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ded sediment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2초

오염 부유물질의 관측과 관리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Contaminated Suspended Solid)

  • 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32-937
    • /
    • 2011
  • Main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firstly, to explain impacts of suspended solid in the water bo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secondly,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organic materials, nutrients, pathogens, and suspended solids considering eco-friendly water resources.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water quantity is not easy to understand as it includes physicochemical-biological reactions and diffuse pollutions. Especially, suspended solid makes water resource management difficult. Eroded soil in the upper land transported to the downstream by water flows carrying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information and sedimented in the downstream. As sediment scoured under high flow condi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suspended solid and sediment should be emphasized for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water quantity. Knowledge gaps between known monitored data and management of suspended solid were identified as well for future study.

5 MHz 신호를 이용한 부유물의 농도에 따른 후방산란강도 측정 (5-MHz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Measurements from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 이찬길;최지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21
    • /
    • 2013
  • 연안 및 하구지역은 퇴적물의 침식, 부유,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유성머드와 같은 고농도의 부유퇴적물 환경이 조성된다. 유성머드는 주로 실트, 점토와 같이 매주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는 10 g/l 이상의 고농도 환경으로써, 유성머드의 분포 및 특성 파악을 위해 초음파와 같이 분해능이 우수한 높은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음파가 부유퇴적물에 의해 산란될 때, 부유퇴적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후방산란강도의 세기가 증가하지만, 점성 및 산란에 의한 감쇠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농도에 따른 올바른 감쇠계수 보상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5 MHz 주파수 특성을 바탕으로 간이 수조에서 농도에 따른 가상의 유성머드 환경을 조성한 뒤, 후방산란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Richards의 감쇠계수 모델을 이용하여 부유물의 특성 및 농도에 따른 감쇠계수를 계산하였고, 이를 후방산란강도를 계산하는 소나방정식에 적용하여 부유물 농도에 따른 후방산란강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부유물에 의한 감쇠를 보상하지 않았을 경우 부유물 농도 증가에 따라 후방산란강도 값이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일정 농도(20 g/l) 이후부터는 부유물의 농도가 증가하여도 후방산란강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 농도에 따른 감쇠계수를 보상해 주었을 경우는 부유물 농도 증가에 따라 후방산란강도가 연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의 부유퇴적물 환경에서 음파에 의한 산란강도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부유물 농도에 따른 감쇠효과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여수 해만을 통한 광양만의 부유퇴적물 수지균형 (Suspended Sediment Budget in Gwangyang Bay through the Yeosu Sound)

  • 김대철;강효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1991
  • 여수해만 광양만 입구의 조류 및 부유 퇴적물 함량 분석을 통하여 광양만 내의 부유 퇴적물 수지 균형을 조사하였다. 만 입구의 부유 퇴적물 함량은 바닥이 평균 약 17.80mg/l로 표층의 평균 약 4.75mg/l에 비해 상당히 높으며, 조류도 표층 부근에서는 썰물이 강하나 저층에서는 오히려 밀물이 강하여 유속의 비대칭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저층의 높은 부유 퇴적물 함량과 밀물우세 조류로 인하여 이 지역의 부유 퇴적물 이동은 저층을 통한 이동이 큰 중요성을 갖으며, 따라서 광양만의 내부 특히 서쪽 부분은 전체적으로 세립 퇴적물의 순수 퇴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류에 의한 세립 퇴적물의 순수 유입량은 약 $5.66\times10^8g/day$로 계산되며, 이 순수 유입량이 만의 서부에 퇴적된다면 그 퇴적율은 약 1.15m/1,000years 정도가 될 것이다.

  • PDF

ADP를 이용한 부유사 이동량의 산출 (Calculation of Suspended Sediment Flux from ADP)

  • 오병철;추용식;정병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2-231
    • /
    • 2002
  • ADP는 음향의 Doppler효과를 이용하여 층별 유속과 유향을 측정하는 장비이며, 최근에는 반사음향의 강도로부터 부유 퇴적물의 농도측정이 가능하다고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산 인근의 한 정점에 ADP 기기를 설치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유사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해수 분석을 통한 음향계수를 정한 후 보정된 음향강도를 이용하여 부유사 농도를 구하였다. 관측된 부유사 농도분포 식은 해석해와 비교하였으며, 농도변화의 경향에 대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관측기간 동안의 부유물질의 이동량에 대한 정량적 결과를 얻었으며 ADP를 활용한 연직방향의 부유입자 농도변화를 관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고랭지 임의·불법 경작지 복구 시나리오에 따른 토양유실 및 부유사량 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n Soil Erosion and Suspended Sediment Reduction by Alpine Unauthorized and Illegal Agricultural Fields Restoration Scenarios)

  • 이서로;이관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6권2호
    • /
    • pp.53-62
    • /
    • 2024
  •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iency of reducing soil erosion and suspended sediment through the restoration of alpine unauthorized and illegally cultivated fields, using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in the Mandae District. The results showed that in Scenario 5, which involved restoring unauthorized and illegal fields within forests, along rivers (banks), and in ditch areas we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land categories, achieved the highest efficiency in reducing average annual soil erosion and suspended sediment, with reductions of 8.1% and 4.5%,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of unauthorized and illegal fields within forested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This demonstrated that the restoration of unauthorized and illegal agricultural fields can substantially reduce the soil erosion and suspended sediment attributable to non-point source pollution.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se unauthorized and illegal agricultural activities in developing sustainable strategies within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rea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to effectively establish water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in the reg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강우시 하천과 호수에서 침강성 부유토사와 비침강성 부유토사의 비교 (Comparison of Settleable and Non-settleable Suspended Sediment in Streams and Lakes)

