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technique

검색결과 1,586건 처리시간 0.025초

촬영자세별 척추측만각과 척추전만각의 비교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Technical Improvement for Spine Radiography by Comparing Scoliotic and Lordotic Angle with Different Positioning Methods)

  • 정재연;손순룡;이종석;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263-269
    • /
    • 2011
  • 척추촬영법은 의료기관별로 상이하고 각종 대학 및 국가시험을 위한 교재 등에 상이하게 기술되어 혼선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동일한 환자의 선자세와 누운자세에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각 자세에서 척추측만각과 척추전만각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임상 및 관련기관, 참고서적에 가장 적절한 촬영 자세를 정립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척추질환 환자 중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은 85명을 대상으로 Cobb's method를 이용하여 척추전만각(lordortic angle) 및 척추측만각(scoliotic angle)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자료는 t-test(SPSS 18)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으며, 임상의 실태 파악을 위해 서울소재 10곳의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척추촬영의 자세와 시행근거를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척추측만각의 측정 결과, 선자세가 바로누운자세보다 평균 20.98%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척추전만각은 지지대잡은자세가 측와위자세보다 29.3%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1). 의료기관의 실태 결과, 누운자세촬영이 70.0%로 선자세촬영의 30.0%보다 월등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자세촬영은 누운자세촬영보다 척추측만각 및 척추전만각이 증가하여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서 중력이 가해진 선자세 촬영의 중요성과 일치하였으므로 임상의 검사자는 그 차이를 인식하여 필히 정확한 선자세에서 촬영이 요구된다.

다발성 늑골골절 및 Flail Chest 환자에서 Judet's strut를 이용한 수술적 고정술 105례 (Treatment of Multiple Rib Fracture and Flail Chest with Judet's Strut-105 Case REport-)

  • 박병순;조완재;오정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803-808
    • /
    • 1997
  • 저자들은 1989년 8월부터 1995년 8월까지 흉부외상으로 인한 다발성 늑골골절 및 유동흉이 발생한 105례의 환자에게 Judet's strut를 이용한 늑골고정술로 치험하였다. 전체 환자중 86명이 남성, 19명이 여성이었으며 연령분포는 17세부터 77세로 평균연령은 $48\pm12였다.$ 흉부외상의 원인은 교통사고가 85명(81%)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늑골골절의 수는 5.5개였으며 환자는 유동흉환자가 72명(64%), 이탈이 심한 다발성 늑골골절이 18명(17.1%), 외상성 흉벽기형이 10명(9.5%), 기타 5명(4.7%) 등이었다. 수술 후 1명이 사망하여 사망율 0.96%를 보였고 총 13명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여 12.3%의 발생율을 보였다. 수술후 인공호흡기 치료기간은 평균 $90.5\pm22.6시간,$ 동맥혈 검사상 PO2는 수술전 평균 $62.8\pm9.mmHg에서$ 수술후 평균 $113.0\pm26.3mmHg로$ 개선되었다. 수술 결과 인공호흡기 치료기간 및 입원기간의 단축, 흉부손상에 의한 합병증의 감소등 기존의 치료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술식은 누구나 시행할 수 있으며, 향후 흉부손상에 의한 다발성 늑골골절 및 유동흉 환자에서 폐좌상의 정도가 전체 용적의 30% 미만의 경우 치료 \ulcorner일차적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는 치료법으로 여겨진다.

  • PDF

연결형(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 (Linked (Semi-constrained) Total Elbow Arthroplasty)

