덮으면 교량형 봉합술을, 절반 이상을 덮지 못하면 일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째 시행한 추시 자기공명영상과 술 후 2년째 시행한 임상적 평가 지표(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core, Constant Shoulder Score, visual analogue scale)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의 술 전후 임상적 평가 지표, 술 후 구조적 연속성 분포 및 재파열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기준을 충족한 환자는 모두 158예로 일열 봉합술 93예, 교량형 봉합술 65예였다. 임상적 지표는 전례에서 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구조적 연속성의 Sugaya 분류 분포는 1형 49예(31.0%), 2형 62예(39.2%), 3형 30예(19.0%), 4형 11예(7.0%), 5형 6예(3.8%)를 보였고 재파열률은 일열 봉합군에서 9.7% (93예 중 9예), 교량형 봉합군에서 12.3% (65예 중 8예)를 보였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 환자의 회전근 개 전층파열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 우수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얻었으며 일열 봉합술과 교량형 봉합술 모두 유용한 것으로 생각한다.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 근위지골 기저부의 내측 돌출부 절제술 후 관절면을 통한 AKIN 절골술 (Transarticular Fixation of Akin Osteotomy on Patients with Hallux Valgus after Resection of Medial Protrusion of Base of Proximal Phalanx)

  • 안성준;김부환;송무호;강석웅;오관택;유성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0-224
    • /
    • 2013
  • Purpose: When medial protrusion in the base of proximal phalanx is severe from removing metatarsal bunion during the hallux valgus surgery, it could lead to skin irritation and medial pain after the surger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port our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with transarticular fixation of Akin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allux valgus after resection of the medial protrusion of base of the proximal phalanx. Materials and Methods: Our study is subject to 34 cases of 30 patients who went through proximal phalanx medial corticectomy among patients undergone both hallux valgus surgery and Akin osteotomy at our institution from March 2006 to March 2012. In all cases, we used absorbable suture material through the articular surface for Akin osteotomy after resection of the medial protrusion in proximal phalanx. Radiograph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union and displacement of osteotomy site at the time of postoperative 6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using AOFAS score and complication such as skin irritation and pain. Results: AOFAS score was improved from average 44 points(36-58), before operation and average 87 points(74-96), 12 months after operation. In two cases, partial union was suspected in radiological perspective, however, complete union on the osteotomy site was observed in all cases,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No patients was dissatisfied with pain, joint discomfort, skin irritation and inflammation from the knot. Conclusion: When medial protrusion in the base of proximal phalanx is severe from removing metatarsal bunion during the hallux valgus surgery, We have good results by transarticular fixation of Akin osteotomy using absorbable suture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