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margin positiv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Role of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Kwon, Jeanny;Wu, Hong-Gyun;Youn, Yeo-Kyu;Lee, Kyu Eun;Kim, Kwang Hyun;Park, Do J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62-170
    • /
    • 2013
  • Purpose: To analyze the outcome of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in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DTC). Materials and Methods: We identified 84 patients treated with EBRT for WDTC from February 1981 to December 2010. Among them, we analyzed 39 patients who received EBRT after initial radical surgery. Twenty-four females and 15 males were included. The median age was 49 years (range, 16 to 72 years). There were 34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5 follicular thyroid carcinomas. Most patients showed pathologic T3/T4 stage (54%/26%). Ten patients (25.6%) had gross residual tumors. Five patients (12.8%) had tumor cells at the margin. The median EBRT dose and fraction size were 62.6 Gy and 1.8 to 2.0 Gy, re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73 months (range, 21 to 372 months). The five-year overall survival (OS) and 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LRFS) were 97.4% and 86.9%, respectively. Locoregional failures occurred in 5 and all failure sites were the neck node area. In univariate analysis, O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nvasion of the trachea (p = 0.016) or esophagus (p = 0.006). LRF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male (p = 0.020), gross residuum after resection (p = 0.002), close or positive tumor at surgical margin involvement (p = 0.044), and tracheal invasion (p = 0.040).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was identified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No patient experienced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grade 3 or more toxicity. Conclusion: Our locoregional control rate of 87.2% is comparable to historical controls with surgery alone, even though our study had a large proportion of advanced stage. Adjuvant EBRT may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option in patients with WDTC.

진행된 이상와암의 광범위 수직인후두부분절제술 후 요전완 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2예 (Two Cases of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after Wide Vertical Hemipahryngolaryngectomy)

  • 문일준;홍성룡;김시환;안순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1
    • /
    • 2005
  • Wide vertical hemilaryngopharyngectomy with immediate glottic and pharyngeal reconstruction using a radial forearm free flap is reported in 1991 by Chantrain et al. This procedure was designed for the preservation of healthy hemilarynx and resection of pharynx with safe oncological margin in especially piriform sinus cancer or supraglottic cancer invading the hypopharynx. In the original paper, they used palmaris longus tendon for reconstruction of neoglottis. In other groups, they used rib cartilage instead of palmaris longus tendon. In this paper, we report two cases of piriform sinus cancer patients who treated with wide vertical hemilaryngectomy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In one case, the operation was performed as Chantrain et al described. But in another case, the ipsilateral forearm was impossible due to the positive Allen's test. So the contralateral forearm flap and rib cartilage graft was done. This reconstructive technique make large resection possible. As the dissection of thyroid cartilage and lateral displacement makes direct visualization and manipulation of piriform sinus lesions, sufficient resection margin in lateral and inferior pharyngeal wall cab be obtained.

타액선 악성 종양 환자에 대한 치료성적 (Treatment Results in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Malignancy)

  • 송달원;안재현;손진식;김태종;안병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1
    • /
    • 2000
  • Objectives: Primary malignant tumors in the salivary glands are relatively rare. Because of the rarity and the different histopathologic pattern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uniform treatment strategy. The prime treatment of salivary gland malignancy is the surgery, but the role of radiotherapy has been under debate.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conservative surgical procedures may be as successful and perhaps more rational treatment than radical surgery alo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linical pattern, incidence, treatment modality and outcome of the salivary gland maligancy.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2 patients with malignant neoplasm of salivary gland who treated at th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was 77.9% stage I : 100%, stage II : 75%, stage III : 66.7%, stage IV : 55.6%). The 5 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tumor grade was 100% in low grade malignancy, 71.8% in high grade malignancy. The 5 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was as follows: Surgery only group was 83.3%, combined treatment group with surgery and posoperative radiation was 74.6%. Conclusion: The factors affecting prognosis is variable, but the stage at the time of diagnosis, site of lesion, tumor grade, histologic subtype were important factors. Surgery was the prime treatment tool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also imperative in higher stage patient, high grade tumor, or patients with positive surgical margin.

  • PDF

Values of Three Different Preoperative Regimens in Comprehensive Treatment For Young Patients with Stage Ib2 Cervical Cancer

  • Zhao, Yi-Bing;Wang, Jin-Hua;Chen, Xiao-Xiang;Wu, Yu-Zhong;Wu, Q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487-1489
    • /
    • 2012
  •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intracavity brachytherapy in comprehensive treatment for young patients with stage Ib2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twelve young patients with stage Ib2 cervical cancer were enrolled retrospectively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ne 2005.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preoperative regimens, including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Group 1, n=38), the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2, n=49), and the intracavity brachytherapy group (Group 3, n=25). Radical hysterectomy was performed following these regimens.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were given according to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deep cervical stromal invasion, intravascular cancer emboli, histological grading, vaginal stump and positive surgical margin. Results: The cancer disappearance and superficial muscle invasion r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in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P<0.0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deep muscle invasion rate, surgical time and intraoperative blood loss among three groups, but significantly mo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The 2-year pelvic recur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while the 5-year survival was higher. Conclusio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s efficacious for young patients with stage Ib2 cervical cancer.