  • 정홍준;전인호;전재명;이태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70-177
    • /
    • 2013
  •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은 고관절이나 슬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에 비해 아직은 발전 단계에 있는 수술이다. 많은 임상 경험을 통해 여러 형태의 치환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장기 추시 결과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대의 주관절 치환물은 크게 두 가지 디자인 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이 그것이며, 이들은 다른 말로 반구속형과 비구속형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비구속형/구속형 전환 가능한 치환물도 사용되고 있다.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의 선택은 우선적으로 주관절의 안정성 및 골성 구조물의 적절성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형 치환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마모, 조기 이완, 해리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 장기 추시 결과가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적절한 환자의 선택,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 수술 술기의 발달, 그리고 수술 후 적절한 재활 치료 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이 많이 해결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신체적인 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환자에 있어서는 마모나 이완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연결형 치환물이 적절한 선택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종설에서는 연결형 (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물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치관-치근 파절된 치아의 의도적 재식술 치험례 (INTENTIONAL REPLANTATION OF THE CROWN-ROOT FRACTURED TOOTH: A CASE REPORT)

  • 김수경;안승태;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1-386
    • /
    • 2010
  • 수직적으로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에서 파절은 치근을 따라 다양한 부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깊이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파절선이 치관부에 근접한 경우 치은 판막을 형성하여 파절 부위를 노출시키거나 교정적 또는 외과적으로 치아를 정출시키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파절선의 위치가 깊은 경우 그 예후는 불량하며 치근의 1/3 이상을 넘어선 경우에는 발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 중절치의 발치는 심미적 문제, 치조골 흡수, 발음 문제 등 여러 합병증을 초래하게 되므로 성장기 동안 치아를 보존하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한다. 그러므로 수직 치관-치근 파절된 전치부 치아의 치료 시 발치 대신 복합레진으로 파절선을 수복한 후 재식하는 의도적 재식술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파절이 치근 1/2 정도로 깊게 발생한 혼합치열기 환아에서 해당치아를 의도적으로 발치하고 복합레진으로 파절 부위를 수복한 후 재식하였다.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결과 특이한 임상적 증상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심미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술식에 민감하며 장기적 예후에 대한 보고는 부족하지만,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동맥색전술로 시술한 폐격리증 1예 (A Case of Pulmonary Sequestration Treated with Arterial Embolization)

  • 이건화;김동균;나현식;배준용;최준호;김양기;김기업;어수택;김동훈;황정화;구동억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68-73
    • /
    • 2005
  • 폐격리증 치료의 고식적인 방법에는 폐엽 절제술이 있고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는 기형혈관을 동맥색전술로 폐색시키는 방법이 있다. 최근 국내에서 폐격리증을 동맥색전술만으로 치료한 증례가 있으나 모두 소아에서 치료한 경우였다. 저자들은 17세 남자 환자에서 폐격리증을 젤폼과 코일을 이용한 동맥 색전술로 특별한 합병증 없이 치료 하였고 6개월 후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추적 관찰 하였기에 문헌 보고하는 바이다.

다섯 마리의 개에서 복강경 보조 방광경을 이용한 요로결석 제거 (Removal of Urinary Calculi by Laparoscopic-Assisted Cystoscopy in Five Dogs)

  • 이승용;박세진;진소영;김민향;석성훈;김영기;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1-375
    • /
    • 2014
  • 다섯 마리의 개에서 복강경 보조 방광경을 이용하여 요로결석을 제거하였다. 모든 개에서 요로결석으로 인한 배뇨 장애를 보였으며, 수술 방법은 동일하다. 수술 전에 요도를 통해 도뇨관을 방광까지 장착한다. 배꼽 1-2 cm 위 정중선에 5 mm 캐뉼라를 장착하고, 복강경 카메라를 도입한다. 방광 선단 바로 위쪽의 복벽에 10 mm 캐뉼라를 장착하고, Babcock 포셉을 이용하여 방광 일부를 복강 밖으로 노출시킨다. 방광에 찌름절개하고 방광의 절개면과 복벽 절개면을 $360^{\circ}$ 단순 연속 봉합하여 일시적으로 고정시킨다. 2.7 mm 직경의 카메라를 sheath에 연결하여 방광 내부를 탐색하고 지속적인 세척 하에 요로결석을 제거한다. 술 후 주요한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7-21 개월 간의 추적검사 결과 배뇨장애나 어떠한 재발의 증거도 관찰되지 않았다.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흰쥐의 자궁내막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bokchukeo-Tang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ly-induced Endometriosis in Rats)

