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jo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7초

순조(純祖)-순종실록(純宗實錄)에 나타난 포백척(布帛尺)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Pobeckchuck in the History from the Sunjo to the Sunjong Dynasty)

  • 이은경
    • 복식
    • /
    • 제58권3호
    • /
    • pp.116-122
    • /
    • 2008
  • This study aims at defining the meaning of Pobeckchuck in the historical view-point, which appeared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regarding the periods from the ruling period of Sunjo to that of Sunjong as the latter part of history. Pobeckchuck used in King Sejong was red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ment in the Kyeonggukdadejeon(code), in which time one Pobeckchuck was 46.80cm long. It is known that Juchuck, Hwangjongchuck, Youngjochuck, Joraegichuck etc. which had been used in the ruling period of Sejong Dynasty, were used till the period of Youngjo. Also, the document shows that in the 12th ruling period of Sunjo, Pobeckchuck was used for measurement, and in the 20th ruling period of Sunjo, newly-made ruler was on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fields, but no more details about how long it was. But according to the document complied at that time, one Pobeckchuck was 46.80cm long, which fact reveals that the same measurement was used as in the ruling period of Sunjo. When all the measurement laws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3rd year of Junghee, the 6th year of Kwangmu were abolished, Pobeckchuck was solely banned from its use, which fact offers a glimpse of how confusing at that period was. The comparison and examination among many documen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show the differences within about 4cm that one Pobeckchuck ranged from 44.80cm to 48.80cm long. But no other document on measurement appeared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except for the 46.80cm. Thus, the 46.80cm corrected in the ruling period of Sunjo proves that one chuck in Pobeckchuck adopted by the dynasty was used as the measurement of length till the ruling period of Sunjong.

조선시대(朝鮮時代) 순종(純宗)의 질병(疾病)에 관한 고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isease of King Sunjong in the Joseon Dynasty)

  • 김훈;이해웅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60
    • /
    • 2013
  • King Sunjong was the 27th King and the last King in the Joseon Dynasty. He lived an unhappy life as the prince and the King of perishing country. At the age of 22, He witness the death of his mother Queen Myeongseong by Japanese assassin. He has a weak constitution and have many diseases. He get varicella(水痘) in infancy, and suffered from smallpox(紅疫) at 6, and catched the measles(天然痘) at 12. At the age of 25, Having drunk the coffee that contained opium(阿片), he had bloody excrement(血便) and lose the 18 teeth. The Symptoms that appeared frequently at adult age are indigestion(滯症), diarrhea(泄瀉), trophedema(足部浮腫), odontopathy(齒科疾患) etc. This indigestion(滯症) and diarrhea(泄瀉) are occurred by gastroenteropathy(胃腸病). This odontopathy(齒科疾患) is the aftereffect from having 18 false teeth. We assume that this trophedema(足部浮腫) is occurred by cardiac disease(心臟病) and renal disease(腎臟病). The chronic diseases of King Sunjong are gastroenteropathy(胃腸病), renal disease(腎臟病), cardiac disease(心臟病), rheumatism. We assume that the immediate cause of his death is the aggravation of the renal disease(腎臟病) and cardiac disease(心臟病). The medical treatments for him are hardly included in "Form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which is the prime governmental document. Many royal doctors in court use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ut western doctors from Japan often treated him by medical techniques such as injection(注射), consperg(散藥), liquid medicine(水藥).

Single-molecul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uantitative imaging of single RNA molecules

  • Kwon, Sunjong
    • BMB Reports
    • /
    • 제46권2호
    • /
    • pp.65-72
    • /
    • 2013
  • In situ detection of RNA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within and between intact cells in tissues. International genomics efforts are now cataloging patterns of RNA transcription that play roles in cell function, differentiation, and disease formation, and they are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coding and noncoding RNA transcripts in these processes. However, these techniques typically provide ensemble averages of transcription across many cells. In situ hybridization-based analysis methods complement these studie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how expression levels change between cells within normal and diseased tissues, and the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ocalization of transcripts within cells, which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mechanisms of gene regulation. Multi-color, single-molecul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smFISH) is particularly useful since it enables analysis of several different transcripts simultaneously. Combining smFISH with immunofluorescent protein detection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transcription level, cellular localization, and protein expression in individual cells.

대한제국 황궁의 조성과 한성부 도시구조의 재편 (Construction of Imperial Palace and Reorganization of Urban Structure in Seoul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1897-1910))

  • 이규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41-56
    • /
    • 2020
  •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modern transition process of the urban space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change of the Imperial Palace as a central facility in Seoul. The road renovation of Seoul, which started in 1895, has established a modern, circular transportation system centered on Gyeongun-gung Palace, the Imperial Palace along with the tram line. In this urban structure, the imperial palace as a central facility of the former monarchy, unlike the previous palaces, could not be located at the top of a road with a longitudinal axis, and it expanded its territory around foreign legionaries and placed a new government office around the perimeter. However, the royal palace was moved to Changdeokgung Palace in 1907 with the throne of Sunjong. With the creation of Changdeokgung, which is the periphery of Seoul, as new royal palace, the status of the imperial palace in the city was remarkably weakened, and Gyeongun-gung, located in the center of Seoul, was also reduced to the current Deoksugung area, turning into an urban facility facing a modern street.

