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ded sediment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수색 위성자료의 검.보정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Ocean Color Satellite Imagery)

  • 서영상;;장이현;이삼근;유신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31-436
    • /
    • 2001
  • Variations in phytoplankton concentrations result from changes of the ocean color caused by phytoplankton pigments. Thus, ocean spectral reflectance for low chlorophyll waters are blue and high chlorophyll waters tend to have green reflectance. In the Korea region, clear waters and the open sea in the Kuroshio regions of the East China Sea have low chlorophyll. As one moves even closer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the situation becomes much more optically complicated, with contributions not only from higher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but also from sediments and dissolved materials from terrestrial and sea bottom sources. The color often approaches yellow-brown in the turbidity waters (Case Ⅱ waters). To verify satellite ocean color retrievals, or to develop new algorithms for complex case Ⅱ regions requires ship-based stud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hlorophyll retrievals from NASA's SeaWiFS sensor with chlorophyll values determined with standard fluorometric methods during two cruises on Korean NFRDI ships. For the SeaWiFS data, we used the standard NASA SeaWiFS algorithm to estimate the chlorophyll_a distribution around the Korean waters using Orbview/ SeaWiFS satellite data acquired by our HPRT station at NFRDl. We studied In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chlorophyll_a from the ship and the estimated chlorophyll_a from the SeaWiFs satellite data around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in February, and May,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chlorophyll_a and the SeaWiFS chlorophyll_a shows following the equations (1)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Chlorophyll_a =0.121Ln(X) + 0.504, R²= 0.73 (1) We also determined total suspended sediment mass (55) and compared it with SeaWiFS spectral band ratio. A suspended solid algorithm was composed of in-.situ data and the ratio (L/sub WN/(490 ㎚)L/sub WN/(555 ㎚) of the SeaWiFS wavelength b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suspended solid and the SeaWiFS band ratio shows following the equation (2)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SS = -0.703 Ln(X) + 2.237, R²= 0.62 (2) In the near future, NFRDI will develop algorithms for quantifying the ocean color properties around the Korean waters, with the data from regular ocean observations using its own research vessels and from three satellites, KOMPSAT/OSMl, Terra/MODIS and Orbview/SeaWiFS.

  • PDF

강하구에서의 부유물질농도 결정을 위한 광전도측정기의 이용 및 문제점 (Use of Beam Transmissometer as an Indirect Measur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Estuarine Environment: Application and Problems)

  • 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71-781
    • /
    • 1994
  • 광전도측정기(Beam Transmissometer)를 이용한 간접적인 부유물질농도결정의 신뢰도와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Neuse 강 (미국 North Carolina주) 하구의 15개 정점에서 13개월에 걸쳐 매월 광전도도와 부유물질의 농도를 측정,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부유물질농도(SPM)와 광감쇄계수(Beam Attenuation Coefficient, c) 간의 상관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및 상관함수의 기울기(a)는 월별($r^2:\;0.12{\sim}0.93,\;a:\;0.53{\sim}5.63$) 및 정점별($r^2:\;0.21{\sim}0.96,\;a:\;1.04{\sim}4.94$)로 극심한 변동폭을 보였으나, 표층이 저층보다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해수의 영향이 연중 거의 미치지 않는 최상류지점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r^2=0.96$)를 나타내었다. 계절별로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부유물질의 유기물함량은 SPM과 c 간의 함수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시간적,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부유물질응집체(aggregate)에 의해 부유입자의 광학적 특성 (입도, 모양 및 광굴절지수 등)이 변화하게되며, 따라서 SPM과 c의 관계를 복잡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광전도측정기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정확한 보정이 필요하나, 부유입자의 광학적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강하구와 같은 환경에서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빈번한 보정으로도 신뢰도 높은 상관관계의 획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광전도측정기의 최선의 용도는 수괴의 탁도의 급격한 변동을 감지하는데 있으며, 부유입자의 광학적 특성이 비교적 균일한 외해에서나 혹은 오차범위를 허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위성영상을 활용한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면적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Area of Deltaic Barrier Island and Suspended Sediments Concentration in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Images)

  • 엄진아;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1-211
    • /
    • 2017
  • 낙동강 하구역은 인공 구조물인 하구둑, 항구의 건설 및 일부 지역의 매립과 인위적인 수로 변경 등에 의해 기존의 사주가 소멸되거나, 새로운 사주가 생성되는 등의 면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낙동강 유역의 사주 변화는 연안사주의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환경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면적 변화를 관측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andsat TM/ETM+ 영상을 기반으로 낙동강 하구의 연안사주의 면적 및 부유퇴적물에 대하여 장기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간 해안선 변화율은 진우도는 약 5 m/yr 이하, 신자도는 약 50 m/yr이며, 도요등은 북-남 방향은 20 m/yr, 동-서 방향은 -20 ~ 10 m/yr 이다. 부유퇴적물 농도는 진우도와 신자도 부근에서 최대 $25g/m^3$ 값을 가지는 반면에, 신자도와 도요등 부근에서는 최대 $40g/m^3$ 농도를 가진다. 그 결과 진우도는 면적 변화 및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량이 적으며 신자도와 도요등은 면적 변화량과 부유퇴적물 농도 변화량은 크다.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연안 사주 면적 변화와 부유퇴적물 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피어슨 계수 값이 0.36을 가지며, 겨울 자료의 경우 0.32의 값을 가진다. 즉, 부유퇴적물 변화량이 연안 사주 면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추후에는 정밀 고도 측량자료 등을 활용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연안 관리 및 환경 변화에 의한 연안 모니터링 연구에 활용 될 수 있다.

