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초

Risk indicators for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results from a practice-based cross-sectional study

  • Rinke, Sven;Nordlohne, Marc;Leha, Andreas;Renvert, Stefan;Schmalz, Gerhard;Ziebolz, Dir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3호
    • /
    • pp.183-196
    • /
    • 2020
  • Purpose: This practice-based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common risk indicators for peri-implant diseases were associated with peri-implan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in patients undergoing supportive implant therapy (SIT) at least 5 years after implant restoration. Methods: Patients exclusively restored with a single implant type were included. Probing pocket depth (PPD), bleeding on probing (BOP), suppuration, and radiographic bone loss (RBL) were assessed around implants. The case definitions were as follows: peri-implant mucositis: PPD ≥4 mm, BOP, no RBL; and peri-implantitis: PPD ≥5 mm, BOP, RBL ≥3.5 mm. Possible risk indicator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mucositis and peri-implantitis using the Fisher exact test and the Wilcoxon rank-sum test, as well a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variables showing significance (P<0.05). Results: Eighty-four patients with 169 implants (observational period: 5.8±0.86 years) were included. A patient-based prevalence of 52% for peri-implant mucositis and 18% for peri-implantitis was detected. The presence of 3 or more implants (odds ratio [OR], 4.43; 95 confidence interval [CI], 1.36-15.05; P=0.0136)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mucositis. Smo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peri-implantitis (OR, 5.89; 95% CI, 1.27-24.58; P=0.0231), while the presence of keratinized mucosa around implant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for peri-implantitis (OR, 0.05; 95% CI, 0.01-0.25; P<0.001). Conclusions: The number of implants should be considered in strategies to prevent mucositis. Furthermore, smoking and the absence of keratinized mucosa were the strongest risk indicators for peri-implantitis in patients undergoing SIT in the present study.

7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의 변연골 흡수와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rate and the marginal bone loss of dental implant over 7-years loading)

  • 최정혁;고재권;권은영;주지영;이주연;김현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116-126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7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평균 변연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92명의 환자에서 178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임플란트 관련 요인(임플란트 직경, 임플란트 길이, 상부 보철물 고정 유무), 환자 관련 요인(성별, 흡연, 치태지수, 유지 치주치료 순응도) 및 수술 관련 요인(술자 숙련도, 골재생술 시행 유무)을 조사하였다. 구내 표준 방사선 촬영 이 후 각 임플란트의 근심 및 원심 변연골 수준은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4.94%였고, 평균 변연골 흡수는 $0.89{\pm}1.05mm$였다. 임플란트 길이와 치태지수는 임플란트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흡연과 골재생술 시행 유무는 변연골 흡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 본 연구에서 7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는 양호한 생존율과 변연골 수준을 보였다.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길이, 치태조절에 유의하며 변연골 수준의 유지를 위해서는 골재생술의 신중한 적용, 흡연의 조절이 필요하다.

임플란트의 생존과 변연골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and marginal bone loss of dental implants: a 5-year retrospective study)

  • 송을락;이재관;엄흥식;박세환;장범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280-292
    • /
    • 2016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주위 변연골 수준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여, 술자의 임상적 경험을 포함한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치주과에서 전공의가 2단계법으로 식립한 임플란트 중 5년 이상의 기록이 있는 146명의 420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탈락여부, 주위 골 소실량, 성별, 연령, 2형 당뇨, 흡연, 지대주 연결 형식, 표면 처리 방법, 직경, 식립 부위, 식립 당시 전공의 연차, 덮개 나사의 조기 노출, 보철학적 합병증, 동반된 골 이식 술식 등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보철물 장착 후 5년간 누적생존율은 94.9% 이었다. 이원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흡연과 덮개 나사의 조기 노출이 실패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흡연, 임플란트 지대주 연결 형식, 및 표면 처리 방법이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 수준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술자의 임상경험을 반영하기 위한 식립 당시의 전공의 수련 연차는 임플란트의 실패와 유의한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P = 0.171). 결론: 흡연, 덮개 나사의 조기 노출, 지대주 연결 형식 및 표면 처리 방법이 임플란트의 성공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SLA surface를 가진 taper straight designed implant의 방사선학적 평가와 생존율: 1년 추적 관찰을 통한 후향적 연구 (Radiologic evaluation and survival rate of taper-straight designed implant with SLA surface: A 1-year follow-up retrospective study)

  • 김지은;김예슬;김옥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05-414
    • /
    • 2021
  • 목적: 이번 연구는 최근 시판되고 있는 국내산 taper straight 타입의 SLA surface를 가진 임플란트의 변연골 흡수도와 생존율을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2016년 8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KISPLANT®가 식립된 성인남녀 83명의 125개의 임플란트 중 포함 기준을 충족시키는 19명의 40개의 임플란트를 1년 동안의 관찰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과 1년 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변연골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생존율과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또한 치주염 심도, SPT, 식립 부위, 치아 발거 이유, 즉시 식립 여부, 전신질환에 따라 변연골 흡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test를 수행하였다. 결과: 근심측 변연골 흡수도는 0.74 ± 1.07 mm, 원심측 변연골 흡수도는 0.53 ± 1.04 mm로 나타났다. 1년 동안 40개의 임플란트 중 3개의 임플란트에서 2 mm 이상의 변연골 흡수가 일어나 임플란트 성공률은 92.5%이고 생존율은 100%이었다. t-test를 수행한 결과 근심측 변연골 흡수도와 식립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변연골 흡수도와 성공률, 생존율을 평가해 본 결과 임플란트 식립 1년 후 높은 생존율과 성공률을 보였고 낮은 변연골 흡수도를 보여 taper straight 타입의 SLA surface를 가진 임플란트는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