  • 윤영희;이동녕;서일복;김형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1-161
    • /
    • 2006
  •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bokchukeo- Tang(SCT) on the experimentally-induced endometriosis in rats. Materials and Methods : Endometriosis was induced via the surgical autotransplantation technique in rats. A laparotomy was performed and a $4\;{\times}\;4\;mm$ of the right uterine horn was resected incised and sutured to the peritoneum. And the animals divided into control(n=8) and SCT-treated group(n=8). SCT(1,000 mg/head) was administered orally for 15 days after operation. The weights(body, left uterus, and ovaries) and concentrations of cytokines(MCP-1,$TNF-{\alpha}$, $IL-l{\beta}$) were measured. Histopathology, immunohistochemistry for COX-2, and histochemistry for mast cells of the transplanted uterine tissues were performed. Results : - The $volume(mm^3)$ of transplanted uterine tissues of SCT-treated group$(92.88{\pm}41.89)$ was significantly(p<<0.01)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404.50{\pm}317.68)$. The concentration(pg/ml) of MCP-1 in ascites of SCT-treated group$(5,256{\pm}1,209)$ was significantly(p<<0.001)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8,632{\pm}1,245)$. - The concentration(pg/ml) of $TNF-{\alpha}$ in ascites of SCT-treated group$(521.8{\pm}306.1)$ was significantly(p<<0.01)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1,245.2{\pm}362.2)$. - The percentage of COX-2 positive epithelial layer in transplanted uterine tissues of SCT-treated group$(25.0{\pm}7.3)$ was significantly(p<<0.001)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50.2{\pm}8.2)$. - The number of mast cells in the stroma of transplanted uterine tissues of SCT-treated group$(16.5{\pm}6.8)$ was significantly(p<<0.05)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26.0{\pm}7.7)$. - The number of mast cells in the periphery of transplanted uterine tissues of control group$(71.3{\pm}18.5)$ was significantly(p<<0.01)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109.3{\pm}30.2)$. - Proliferation of epithelia,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microanglogenesis in transplanted uterine tissues of treated group were weakly observed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Sobokchukeo-Tang(SCT)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ransplanted uterine tissue in rats and it is related to the decreased concentration of MCP-1 and $TNF-{\alpha}$, and decreased expression of COX-2, and decreased infiltration of mast cells by administration of Sobokchukeo-Tang.

  • PDF

$Br{\aa}nemark\;Novum^{(R)}$ 즉시 임플랜트 보철 수복 방법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 분석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BR{\AA}NEMARK\;NOVUM^{(R)}$ IMMEDIATE IMPLANT PROSTHODONTIC PROTOCOL)

  • 김우영;김영수;장경수;김창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63-476
    • /
    • 2001
  • Since the treatment of edentulous patients with osseointegrated implant was first introduced more than 30 years ago, implant therapy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ntal treatment modalities today. Based on the previous experience and knowledge, $Br{\aa}nemark\;Novum^{(R)}$ protocol was introduced with the concept of simplifying surgical and prosthetic technique and reducing healing time recently. This protocol recommends the installation of three 5mm wide diameter futures in anterior mandible and the prefabricated titanium bars for superstructure fabric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at fixture and superstructure area according to changes of fixture number, diameter and superstructure materials. Four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fabricated. Model 1 - 5 standard fixtures (13mm long and 3.75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ype IV gold alloy and resin Model 2- 3 wide diameter fixtures (13mm long and 5.0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ype IV gold alloy and resin Model 3-3 wide diameter fixtures (13mm long and 5.0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itanium and resin Model 4-3 wide diameter fixtures (13mm long and 5.0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itanium and porcelain A 150N occlusal force was applied on the 1st molar of each model in 3 directions - vertical($90^{\circ}$), horizontal($0^{\circ}$) and oblique($120^{\circ}$). After analyzing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distribution among experimental models. 2. Model 2, 3, 4 showed less amount of compressive stress than that of model 1. However, tensile stress was similar. 3. Veneer material with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demonstrated less stress accumulation in the superstructure. Within the limites of this study, $Br{\aa}nemark\;Novum^{(R)}$ protocol demonstrated comparable biomechanical properties to conventional protocol.

