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i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초

Arsenic Trioxide Induces Apoptosis and Incapacitates Proliferation and Invasive Properties of U87MG Glioblastoma Cells through a Possible NF-κB-Mediated Mechanism

  • Ghaffari, Seyed H.;Yousefi, Meysam;Dizaji, Majid Zaki;Momeny, Majid;Bashash, Davood;Zekri, Ali;Alimoghaddam, Kamran;Ghavamzadeh, Ardeshi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553-1564
    • /
    • 2016
  • Identification of novel therapeutics in glioblastoma remains crucial due to the devastating and infiltrative capacity of this malignancy.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appraise effect of arsenic trioxide (ATO) in U87MG cel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TO induced apoptosis and impeded proliferation of U87MG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inhibited classical NF-${\kappa}B$ signaling pathway. ATO further upregulated expression of Bax as an important proapoptotic target of NF-${\kappa}B$ and also inhibited mRNA expression of survivin, c-Myc and hTERT and suppressed telomerase activity. Moreover, ATO significantly increased adhesion of U87MG cells and also diminished transcription of NF-${\kappa}B$ down-stream targets involved in cell migration and invasion, including cathepsin B, uPA, MMP-2, MMP-9 and MMP-14 and suppressed proteolytic activity of cathepsin B, MMP-2 and MMP-9, demonstrating a possible mechanism of ATO effect on a well-known signaling in glioblastoma dissemination. Taken together, here we suggest that ATO inhibits survival and invasion of U87MG cells possibly through NF-${\kappa}B$-mediated inhibition of survivin and telomerase activity and NF-${\kappa}B$-dependent suppression of cathepsin B, MMP-2 and MMP-9.

Betulinic Acid, a Naturally Occurring Triterpene found in the Bark of the White Birch Tree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KB Cervical Cancer Cells through Specificity Protein 1 and its Downstream

  • Shin, Ji-Ae;Choi, Eun-Sun;Jung, Ji-Youn;Cho, Nam-Pyo;Cho, Sung-Do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0-153
    • /
    • 2011
  • 흰자작나무의 껍질에서 발견된 자연적으로 발생한 triterpene 인 betulinic acid (BA)가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와 동물 모델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궁경부암세포에서 BA의 화학적 암예방 효과는 연구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람 자궁경부암세포주인 KB세포를 이용하여, BA가 세포증식을 감소시키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B 세포에서 B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증식의 억제는 specificity protein 1 (Sp1)과 Sp1의 표적단백질인 myeloid cell leukemia-1 (Mcl-1) 그리고 survivin의 감소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BA는 자궁경부암에서 과다 발현되는 Sp1을 조절하는 새로운 화학적 암예방 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duc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by Dorema Glabrum Root Extracts in a Gastric Adenocarcinoma (AGS) Cell Line

  • Jafari, Naser;Zargar, Seyed Jalal;Yassa, Narguess;Delnavazi, Mohammad 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189-5193
    • /
    • 2016
  • Objective: Dorema glabrum Fisch. & C.A. Mey is a perennial plant that has several curative propertie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seeds of this plant has been demonstrated in a mouse fibrosarcoma cell lin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cytotoxicity of D. glabrum root extracts in a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cell line and explore mechanisms of apoptosis induction, cell cycle arrest and altered gene expression in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The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IC50 values, EB/AO staining to analyze the mode of cell death, and flow cytometry to assess the cell cycle.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with apoptosis and cell cycle-related gene primers, for cyclin D1, c-myc, survivin, VEGF, Bcl-2, Bax, and caspase-3 to determine alteration of gene expression.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n-hexane and chloroform extracts had greatest toxic effects on gastric cancer cells with IC50 values of $6.4{\mu}g/ml$ and $4.6{\mu}g/ml$, respectively, after 72 h. Cell cycl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pulation of treated cells in the G1 phase was increased in comparison to controls. Cellular morphological changes indicated induction of apoptosis. In addition, mRNA expression levels of Bax and caspase-3 were increased, and of bcl-2 survivin, VEGF, c-myc and cyclin D1 were decreased. Conclusion: Our study results suggest that D. glabrum has cytotoxic effects on AGS cells, characterized by enhanced apoptosis, reduced cell viability and arrest of cell cycling.