조선시대 금화시책(禁火施策)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금화정책,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gression of Fire Control Policies in Joseon Dynasty - Regal & Administrative System, Planning Tools, Works and Facilities -)

  • 김상희;이경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24
    • /
    • 2013
  • 도시 전체가 화재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시대 화재는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계획수법, 기술과 시설들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화재와 관련한 정책, 계획, 건축, 구조물 시설물 등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 금화시책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의 금화시책은 그 목적에 따라 화재예방을 위한 비보풍습(裨補風習)과 비화(備火)시책,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경계(境界)시책, 화재를 끄기 위한 멸화(滅火)시책, 구화(救火)시책 등으로 구분된다.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금화시책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태종대로부터 문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행정 및 사법체제 정비, 금화행정, 금화계획, 금화사업, 금화기구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금화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제2단계는 기와를 공급하는 관아가 소멸되는 단종대부터 현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부분적인 금화사업을 중심으로 금화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제3단계는 숙종대부터 순종대에 이르는 시기로 금화사업보다는 금화기구 개발을 중심으로 금화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 남산공원의 식생변화 (Vegetational Changes of Mt. Nam Park, Seoul)

  • 임양재;양금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589-602
    • /
    • 1998
  • Mt. Nam (265m), a city park of Seoul, was originally covered with a typic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Central Korea. However, the park forests have been changed the development for various purpos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castle wall, road way, broadcasting station, theater, hotel and apartments, in addition, to thoughtless plantation or alien plant introduction. Human population growth from ca. 100 thousands persons less in that time established Seoul as the capital of choseon dynasty in 1394 to ten millions over persons at present, accelerated the vegetational changes of the park. mt. Nam boundary in those days of sunjong (1908) also was much shrinked as much the range of 300 m distance in the northern most to 700 or 800m distance in some places. The actual vegetation of Mt. Nam largely can be classified by floristic composition into two plant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four plantations of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other tree species, and on mixed forest with native and alien tree species in secondary succession stage (Yim et al. 1987). The restoration movement of Mt. Nam toward to the natural condition of forest or biodiversity is moving now. However, in the movemen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ecological consideration and the undesirable decision of priority in the practice. A warning should be given, especially, on the undesirable plantation of non-native tree species restricting the forest succession, as in the case of southern slope of Mt. Nam.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ce in Mt. Nam management is that the restoration for natural forest and biodiversity should be carried on the basis of integrated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the site evaluation.

  • PDF

김택영(金澤榮)의 1909년 귀국(歸國)과 안중식(安中植) 필(筆) <벽수거사정도(碧樹居士亭圖)> (Kim Taek-yeong's Return to Korea in 1909 and Scholar Byeoksu in a Pavilion by An Jung-sik)

  • 강민경
    • 미술자료
    • /
    • 제99권
    • /
    • pp.30-49
    • /
    • 2021
  • 심전 안중식(1861~1919)이 그리고 창강 김택영(1850~1927)이 제시(題詩)와 기문(記文)을 지었으며 석운 권동수(1842~?)가 글씨를 쓴 <벽수거사정도>는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대한제국의 미술: 빛의 길을 꿈꾸다"에서 처음 세상에 공개되었다. 이 작품은 안중식의 드문 실경산수이며, 20세기 초 서울 상류주택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그러나 또한 이 작품이 당시 지식인의 교유 관계를 단적으로 드러낸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벽수거사정도>를 그리게 한 벽수 윤덕영(1873~1940)은 순종비 순정효황후 윤씨(1894~1966)의 백부이자 훗날 국권피탈에 일조한 인물이었다. 순종이 윤덕영에게 "벽수거사정"이란 현판을 하사하자, 그 기념으로 윤덕영이 만든 작품이 바로 <벽수거사정도>이다. 한말(韓末) 한문학의 대가로 꼽히는 김택영은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기 1달 전 가족을 이끌고 청의 강소성(江蘇省) 남통(南通)으로 망명을 떠났었는데, 1909년 다시 한국에 돌아왔다. 그의 귀국에는 이재완(1855~1922)과 윤덕영 등이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 김택영은 역사서 편찬을 위한 자료수집의 목적을 품고 귀국하였지만, 그와는 별도로 평소 알던 사람들, 새롭게 알게 된 이들과 끊임없이 만나며 교유하였다. 그 범위는 서울을 넘어 지방에 살던 인물, 나아가 일본인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었다. 이는 당시 시문을 매개로 교유하던 지식인들의 관계망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그들의 정치적 성향이나 신분, 국적과는 별개로 작동하고 있었다. <벽수거사정도>는 그러한 19세기 말~20세기 초 지식인 사이에서 일어났던 지적 교류의 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정암사 수마노탑 탑지석(塔誌石) 연구 (A Study on the Memorial stone of the Sumanotap in Jeongamsa Temple)

