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ded particle distribu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1초

화순너릿재 터널내의 대기오염성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Air Pollution Component in Hwasoon Nulitjae Tunnel)

  • 신대윤;송금섭;김정규;송연호;임만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2-57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ir pollution in Hwasoon Nulitjae tunnel for two months, from August 1992 to September 1992. The total suspended particles were collected by high volume air sampler at inside and outside of Hwasoon Nulitjae tunnel, of which major water soluble component and heavy metalic element were analyzed. Size distribution and respirable mass fraction of aerosol at inside were measured by filters on nine stages Andersen air sampl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SP at inside was 657.57 $\mu$g/m$^3$, which appeared about 9.2 times as high as that of 71.47 $\mu$g/m$^3$ at outside. The decrease effect caused by using new tunnel was 31.2%.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centration of TSP at inside of Hwasoon Nulitjae tunnel and that at outsid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13.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SO$_4^{2-}$ , NO$_3^-$, CI$^-$ were 43.02 $\mu$g/m$^3$, 19.86 $\mu$g/m$^3$, 4.96 $\mu$g/m$^3$, those of NH$_4^+$, Na$^+$, K$^+$ 1.42 $\mu$g/m$^3$, 4.45 $\mu$g/m$^3$, 2.89 $\mu$g/m$^3$ and those of Ca$^{2+}$, Mg$^{2+}$, Pb$^{2+}$ 3.92 $\mu$g/m$^3$, 2.27 $\mu$g/m$^3$. 1.52 $\mu$g/m$^3$, respectively. It was estimated that mass fraction rate of respirable particle at inside was about 84.54% of aeroso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le to be collected by Andersen sampler was 478.90 $\mu$g/m$^3$, this was about 72.8% of that by high volume air sampler.

  • PDF

강우시 도로유출수 수질특성 및 입경분포 (Water Qual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Road Runoff in Storm Event)

  • 이준호;조용진;방기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77-784
    • /
    • 2005
  • 도시지역은 불투수층 면적비율이 높아 작은 강우에도 초기유출(first flush)이 강하게 발생하고 유출되는 오염물질 농도도 높다. 도로유출수에는 미세입자물질, 중금속, 유기물질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도로유출수의 수질과 입자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교통량이 비교적 많은 도로 2개 지점을 대상으로 총 6회의 강우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2개 조사 지점에서 분석된 도로유출수 수질농도범위는 SS $45{\sim}2,396\;mg/L$, $COD_{Cr}\;40{\sim}931\;mg/L$, TKN $0.1{\sim}19.6\;mg/L$, TP $0.2{\sim}25.1\;mg/L$, Fe $0.33{\sim}8.15\;mg/L$, Cr $0.06{\sim}0.50\;mg/L$, Pb $0.06{\sim}0.97\;mg/L$, Cr $0.01{\sim}0.12\;mg/L$으로 조사되었다. 강우초기의 농도는 극단적으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로유출수 SS와 상관계수가 높은 수질항목으로는 $COD_{Cr}$, TP, Cu, Pb이고, 상관계수가 가장 낮은 항목으로는 TKN으로 분석되었다. 도로유출수의 입경을 분석한 결과 평균 f3경간의 범위는 $6.7{\sim}23.4\;{\mu}m$이고 90% 입경의 범위는 $36.2{\sim}105.2\;{\mu}m$로 분석되었다. 또한, 입경은 유출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균등계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범위는 $6.4{\sim}10.2$로 입경 분포범위가 크게 나타났다.

여과재를 활용한 건물옥상유출 초기빗물의 부유물질 저감 (Reduction of Suspended Solids in First Flush from a Building Rooftop using Various Media)

  • 김성범;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4-219
    • /
    • 2017
  • 건물의 우수관에 연결하여 초기빗물의 부유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건물옥상 유출 빗물의 수질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다양한 여재를 활용해 초기빗물의 부유물질 제거를 연구하였다. 건물옥상 유출빗물의 입자성 물질은 대부분 $10{\sim}30{\mu}m$의 크기로, 부유물질 농도는 강우시 초기 10~20분까지 높았고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옥상유출빗물의 용존성 유기물과 무기물의 농도도 유출 초기에 높게 나타났다. Anthracite (AC), Polyurethane (PU), Polypropylene (PP) 여재로 여과시 초기에 50%의 부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20분 이상 여과시 제거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세척후 반복여과를 고려하면 AC 여재만 9회까지 재사용가능하였다. 여재층의 높이가 높을수록, 통과유량이 적을수록 시간에 따른 SS 제거율 감소폭은 적었고, 여재층 30 cm, 유량 12 L/min 이하로 운전할 경우 초기빗물(SS = 450 mg/L)의 SS 제거율 50%를 달성할 수 있었다.