Lack of Association of BIRC5 Polymorphisms with Clearance of HBV Infection and HCC Occurrence in a Korean Population

  • Lee, Jin-Sol;Kim, Jeong-Hyun;Park, Byung-Lae;Cheong, Hyun-Sub;Kim, Jason-Y.;Park, Tae-Joon;Chun, Ji-Yong;Bae, Joon-Seol;Lee, Hyo-Suk;Kim, Yoon-Jun;Shin, Hyoung-Doo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4호
    • /
    • pp.195-202
    • /
    • 2009
  • BIRC5 (Survivin) belongs to the inhibitor of apoptosis gene family. The BIRC5 protein inhibits caspases and consequently blocks apoptosis. Thus, BIRC5 contributes to the progression of cancer allowing for continued cell proliferation and survival. In this study, we identified eight sequence variants of BIRC5 through direct DNA sequencing. Among the eigh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six common variants with frequencies higher than 0.05 were selected for larger-scale genotyping (n=1,066). Results of the study did not show any association between the promoter region polymorphisms and the clearance of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occurrence. This is in line with a previous study in which polymorphisms in the promoter region does not influence the function of BIRC5. Initially, we were able to detect a signal with the +9194A>G, which disappeared after multiple corrections but led to a change in amino acid. Similarly, we were also able to detect an association signal between two haplotypes (haplotype-2 and haplotype-5) on the onset age of HCC and/or HCC occurrence, but the signals also disappeared after multiple corrections.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BIRC5 polymorphisms and the clearance HBV infection and/or HCC occurrence. However, our results might useful to future studies.

와송이 인간 백혈병 세포주 THP-1에서 NF-κB 활성 억제와 p38 활성을 통해 세포사멸과 자가포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on Apoptosis and Autophagy in Human monocytic leukemia Cell line THP-1 via Inhibition of NF-κB and Phosphorylation of p38 MAPK)

  • 주성희;장은경;김영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0
    • /
    • 2019
  • Objectives: Orostachys japonicas (O. japonicus) has been known for its anti-tumor effect. In the present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O. japonicus EtOH extracts could induce apoptosis and autophagy which are part of the main mechanism related to anti-tumor effect in THP-1 cells. Methods: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O. japonicus EtOH extracts ($0-300{\mu}g/ml$) for 24, 48, and 72h.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MTS/PMS assay and apoptosis rate was examined by flow cytometry and ELISA assay. The mRNA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genes (Bcl-2, Mcl-1, Survivin, Bax) and autophagy-related gene (mTOR) was evaluated using real-time PCR. The protein expression of Caspase-3, Akt, LC3 II, Beclin-1, Atg5, $NF-{\kappa}B$, p38, ERK was evalu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O. japonicus EtOH extracts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rate was increased in both flow cytometry and ELISA assay. Bcl-2, Mcl-1, Survivin (anti-apoptosis factors) mRNA expressions were decreased and Bax (pro-apoptosis factor) mRNA level was increased. mTOR mRNA expressions was decreased and LC3 II protein expressions was increased. Activation of $NF-{\kappa}B$ was decreased and phosphorylation of p38 was increased. Conclusion: O. japonicus is regarded to inhibit cell proliferation, to induce apoptosis and to regulate autophagy-related genes in THP-1 cells via $NF-{\kappa}B$ and p38 MAPK signaling pathway. This suggests O. japonicus could be an effective herb in treating acute myeloid leukemia.

Vitexin에 의한 HDF 세포에서 UVB 유도 DRAM1-오토파지 단백질 (Regulation of UVB-induced DRAM1-Autophagy protein in HDF Cells by the Vitexin)

  • 변서정;강상모;조영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01-210
    • /
    • 2021
  • 본 연구는 메밀 추출물과 비텍신을 이용하여 UVB 손상 개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icroarray 분석, 세포의 증식, 세포 상처 회복, 세포주기, 마이크로파지의 생성 양상, 단백질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Microarray 분석 결과는 DRAM1, Atg2a 및 Atg13 유전자에서 UVB에 의해 증가 된 양상을 메밀 에탄올추출물과 비텍신에서 감소시켰다. 세포의 증식, 상처 회복, 주기 및 마이크로파지 양상에서는 메밀 에탄올추출물과 비텍신에서 정상 세포와 유사하게 개선되었으며, 단백질 분석에서 DRAM1, Beclin-1 및 LC3 I/II 모두 비텍신 처리군에서 감소하였고, p-mTOR 및 Survivin은 모두 증가 되었다. UVB에 의한 손상에서 메밀 에탄올추출물과 비텍신은 DRAM1, Atg2a 및 Atg13을 같이 컨트롤 하고 세포 증식, 상처 회복 및 주기를 정상으로 회복하며 UVB에 의한 세포 노화 발생원인 중 하나인 오토파지를 조절하여 세포의 사멸억제 및 재생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성분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Curcumin과 resveratrol에 의한 두경부암 유래의 HN-4 세포의 세포주기, 세포사 및 전이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 (EFFECT OF CURCUMIN AND RESVERATROL ON THE CELL CYCLE REGULATION, APOPTOSIS AND INHIBITION OF METASTASIS RELATED PROTEINS IN HN-4 CELLS)