  • 엄재성;정성민;최영순;이형진;최중대;김범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2-237
    • /
    • 2012
  • Total suspended solids (TSS), settleable suspended solids (SSS) and nonsettleable suspended solids (NSSS) were compared in streams and lakes during rain events. Samples were collected in Lake Soyang and nine agricultural streams during storm events over two years. To measure NSSS, samples were settled in 1 L cylinders for one hour and then 50% of the total sample volume was taken from the center of the cylinder. The SSS/TSS ratio in streams (0.50) was higher than in Lake Soyang (0.20). The ratio of TSS to turbidity decreased from 1.21 in the inflowing river to 0.69 in the reservoir outlet. Turbidity and NSSS showed higher correlation ($r^2$=0.82) compared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urbidity and TSS ($r^2$=0.66). Median particle size decreased from $11.4\;{\mu}m$ in the inflowing river to $4.2\;{\mu}m$ in the lake outlet.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fine particles of less than $5{\sim}10\;{\mu}m$ can be transported downstream of the lake. Because fast-flowing water in streams includes not only fine particles but also coarse particles, an over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results if only TSS is measured. Consequently, TSS and NSSS should be measured separately to evaluate the effect of suspend sediment loadings of turbid streams on aquatic habitat during the monsoon season.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Nakdong Estuary)

  • 김재중;김기철;이정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0-131
    • /
    • 1995
  • Numerical simulations on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Nakdong Estuary are carried out Uncoupled flow model and diffusion model of which the governing equations are two-dimensional depth integrated equations are used int his study. Four cases are tested in this numerical simulations in which the Gaduk waterway open boundary condition and Nakdong Estuary barrage boundary condition are considered as the boundary conditions. The sim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which were obtained by NEDECO at hadan site on 1981.2.19. and by Dong-A university at one station in the study area on 1993.4.3. and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em.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Estuary Barrage may affect to reduce the current near Jinudo an Daemadeung and the suspended sediment inflowed from the upstream in the wet season seems to be transported to the Dadae.

  • PDF

미소진폭파에 의한 저질의 부유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Due to Small Amplitude Wave Action)

  • 여운광;안수한
    • 물과 미래
    • /
    • 제13권4호
    • /
    • pp.33-40
    • /
    • 1980
  • 해안지형 변화의 주원인인 부유사에 대한 연구가 이론적·실험적으로 다소 있었으나 그의 성질을 완전히 해석하기에는 상당한 난점이 있다. 그 이유는 자연상태의 변형인자들이 너무 많고 서로 복합적으로 연합되어 있어 실험실내에서는 실험할 때 고려되어야 할 많은 인자들의 제약이 뒤따르며, 실제 해안에서의 실측은 많은 인력 및 경비와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미소진폭파에 의한 비정상 확산방정식을 해석하여 부유사 농도의 시간적 변화와 연직농도분포 및 침강속도의 영향을 밝힘으로써 부유사의 기초적 성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토지이용에 따른 부유토사 유출 평가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 Runoff for Landuse)

  • 김주훈;오덕근;김경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9-128
    • /
    • 2005
  • 유역의 토사발생은 하상 변동 등에 의한 하천의 통수 단면 감소 등을 유발하며 하천수질 악화와 담수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 및 농경지 유역과 도시유역의 관류하는 무심천 유역에서 유역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른 유출토사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심천 상류는 농경지와 산림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유토사량은 10개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5개 지점에 대하여 관측하였다. 토지이용특성 분석결과 방서교 유역은 전체 무심천 유역의 69%의 면적을 차지하며 이중에서 농경지(27.1%)와 산림지역(63.7%)이 방서교 상류의 90.8%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서 유사량이 많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류 도시지역을 통과하면서 부유사량 농도는 감소하였다. 무심천 유역의 부유사량 농도는 유역 상류 지역인 방서교지점 이전에서 영향을 받고 이후 하류의 도시지역에서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유사량과 유출량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R^{2}$는 상류지역이 0.506이었고, 하류지역에서는 0.656이었다.

  • PDF

추계와 동계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농도 변화 (The Chang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Fall and Winter Months)

  • 이병관;이수웅;김석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2-550
    • /
    • 2011
  • Change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south sea of the Korea peninsula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pring tide in autumn (i.e. 25 hours in October) 2000 and winter (i.e. 25 hours in February) 2001.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showed larger variations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currents at bottom layer were observed to be stronger than during the spring tide in February 2001, showing that both of the two periods had ebb currents-predominant tide asymmetries.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October 2000 were larger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At the time of the maximum of tide currents or after about one hour of the maximum during the autumn months, the suspended sediment turbidity was observed to be maximum. Another observation station at Hadong upstream from the Seomjin river estuary showed about one hour delay in tide phase, Thereby,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howed high turbidity after two hours at bottom and three hours at surface layer, in particular, in October 2000.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river discharg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ummer rainy season, causing also increase of erosion processes by strong current velocity at bottom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