Application of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with Indocyanine Green in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 Liu, Maoxing;Xing, Jiadi;Xu, Kai;Yuan, Peng;Cui, Ming;Zhang, Chenghai;Yang, Hong;Yao, Zhendan;Zhang, Nan;Tan, Fei;Su, Xiangqia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0권3호
    • /
    • pp.290-299
    • /
    • 2020
  • Purpose: Recently, totally laparoscopic gastrectomy has been gradually accepted by surgeons worldwide for gastric cancer treatment. Complete dissection of the lymph nod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rgical margin ar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curative gastric cancer surgery.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indocyanine green (ICG)-traced laparoscopic gastrectomy significantly improves the completeness of lymph node dissection. However, it remains difficult to identify the tumor location intraoperatively for gastric cancers that are staged ≤T3. Here,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ICG fluorescence for lymph node mapping and tumor localization during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Preoperative and perioperative data from consecutive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ICG (n=61) or the non-ICG (n=75) group based on whether preoperative endoscopic mucosal ICG injection was performed. Results: The ICG group had a shorter operation time and less intraoperative blood loss. Moreover, significantly more lymph nodes were harvested in the ICG group than the non-ICG group. No pathologically positive margin was foun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the proximal or distal surgical margins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s: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with ICG can be successfully used in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and it contributes to both the completeness of D2 lymph node dissection and confirmation of the gastric transection line. Well-designed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fully validate our findings.

지방육종의 예후 인자: 52예 후향적 연구 (Prognostic Factors in Liposarc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52 Patients)

  •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김민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20
    • /
    • 2010
  • 목적: 지방육종의 국소재발과 원격전이 및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이후 치료받은 52명의 지방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시 연령, 종양의 크기, 발생 부위,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 유형, 수술적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 원격 전이 그리고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39개월이었고 통계적 분석에는 단일변수 및 다중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이 11예(21.2%)에서 발생하였으며 원격전이는 4예(8%)에서 발생하였다. 지속적 무병생존율은 술 후 4년에 67%였다. 단일변수 분석에서 조직학적 악성도, 절제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국소재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절제연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가 불량한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p<0.05). 무병생존율에 대한 단일변수 분석에서는 조직학적 악성도 및 항암화학요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다중변수 분석에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결론: 선택오차를 고려할 때 절제연 양성이 국소재발의 불량한 예후인자였으며 종양이 체간에서 발생한 경우 원격 전이율이 높았다. 무병생존율과 관련하여서는 유의한 인자가 없었다.

하인두암 환자에서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Hypopharyngeal Carcinoma)

  • 김원택;기용간;남지호;김동원;이병주;왕수건;권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54-264
    • /
    • 2004
  • 목적: 하인두암의 치료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결과 분석을 통하여 그 임상적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고,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예후인자들을 확인하여 향후 새로운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기본 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부터 1999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원발성 하인두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되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6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근치적 목적의 종양절제술을 시행한 뒤에 통상적인 분할조사법을 이용하여 원발 부위와 경부 림프절 부위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 5년간의 전체 생존율과 질병 관련 생존율은 각각 42.2%42.2%와 51.6%였고, 병기별 5년간 질병 관련 생존율은 Stage I, II, III, IV에서 각각 100%, 80%, 62.5%, 41.5%였다. 예후인자에 대한 단변랑 분석에서 전체 병기, T 병기 및 N 병기, 2차성 원발암 발생 유무, 절제연 침범 여부, 림프절의 외막 침범 여부, 총 방사선량 등이 의미가 있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는 T 병기 및 N 병기, 절제연 침범 여부, 림프절 외막 침범 여부 등이 유의한 예후인자로 판명 되었다. 결론: 절제 가능한 하인두암 환자에서 수술 및 보조적 방사선치료는 후두나 인두의 기능장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생존율이나 국소 제어율 면에서 좋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상당히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에서는 국소제어나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기존의 수술 및 방사선 병합치료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최근 연구되고 있는 화학-방사선 병합요법이나 세기조절 방사선치료 등과의 비교 연구가 예후인자 관련 연구와 동반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 김우철;이돈행;이건영;이미조;김헌정;이석호;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18-124
    • /
    • 2003
  • 목적: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단독군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군의 비교를 통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인하대병원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41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22명의 환자는 수술 단독으로 치료되었고(1군) 19명의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다(2군). 수술은 완전절제가 시행된 경우가 1군에서는 11명(50$\%$)이었고 2군에서는 7명(36.8$\%$)이었다. 나머지 환자는 절제연 양성으로 현미경적 미세 종양이 남아 있었다. 두 군 간에 병기, 수술 방법, 병리 소견 등의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이용하여 45$\~$54 Gy (중앙값: 50.4 Gy)를 원발 종양과 주변 림프절에 조사하였다. 결과: 1군에서는 국소실패한 환자가 12명(54.5$\%$)인 반면 2군에서는 3명(15.8$\%$)으로 수술 단독군에서 국소실패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0.010), 1군에서 국소실패한 12명 중 7명이 절제연 양성군에서 발생하였고 2군에서는 국소실패한 3명 모두가 절제연 양성에서 발생하여 완전절제군보다 절제연 양성군에서 국소실패가 월등히 높았다. 1군과 2군의 3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38.3$\%$, 38.9$\%$이었고 3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18.8$\%$와 26.3$\%$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절제연 양성인 환자에서는 3년 생존율이 24.2$\%$와 36.4$\%$로 방사선치료군에서 좋았고 (p=0.06) 절제연 양성인 환자의 3년 무병생존율은 18.2$\%$와 25.0$\%$로 통계학적으로도 의미 있게 방사선치료군이 좋았다(0=0.04). 결론: 간외 담도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국소 제어율을 높이며, 특히 절제연이 양성인 환자에서는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하선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 정웅기;안성자;남택근;정경애;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51-258
    • /
    • 1998
  • 목적 :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하선 악성종양에서 국소 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이하선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4세부터 72세까지였고 중앙간은 55세였다. 조직학적 유형별 분포는 10명이 점액표피양암종, 7명이 편평상피세포암, 4명이 포상세포암, 4명이 선양성낭종암, 1명이 선암이었다. 수술은 15명이 이하선 전절제술, 7명이 표재성 절제술, 4명이 아전절제술을 받았다. 안면신경이 절제된 경우는 5명 있었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잔존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4명, 절제연 양성이 4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광자선과 전자선속을 사용하였다. 26명 중 11명은 광자선만으로 치료하였고 전자선이 병용된 경우는 15명이었으며 전자선량은 900 cGy부터 3800 cGy (중앙값: 1760 cGy)까지였다. 이하선종양 부위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00 cGy부터 7560 cGy (중앙값 : 6020 cGy)까지였다. 대상 환자들의 최소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국소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단변량분석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재발은 25명 중 5명 (19$\%$)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종양제어율은 5년에 77$\%$였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였다. 성별, 연령 (>60세), 종양크기 (>4 cm), 수술소견상 경부림프절 침범과 신경 침범, 절제연 침범 여부 및 총방사선량 (>60 Gy)의 요인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 (p=0.002), 절제연 침범 여부(p=0.011)에 따라 국소종양제어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같은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 크기 (p=0.022)만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예후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서 종양 크기만이 의의가 있었으나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초기 자궁경부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효과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Early Cervical Cancer)