  • 손신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116-133
    • /
    • 2014
  • 수마노탑 탑지석은 1석부터 5석까지 차례로 1719년, 1773년, 1874년, 1653년, 1874년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연호(年號)와 간지(干支)를 분석해본 결과, 제2석과 제4석 모두 1713년의 기록임을 알게 되었다. 동시기의 기록이 둘로 나눠진 것은, 중수대상을 탑신과 찰간으로 나누어 각기 소임을 맡은 이와 시주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수마노탑 탑지석 5매에는 모두 중수불사의 역할을 맡은 승려들의 이름은 물론이고 일반인 시주자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중 법호법명(法號法名)으로 기록된 제3석의 승려들 이름을 19세기 후반 불사 기록과 비교하여 12명의 동명(同名)을 파악하였다. 이들 대부분이 수마노탑 중수불사 전후로 강원도 서울 경상북도 사불산 일대와 경남 해인사 등지에서 활약했다는 사실은, 당대 불사의 경향과 수마노탑의 위상을 시사하고 있다. 1874년 탑 내에 봉안된 금은합 시주자인 김좌근은 청신녀양씨와 함께 기록되어, 수마노탑 시주자 중 유일하게 알려진 인물이다. 그러나 실재는 그의 애첩, 나합이라 불리던 나주 출신 기생 양씨가 그의 사망 이후 시주한 것이다. 영의정을 지낸 김좌근의 애첩이던 양씨가 왕과 왕비 왕대비 대비 부대부인 등이 대거 참여한 불사에 개인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더구나 1874년 수마노탑중수는 원자 즉 순종의 탄생 '백일'을 기념하기 위해 왕실에서 사적(私的)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할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탑지석에 기록된 10여 곳의 사찰 중 빈번히 등장하는 곳은 경북 봉화의 각화사와 강원도 영월 보덕사이다. 각화사는 사고사찰(史庫寺刹)로서 조정의 관리대상이었고, 보덕사는 단종 능의 원찰로서 왕실에서 돌보는 곳이었다. 따라서 이 두 사찰이 수마노탑 중수 불사에 참여했다는 기록은 이 두 사찰의 조력으로 수마노탑이 중수되었다는 점과 당시 수마노탑의 위상이 사고사찰이나 능침수호사찰 못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교통사고 환자의 MMPI 및 통증, 영상평가에 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n Pain Index, Radiological Evaluation and MMPI of Traffic Accident Patient)

  • 김성태;송민영;김대훈;이은지;권민구;설재욱;김선종;배길준;최진봉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5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MMPI (Minnesota Multiphashic Personality Inventory), VAS (Visual Analogue Scale), cervical and lumbar curvature (Cervical angle, Ishihara Index, Lumbar angle, Ferguson angle) and satisfaction score of patient of traffic accident. About 59 case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MMPI and pain levels (VAS) cervical and lumbar curvature (Cervical angle, Ishihara Index, lumbar angle, Ferguson angle) and satisfaction score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epending on the type of accident divided into two groups of In car TA and Out car TA. After hospitalization, patient's pain index was improved as a whole. Pain index and evaluation of the cervical and lumbar curvature, according to the accident typ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the MMPI validity scales, In car TA group was analyzed by 'V-shaped', Out car TA group was analyzed by umbrella- shaped, 'inverted V-shaped'. Clinical scales of out car TA group were analyzed by 3-1 profile compared to the In car TA group.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factors and MMPI scales. 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patients, damage to the body, as well a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thought to affect the condition or prognosis of patients. In the future, for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these parts will be needed to complement the academic or institutional.

이끼필터를 이용한 안개 포집/제거 시스템 (Fog Collection/Removal System Using a Moss Filter)

  • 오선종;박민용;김완두;임현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7호
    • /
    • pp.449-455
    • /
    • 2016
  • 안개는 교통시스템에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대기오염물질과 결합하여 건강에 문제를 일으킨다. 안개 제거 시스템은 개발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발생한 안개를 모니터링 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공급과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안개제거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끼필터(이끼를 결합한 폴리올레핀 그물망)를 응용하는 안개 제거 방법을 제시하였다. 서로 다른 표면구조를 가지는 3가지 이끼의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고 이끼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장 작은 기공의 직경과 가장 큰 총 기공의 내부 표면적을 가지는 공작이끼가 높은 수분 흡수율을 가짐을 확인 후, 공작이끼로 안개 제거 필터를 만들어 안개제거 포집/제거에 사용되는 기존의 폴리올레핀 그물망과 성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이끼필터를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은 에너지 없이 지속적으로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