농경유역 중소하천에서 유량과 총유사량의 관계식 유도방법 (Derivation Method of Rating Curve and Relationships for Flow Discharge-Total Sediment at Small-Midium Streams in Agrarian Basin)

  • 이종석;김치곤;유의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44-555
    • /
    • 2015
  • 본 연구는 농경유역 중소하천의 주요 지점에서 실측된 현장자료를 사용하여 유량과 총유사량 관계곡선과 이들 간의 관계식을 유도한다. 실측치 총유사량 자료는 수심평균농도와 하상에서 각각의 부유사와 소류사 채취기(DH-48, D-74 및 BLH-84, BL-84)에 의해 채집된 시료를 건조 또는 여과법, 체분석에 의한 입도분포곡선을 통해 얻은 부유사량에 소류사량을 합하여 얻었다. 이들 현장자료는 농경유역 논산수계 내 4개 대상하천의 국가-지방하천 수로구간 7개 측점에서 2012년 8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측정되었다. 그 결과, 유량과 총유사량에 대한 관계곡선과 관계식은 현장측정 자료군의 분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멱함수형으로 유도하였으며, 이들 관계식은 수공 유사공학의 이론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적 응용에 있어 세굴, 퇴적 및 이송을 해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AF에서 기포의 크기제어 및 영향분석 (Analysis of Controlling the Size of Microbubble in DAF)

  • 독고석;곽동희;김영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5-241
    • /
    • 2004
  • The dissolved air flotation (DAF) process has been widely used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with low density in water. It has been known as measuring the size of microbubbles precisely which move upward rapidly in contact zone is difficult. In this study particle counter monitoring (PCM)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rising microbubble after injection from a nozzle. Size and distribution curve of microbubbles are evaluated at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pressure drop at intermediate valve, length of pipeline between saturation tank and nozzle and low pressure. And the efficiency is also checked when it collides with different size flo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following fact. As the final pressure drop occurred closer to a nozzle, the bubble size became smaller. And small bubble collides with large floc as well as small one because of its physical characteristic. However large bubble collides well with large floc rather than small one since hydrodynamic flow in streamline interferes to collide between two. With performing computational process by mathematical model we have analyzed and verified the size effect between bubble and floc. Collision efficiency is the highest when P/B ratio shows in the range of 0.75 < P/B ratio ($R_{particle/Rbubble}$) < 2.0.

생물막 세균의 염소소독제에 대한 내성 (Resistance of Biofilm Bacteria to Chlorination)

  • 조재창;박성주;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5-260
    • /
    • 1993
  • Enterobacter cloacae 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slide glass) 와 아연도강관조각 (galvanized-iron coupon) 상에 생물막을 형성시킨 후 부착생장세균의 염소에 대한 내성을 측정한 결과 부유생장세균에 비해 각각 14배와 380배의 내성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입자에 부착된 세균군집의 경우 부유세균군집에 비해 48배로 내성이 증가되었다. 슬라이드와 아연도강관조각을 수돗물에 75일간 접촉하였을때 각각 $4.75 {\times} 10^{4}$ cfu/$cm^{2}$, $1.12 {\times} 10^5 cfu/cm^{2}$의 생물막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수돗물에서의 장내세균과 종속영양세균 입자에 부착 혹은 흡착되거나 응집된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잔류염소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되며, 또한 정수과정에서 염소살균을 피하여 비급수계통으로 유입되면 배급수관 내벽에 생물막을 형성하여 잔류업소에 대한 내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배급수계통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울지역의 시정 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On the Origin of Visibility Degradation in Seoul)