Impacts of wave and tidal forcing on 3D nearshore processes on natural beaches. Part II: Sediment transport

  • Bakhtyar, R.;Dastgheib, A.;Roelvink, D.;Barry, D.A.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61-97
    • /
    • 2016
  • This is the second of two papers on the 3D numerical modeling of nearshore hydro- and morphodynamics. In Part I, the focus was on surf and swash zone hydrodynamics in the cross-shore and longshore directions. Here, we consider nearshore processes with an emphasis on the effects of oceanic forcing and beach characteristics on sediment transport in the cross- and longshore directions, as well as on foreshore bathymetry changes. The Delft3D and XBeach models were used with four turbulence closures (viz., ${\kappa}-{\varepsilon}$, ${\kappa}-L$, ATM and H-LES) to solve the 3D Navier-Stokes equations for incompressible flow as well as the beach morphology. The sediment transport module simulates both bed load and suspended load transport of non-cohesive sediments. Twenty sets of numerical experiments combining nine control parameters under a range of bed characteristics and incident wave and tidal conditions were simulated. For each case, the general morphological response in shore-normal and shore-parallel directions was presented.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kappa}-{\varepsilon}$ and H-LES closure models yield similar results that are in better agreement with existing morphodynamic observations than the results of the other turbulence models. The simulations showed that wave forcing drives a sediment circulation pattern that results in bar and berm formation. However, together with wave forcing, tides modulate the predicted nearshore sediment dynamics. The combination of tides and wave action has a notable effect on longshor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fluxes, relative to wave action alone. The model's ability to predict sediment transport under propagation of obliquely incident wave conditions underscores its potential for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beach morphology at field scale. For example, the results of the model confirmed that the wave characteristics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cumulative erosion/deposition, cross-shore distribution of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and transport rate across and along the beach face. In addition, for the same type of oceanic forcing, the beach morphology exhibits different erosiv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grain size (e.g., foreshore profile evolution is erosive or accretive on fine or coarse sand beaches, respectively). Decreasing wave height increases the proportion of onshore to offshore fluxes, almost reaching a neutral net balance. The sediment movement increases with wave height, which is the dominant factor controlling the beach face shape.

한국 동해 남부 해역의 부유물질의 입도분포에 관한 연구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erials in the Southern East Sea of Korea)

  • 박용안;김경렬;최진용;박수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6-88
    • /
    • 1988
  • 레이저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 연안의 부유물질에 대한 입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Mean Particle Size, MPS)는 표층수 3.69-8.40 ${\mu}m$, 중층수 3.38-6.43 ${\mu}m$, 저층수 3.88-8.30 ${\mu}m$의 큰 폭 내에 분포하였다. 부유 입자들의 분포는, 작은 MPS의 경우 unimodal 형태이었으나, MPS가 증가함에 따라 polymodal 형태로 변화하였다. 입자의 농도는 MPS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는 이 해역의 MPS의 변화에 있어서, flocculation 등의 과정을 통한 미세입자들(주로 4 ${\mu}m$ 이하의)의 제거작용보다는 퇴적물의 재부유 등의 과정을 통한 큰 입자들(4 ${\mu}m$에서 7 ${\mu}m$ 정도의)의 공급작용이 더 우세함을 시사하고 있다. 중층수들에 있어서는 연안쪽으로 접근하면서, 또한 저층수들에 있어서는 대륙사면에서 높은 MPS를 보임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MPS가 높은 표층수들에 있어서는, 평균 입자 밀도가 현저히 작아졌으며, 이는 부유물질의 기원에 있어서 생물학적 과정들이 중요함을 암시하여 준다.

  • PDF

제주도 서남해역의 해저퇴적물 특성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Sea off Cheju Island, Korea)

