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rascapular nerve pals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견관절 수술 시 국소신경 차단술을 이용한 통증 관리 -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 - (Perioperative Pain Management Using Regional Nerve Blockades in Shoulder Surgery: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

  • 오주한;이예현;박해봉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5
    • /
    • 2014
  • 견관절 수술을 위한 마취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국소 신경 차단술에는 사각근간 신경 차단술, 상견갑 신경 차단술, 5번 경추 신경근 차단술 및 액와 신경 차단술 등이 있을 수 있다. 국소 신경 차단술은 통증 조절 효과는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횡격 신경 마비, 기흉, 신경 손상 등의 부작용이 다수 보고되며 그 실패율도 상당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이와 관련된 해부학적 기초와 초음파를 이용한 국소 신경 차단 술기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극관절와 결절성 낭포의 관절경적 감압술 및 상부관절와순 봉합술 후 잔존 낭포의 경과 - 증례 보고 - (The Follow Up Results of Residual Spinoglenoid Ganglion Cyst after Arthroscopic Decompression and Superior Labral Repair - Cases Report -)

  • 성창민;이상혁;박형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11-116
    • /
    • 2010
  • 서론: 견갑상 신경 마비를 유발하는 극관절와 결절성 낭포에 대하여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술 후 잔존하는 낭포의 경과에 대한 보고는 미미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견갑상 신경 마비를 동반한 극관절와 결절성 낭포에 대해 관절경적 감압술 및 상부 관절와순 봉합술 시행 후, 평균 15 (12~23)개월 추시 가능하였던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초음파 및 자기공명 영상으로 극관절와 결정성 낭포의 잔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시행한 초음파 검사상 5예에서 결절성 낭포가 잔존하고 있었으며, 1예의 경우완전 소실되었다. 술 후 3개월에 시행한 초음파 검사상 모든 예에서 잔여 낭포가 소실 되었고, 술후 1년에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도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극관절와 결절성 낭포의 관절경적 감압술 및 상부관절와순 봉합술 후 잔존하는 낭포는 3개월 이내 자연 흡수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Isolated Ruptures of the Infraspinatu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 Lee, Kwang Yeol;Kim, Sae Hoon;Oh, Joo 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1호
    • /
    • pp.30-36
    • /
    • 2017
  • Background: Isolated infraspinatus tear is very rare and clinical features are not as well 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isolated infraspinatus tear that authors experienced. Methods: Authors reviewed 288 cases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involving infraspinatus between 2010 and 2015, and retrospectively analyzed six cases of isolated infraspinatus tear. Perioperative clinical characteristics,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of 6 months were investigated. Functional evaluation included visual analogue scale (VAS), range of motion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Constant score. Results: Calcific tendinitis was accompanied in 4 cases (66.7%). Three of them received steroid injection or aspiration or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Mean preoperative pain VAS was 7.1 (range, 5-9), and mean postoperative pain VAS at 6 months later was 1.6 (range, 0-5). Preoperative muscle strength by isokinetic muscle performance test showed 52% deficit of abduction and 37.6% deficit of external rotation. All 6 patients had arthroscopic repair of the infraspinatus tendon. All the patients at the 6 months follow-up exhibited clinical improvement in the Constant score (67.8 [range, 45-77] to 89.3 [range, 81-100], p=0.029), and ASES score (52.3 [range, 30-77] to 90.0 [range, 80-100], p=0.002). There was no healing failure on imaging. Conclusions: Isolated infraspinatus tendon tear was frequently accompanied by calcific tendinitis, but pathophysiologic relationship should need more study. To rule out neurogenic etiolog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electromyography would be helpful. Arthroscopic infraspinatus tendon repair and supraspinatus debridement showed relatively good result in painful shou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