  • 윤순창;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9-236
    • /
    • 1998
  • Visibility is a good indicator of comprehensive alto quality. The prevailing visibility in Seoul is no better than the past althoug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O2 and TSP (total suspended particulate) has decreased quite significantly in the past decade, owing to the government efforts to reduce the emission. Then, a question arises why visibility has not been improved.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we have investigated which components of air pollutants are most responsible for the visibility degradation in Seoul. Analysis on the visibility vs the aerosol sixte distribution measured by an optical particle counter shows that the particles of the size interval between 0.5mm and 2.5mm are most responsible for the visibility degradation. Among the criteria air Pollutants, NOB concentration is found to be moot responsible, rather than PM10. ton analysis of the particulate collected by a high volume sampler shows that the nitrate component increases more significantly than other ions when visibility becomes very poor.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major causes of visibility degradation in Seoul are the increase of NOB, nitrates and the particles of the size range between 0.5mm and 2.5mm.

  • PDF

2006년도 하계 아산만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c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Asan Bay, Korea in Summer 2006)

  • 최진영;이성규;양동범;홍기훈;신경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09
  • 2006년 5월부터 9월까지 아산만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표층수와 부유입자 시료에서 28개의 유기인계 농약이 검출되었다. 조사해역의 표층수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기인계 농약은 IBP와 DDVP로 각각 N.D.${\sim}$014.4, 3.2${\sim}$696.3 ng/L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유기인계 농약은 아산만에서 7월과 8월에 가장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이는 농약의 사용 및 강수와 관계가 있었다. 조사 해역에서 유기인계 농약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뚜렷이 감소하여 육상기원 잔류농약이 연안의 해양환경내로 유입된 후 분해 희석됨을 보여주었다. 조사기간 중의 아산만 해역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는 다른 지역에서 조사된 것 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다, 검출된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는 우리나라 해역의 수질기준 중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 허용치를 넘지 않았다. 분석된 유기인계 농약 중 DDVP, IBP, Diazinon, Phorate, Azinphos ethyl, Chlorfenvinfos는 부유입자에 흡착하는 성질이 다른 농약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흡착계수 $(K_d)$는 Log $K_ow$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강우시 교량도로 유출수 수질 및 입경분포 (Water Qual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Bridge Road Runoff in Storm Event)

  • 조용진;이준호;방기웅;최창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53-1359
    • /
    • 2007
  • 도시지역 하천으로 직접 배출되는 교량도로 유출수의 수질과 입자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강우 유출수 시료를 분석하였다. 도로유출수에는 미세입자물질, 중금속, 유기물질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교통량이 많은 4차선과 6차선 도로 4개 지점을 대상으로 총 7회의 강우 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유량, COD, SS, T-N, T-P, $PO_4-P$ 그리고 입경분포이다. 도로유출수 수질농도 범위는 SS $35\sim2,390$ mg/L, COD $40\sim1,274$ mg/L, T-N $0.03\sim21.25$ mg/L, T-P $0.05\sim4.58$ mg/L으로 조사되었다. 교량도로유출수의 입경을 분석한 결과 $D_{Mean}$값의 범위는 $4.75\sim14.05{\mu}m$이고 $D_{90}$입경의 범위는 $17.33\sim58.15{\mu}m$로 분석되었다.

2010년 3월 20일 부산지역에 발생한 극심한 황사의 에어로솔 농도 분포 특성 (Characterization of Aerosol Concentration during Severe Asian Dust Period at Busan, Korea in 20 March 2010)

  • 정운선;박성화;이동인;강덕두;김동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5-289
    • /
    • 2014
  • Asian dust (or yellow sand) occurring mainly in spring in East Asia is affected by the distribution of weather syste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particulate for Asian dust at Busan, Korea in 20 March 2010, which was one of the extreme case for the last 10 years. There was used the data of weather chart, satellite,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PM_{10}$, laser particle counter (LPC), and backward trajectories model. In synoptically, the high pressure was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and low pressure wa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The strong westerly winds from surface to upper layer makes it possible to move air masses rapidly. Air masses passing through Gobi Desert in Mongolia and Inner Mongolia plateau covered the entire Korean peninsula. As the results of aerosol analysis, $PM_{10}$ concentration at Gudeok mountain in Busan was recorded $2,344{\mu}g/m^3$ in 2300 LST 20 March 2010 and their concentration was markedly increased at coarse mode particle. In surface condition, westerly wind about 3 ~ 5 m/s was dominant and small particles of $0.3{\sim}0.5{\mu}m$ were distributed on the whole. In heavy metal components analysis, the elements from the land was predomin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