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The Contribution for Industry of Renewable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 이유아;김진수;허은녕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4-269
    • /
    • 2009
  • 신재생에너지기술 개발인력 확보는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 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Analyzing the Industrial Contribu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in Renewable Energy Sector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 이유아;김진수;허은녕
    • 신재생에너지
    • /
    • 제5권4호
    • /
    • pp.68-73
    • /
    • 2009
  • 국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친환경적이고 지속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인력양성은 시급하고도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 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 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가뭄시 용수공급지장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s of Water Supply Constraints During a Drought Using input-output Analysis)

  • 최장환;허은녕;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647-65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공급측면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사용하여 물공급지장이 끼치는 산업의 전방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분석된 공급지장비용은 수도사업의 신뢰도 결정에 사용될수 있으며 물의 공급부족이 발생할 경우 물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정책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수도부문이 차지하는 국민경제적 위치를 확인하고 공급지장으로 인한 산업간 직·간접 피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뭄시 중요한 공급우선 순위 결정을 위한 공급지장지수를 제안하였다. 한편 가뭄의 발생은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지역수준의 공급지장비용이 과대 도는 과소평가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경남지역산업연관표를 통해 산정한 공급지장비용을 전국산업관표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공급사슬관리 관점에서의 전략적 항만성과측정 (The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of Sea Port: Supply Chain Management Perspectives)

  • 박명섭
    • 무역상무연구
    • /
    • 제38권
    • /
    • pp.229-262
    • /
    • 2008
  • With the introdu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concept, the nature of a firm is fundamentally changed. Control is no longer based on direct control of the business processes, but rather based on integration across member organizations in the supply chain. Firms are trying to achieve a competitive edge by managing their supply chain performance to gain advantages in cost and service differentiation. The supply chain elements of a sea port involves ILSP (Inbound Logistics Service Provider) at the input side and OLSP (Outbound Logistics Service Provider) at the output side. The goal of sea port is to satisfy the needs of different parties, both upstream and downstream, in the chain with greater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an it's competitor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conceptualization of the SCP (Supply Chain Performance) in the sea port from literature review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o tackle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paper deals with conceptualizing SCP in sea port using the SCOR (Supply Chain Operation Reference) model. It incorporates both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spects of performance measurement. And it also recognizes customer related reasons for measuring performance.

  • PD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nd Expansion of Irrigated Agriculture in Georgia, U.S.

  • Park, ChangKeu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1호
    • /
    • pp.68-89
    • /
    • 2021
  • The expansion of irrigated agricultural production can be appropriate for the southeast region in the U.S. as a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pplemental development of irrigated agriculture on the regional economy by applying the supply side Georgia multiregional input-output (MRIO) model. For the analysis, 100% conversion of non-irrigated cultivable acreage into irrigated acreage for cotton, peanuts, corn, and soybeans in 42 counties of southwest Georgia is assumed. With this assumption, the difference in total net returns of production between the non-irrigation and irrigation method is calculated as input data of the Georgia MRIO mod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a 95% confidence interval for each crop's average price, the lower and upper bounds of estimated results are also presented. The total impact of cotton production was $60 million with the range of $35 million to $85 million: The total impact of peanuts, soybeans, corn was $10.2 million (the range of $3.28 million to $23.7 million), $6.6 million (the range of $3.1 million to $10.2 million), $1.2 million (the range of -$6 million to $8.5 million), respectively.

접속불변에너지산업연관표 00-05-08을 이용한 산업별 에너지소비 변화량의 구조분해분석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for Energy Consumption of Industrial Sector with Linked Energy Input-Output Table 00-05-08)

  • 김윤경;장운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255-289
    • /
    • 2011
  • 본 논문은 2000년, 2005년, 2008년의 3개년을 대상으로 접속불변에너지산업연관표(76개의 산업분류)를 작성하여 집계통계와 함께 산업별 미시적 통계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업별로 에너지소비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부가가치 총액 변화, 부가가치비중 변화, 산출구조 변화, 에너지원단위 변화의 4가지 요인을 고려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우리나라가 수출주도형의 산업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급측 모형을 이용한 구조분해분석을 적용하였다. 집계통계를 이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기에 상관없이 부가가치 총액 변화는 에너지소비량을 증가시켰지만, 산출구조 변화는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감소시켰다. 부가가치비중 변화와 에너지원단위 변화에서는 시기별로 에너지소비 변화량의 증감이 반대로 도출되었다. 산업별 통계를 이용한 결과에 따르면 부가가치비중 변화는 시점과 상관없이 전자기기에서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증가시키고, 석유제품, 시멘트, 석탄제품에서 에너지소비량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에너지원단위 변화는 석유제품, 화력, 사업서비스, 금융 및 보험, 보관 및 운수관련서비스에서의 에너지원단위 변화가 에너지소비 변화량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처럼 집계통계를 이용하면 각 산업에서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정부가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할 때에 집계통계만을 기준으로 하면 효율적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