  • 윤정수;김성복;고기원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2-147
    • /
    • 1989
  • 제주도 서남해역의 83개 정점의 표면퇴적물 시료와 55개 정점의 해수시료의 입도분석, 지화학적분석, 광물분석 및 총부유물질 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해역의 북부지역은 소량의 역을 함유한 조립질과 니 점토질인 세립질 퇴적물이 혼합된 분포를 하고, 중남부지역에는 비교적 세립질인 사 니질형이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특히, 조사지역 남동부 끝 및 북부해역 일부 지역에는 소규모의 점토대도 존재한다. 해수 중의 총부유물질의 분포 양상은 제주도 연안 및 서쪽 외해에서는 비교적 낮은 함량을 포함하나, 서북쪽 외해와 남서쪽 외해로 향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분석된 14종의 지화학적 원소성분 중 Mn, Al, Zn, Cr, Cu, Sn은 남부지역 세립질 형이 분포하는 곳에서 그리고 Ca, Mg, Ag은 북부에서 높으며, 그 외 Ni, Na, Co, Fe, Pb은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한다. 경광물은 소흑산도와 제주도 및 소코트라 암초(Socotra Rock) 부근에서는 Na-Ca 장석이 K-장석보다 많고, 암편의 양도 타지역에 비해 많으며, 추자도 주변해역에서는 K-장석이 높은 함량치를 보여 이곳 퇴적물 중의 일부는 인접 육지에서 운반 퇴적된 것으로 보여진다. 추자도 주변 및 제주도 북부해역의 니질퇴적물은 X-선 회절 분석 결과, 방해석 피크 강도가 약하고 녹니석과 고령토 함량이 다소 높아 이는 인접 육지지역의 지질을 잘 반영하며 한편, 소흑산도 주변 및 조사지역 남동쪽 끝 니와 점토대에서는 뚜렷한 방해석 피크가 존재하여 이 지역 세립질 퇴적물 중의 일부는 황하기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소흑산도 주변, 제주도 북부 및 소코트라 암초 동부 시료에서 스멕타이트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인접 육지 지역의 화산활동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응집제 첨가에 의한 침전조의 백수침전 효율 평가 (The Evaluation of White Water Sedimentation Efficiency in Settling Tank by the Addition of Flocculents)

  • 김형진;안정송;유성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4호
    • /
    • pp.67-76
    • /
    • 2004
  • Because paper industry spends lots amount of water, the recycling of water is very important in economical as well as environmental aspects. In order to optimize the process water recycling system, the efficiency of unit operation for water circulation, such as save-all system, CDS and settling tank,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 this study,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of process water was evaluated by SS measurement with the different amounts of flocculent addition. 3 different kinds of process water were collected from fine paper mill, and applied in laboratory sedimentation equipment for the measurement of settling efficiency of SS materials. The addition amounts of alum and PAC were resulted in optimum efficiency of sediments in the condition of 100 ppm of alum and 500 ppm of PAC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 of sedimentation efficiency between alum and PAC, alum showed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results. The SS of spill water and the particle size of suspended materials treated by alum flocculents were below 50 ppm and about 1 $\mu$m. It would be considered that the spill water can be substituted to superclear water grade.

해안지하수위가 해빈변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stal Groundwater Level on Beach Deformation)

  • 이우동;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81-589
    • /
    • 2019
  •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each deformation,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a 3-D hydro-morphodynamic model (HYMO-WASS-3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each deformation due to the coastal groundwater levels. HYMO-WASS-3D directly analyzed the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the hydrodynamic and morphodynamic processes in the coastal area. The simulation results of HYMO-WASS-3D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changes in the profile of the beach in the surf and swash zones. Then,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each deformation due to the variation of the level of the coastal groundwater. As a result, the beach profil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wave breaking in the surf zone and the wave uprush and backwash in the swash zone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water levels. This paper also discuss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velocities, vorticities, and suspended sediments in the surf and swash zones with various levels of the coastal groundwater.

수질오염 감시에의 활용을 위한 항공원격탐사의 적용연구 (Study of Airborne Remote Sensing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 김광은;이태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65-74
    • /
    • 1994
  • 최근 지구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원격탐사자료의 보다 정밀한 정량적 해석을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해능 항공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각종 수질오염 분포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대상 지역은 합천댐이었으며 항공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클로로필-a, 수중 부유물 및 탁도 분포도가 작성되었다. 현장 수질분석자료가 10여개에 불과해 상관관계에 대한 단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매우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나 작성된 각종 분포도들이 수질 분석결과와 비교적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므로 일단 그 기본적인 처리기법 및 앞으로의 활용가능성은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수질오염을 나타내는 각종 수질관련 지수와 원격탐사자료와의 관련성을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며 국내의 수자원의 오염상태에 따른 표준적 샘플에 대한 많은 분광특성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VHRR과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적조 패취 관측 (Detection of Red Tide Patches using AVHRR and Landsat TM data)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01
  • Detection of red tides by satellite remote sensing can be done either by detecting enhanced level of chlorophyll pigment or by detecting changes in the spectral composition of pixels. Using chlorophyll concentration, however, is not effective currently due to the facts: 1) Chlorophyll-a is a universal pigment of phytoplankton, and 2) no accurate algorithm for chlorophyll in case 2 water is available yet. Here, red band algorithm, classification and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for detecting patche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s which occurred in Korean waters in 1995. This dinoflagellate species appears dark red due to the characteristic pigments absorbing lights in the blue and green wavelength most effectively. In the satellite image, the brightness of red tide pixels in all the three visible bands were low making the detection difficult. Red band algorithm is not good for detecting the red tide because of reflectance of suspended sediments. For supervised classification, selecting training area was difficult, whil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was not effective in delineating the patches from surrounding pixels. On the other hand, PCA gave a good qualitative discrimination on the distribution compared with actual observ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