  • 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164-170
    • /
    • 2006
  • 목 적: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6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133예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병기는 IB 113예, IIA 20예였고, 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세포암 118예, 선암 15예였다. 자궁경부 기질 내 침범 10 mm 초과 67예, 10 mm 이하 45예였다. 골반 림프절 양성 39예, 림프혈관강 침범 24예, 수술 절제연 양성 8예가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를 $45{\sim}50.4\;Gy$의 외부방사선으로 치료하였으며, 수술 절제연이 양성이거나 불충분한 경우에는 $15{\sim}39\;Gy$의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추적기간의 중간값은 48개월 이었다. 결 과: 대상 환자 전체의 5년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88% 및 84%였다. 자궁경부 기질 내 침범 10 mm 초과한 환자에서는 5년 무병생존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골반 림프절 양성인 환자에서도 5년 무병생존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조직학적 분류, 림프혈관강 침범, 수술 절제연 양성은 5년 무병생존율의 감소와 무관하였다. 수술의 방법, 항암제 추가 또한 5년 무병생존율의 감소와 무관하였다. 재발의 양상은 골반 내 재발 4예, 원격전이 11예, 골반 및 원격전이 1예 등으로 관찰되었다.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수술을 요한 소장폐색 2예, 내과적 치료를 요한 혈뇨 2예가 관찰되었다. 결 론: 고위험인자를 가진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국소제어에 도움이 되지만, 원격전이를 막을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전체 5년 생존율과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51.5%와 58.7%였다. N 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N0, N1, N2에서 각각 100%, 53.7%, 0%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100%, 47.6%, 41.2%였다(p=0.009). 종양의 위치에 따른 무재발 생존율은 상부, 중간부, 하부에서 각각 55.0%, 78.5%, 31.2%였다(p=0.006). 다변량 분석에서 5년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는 N 병기였고(p=0.012), 무재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N 병기와(p=0.001) 종양의 위치였다(p=0.006). 수술을 요하는 장 관련 후유증은 3명(6.5%)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직장암의 치료에서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화학방사선요법은 국소영역제어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었으나 원격제어에 대한 효과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향후 생존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실패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만주의로 표면화된 하나의 일본근대 유화의 형식 그대로가 한국아카데미즘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1922년에 시작된 선전은 심사위원 대부분이 동경미술학교 교수이면서 구로다의 제자이거나 동료였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초기유학생들이 남긴 작품들은 완전한 인상파에 대한 지식이나 깊은 자아의식을 가지고 제작된 것은 아니라,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었던 것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그림은 구로다의 외광파라고 부르는 것들의 영향보다는, 인상파를 보고 배웠던 동경미술학교 교수들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은 그대로 한국 근대미술의 아카데미즘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