  • PDF

소아에서 자가치아이식에의한 매복치의 처치 (MANAGEMENT OF IMPACTED TEETH BY AUTOTRANSPLANTATION IN CHILDREN)

  • 류현섭;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4-572
    • /
    • 2000
  • 치아매복에 의한 미맹출시 치아 매복의 방향과 위치 치근단의 완성정도, 맹출공간의 존재여부, 매복치 주변에 과잉치, 치아종, 낭종 등의 존재여부 등에 따라 발치,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자가이식중 어떤 술식을 시행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자가 치아이식은 치아의 위치가 교정력을 가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치아이동이 제한을 받게 되어 통상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에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의 예후는 치근의 완성도, 외과적 시술능력 환자의 나이, 근관치료, 고정기간과 형태, 치주인대의 보존, 저장 방법 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이식 수여부의 골의 결손이 너무 클 경우 치아의 동요도를 감소시키고 골치유를 빠르게 하기위해 골이식을 고려할 수 있다. 치아 미맹출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증례들로 상악과 하악의 여러 부위에서 과잉치, 치아종, 이소맹출 등의 다양한 원인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자가치아이식전 필요시 공간확보를 행하고, 과잉치 및 치아종의 발거로 인해 골결손이 클 때, 탈회냉동건조골과 자가골 이식을 시행하였다. 치아고정은 $2\sim3$주정도 시행하고 $3\sim4$주 후 방사선적 검사와 임상검사후 근과치료의 필요성을 결정하고 정기적인 검사를 시행한 결과 치근흡수소견 등의 비정상적인 소견은 보이지 않고 정상적인 치유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수술후성 기관협착증에 관한 임사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for the postoperative tracheal stenosis)

  • 김기령;홍원표;이정권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9.1-10
    • /
    • 1977
  • 문명의 발달로 나날히 복잡해지는 사회 환경속에서 우리는 생명을 위협하는 수 많은 사고를 당하게 되며, 이럭 경우에 상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관절재술을 많이 시행하게 되는데, 때로는 기관협착등 이에 따른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임상가들에게도 곤란한 문제를 갖어다 주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병증은 수술방법의 개선과 항생제의 출현등으로 그 빈도가 많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1969년 Lindholm은 술후성 기관협착증의 빈도를 1.5%내지 10%라고 했으며, 1969년 Donnelly, Mulder와 Rubush, 그리고 1971년 Andrew와 Pearson 등은 이들 원인의 대부분이 cuff 가 있는 기관삽입관이나, 기관케뉼(tracheal canula)의 부적합한 사용이나, 또는 감염에 의한 압박괴사(pressure necrosis)로 형성된다고 하였고, 협착부위로서 1972년 Bryce는 절개공(stoma)주위가 가장 많으며, 응급기관절개술시에 의사의 부정요법(mal-practice)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주의한 바 있다. 기관협착증의 치료로서 협착이 경미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세심한 관찰을 실시하면서 실리콘관(silicon tube)이나 스텐트(stent)를 사용하거나, 비강을 통한 삽관법(naso tracheal intubation)으로 기계적인 확장을 시도하며 (Schmiegelow, 1929, Montgomery, 1965), 육아조직이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기관경검사하에서 이를 제거한 후에 steroid를 병용하는 편이 좋은데(Birck, 1970) 그밖에도 기관개찰술(Fenestration method, 백·홍 1974)이나 재수술(Revision)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도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협착 부분을 절제한 후에 단단문합술(End-to-End Anasto-mosis)을 시행하는 수도 있다. 저자들은 1967년 10월부터 1977년 3월까지 10연년간 세브란스병원에서 기관절개술을 받았던 1514례를 대상으로 일련의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중에서 기관협착증을 유발한 23례를 치료하였으며, 여기서 몇가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