  • 김사엽;이상한;권택규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5호
    • /
    • pp.272-28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 HN-4 세포에서 cancer chemopreventive agent인 curcumin과 resveratrol를 처리하여 HN-4 세포의 생육 억제의 원인이 apoptotic cell death에 의하여 일어나며 세포 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 및 암 전이에 관련된 MMP 활성 저해 기전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HN-4 세포에 다양한 농도(10-100 ${\mu}M$) curcumin을 처리하여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cdk1과 cdk4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resveratrol 처리에서는 cyclin A 단백질의 특이적인 감소 현상을 확인하였다. Curcumin에 의한 apoptosis 유도 기전을 조사한 결과 anti-apoptotic 기능이 있는 Bcl-2 및 Bcl-xL 단백질 발현 감소 현상은 없었으나, caspase 저해 IAP family 단백질중 cIAP1과 survivin 단백질 발현 현상이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Resveratrol을 처리한 경우 Bcl-2 및 survivin 단백질 발현 감소현상을 확인하였다. Curcumin과 resveratrol에 의한 apoptosis 과정은 caspase-3 의존적인 apoptosis 유도 기전을 보였다. Curcumin에 의한 apoptosis 과정은 항산화제인 NAC 처리에 의해서 저해되었다. Curcumin과 NAC 동시 처리는 cytochrome c 유리, caspase-3 활성화 및 Bax 단백질 분절 현상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resveratrol에 의한 apoptosis 과정은 NAC 처리에 의하여 억제되지 않았다. Curcumin과 resveratrol에 의한 암 전이 관련 단백질인 MMP2와 9의 활성 저해효과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urcumin에 의한 항암효과는 세포주기 조절 및 apoptosis 유도 및 전이 관련 단백질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인체혈구암세포 U937의 D-Ala2-Leu5-enkephalin처리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 효과 (Cell Cycle Arrest by Treatment of D-Ala2-Leu5-enkephalin in Human Leukemia Cancer U937 Cell.)

  • 이준혁;최우영;최영현;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0-624
    • /
    • 2009
  • 동면 개시인자로 알려진 DADLE는 여러 연구에 의해 in vivo와 in vitro 상에서 유사 동면 상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인체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주의 세포 사멸과 세포 주기 둥에 대한 DADL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DADLE가 처리된 U937세포는 8${\sim}6$10 ${\mu}$M의 높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이 감소하였으며, 0${\sim}6$ ${\mu}$M의 낮은 농도에서 영향이 없었다. DNA 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주기를 분석해본 결과 DADLE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가 관찰되었다. DADLE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률 감소 및 세포 주기 억제효과를 전사 수준에서 조사한 결과 Bcl-XL, c-IAP-2의 발현 및 survivin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COX-2의 발현 역시 COX-1의 변화 없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yclin E 와 cdk-2, -4 그리고 -6의 발현 역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elomere 조절 관련 유전자의 경우도 c-myc과 TERT의 감소, 그리고 TEP-1가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DADLE를 U937 암세포주에 처리했을 때 세포 주기의 억제를 통하여 life-time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GS 인체위암세포에서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 비교 연구 (Anti-cancer Potentials of Rhus verniciflua Stoke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and Arsenium Sublimatum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백일성;임령해;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49-8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쥐 유래 정상세포(RAW 264.7 대식세포 및 C2C12 근아세포)에서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단독 및 복합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인 세포생존율의 억제 현상은 관찰 할 수 없었다. 그리고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AGS 위암세포의 생존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나, 폐암(A549), 대장암(HCT116), 간암(Hep3B) 및 방광암(T24) 세포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생존 억제력은 apoptosis 유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염색질의 응축 현상, DNA 단편화 및 annexin-V 염색에 의한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Fas 및 Fas legand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XIAP, cIAP-1 및 survivin과 같은 IAP family 단백질과 anti-apoptotic Bcl-xL의 발현은 저하시켰다. 복합 처리는 또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손실과 caspases (-3, -8 및 -9)의 활성에 PARP 단백질의 분절화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세포에서 관찰된 세포독성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pan-caspases inhibitor인 z-VAD-fmk의 선처리에 의하여 차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apoptosis 유도가 caspase 의존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in vivo 모델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