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spawning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서해산 병어, Pampus argenteus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Silver Pomfret Pampus argenteu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배주승;강희웅;이황복;이기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2호
    • /
    • pp.169-181
    • /
    • 2008
  •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서해안 무안군 자운도 주변해역에서 안강망으로 채집한 병어, Pampus argenteus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조사 및 형태 측정에 의해 번식 생태를 조사하였다. 병어는 자웅이체이며, 난소는 한 쌍의 낭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소는 엽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정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 수 개체들의 생식소중량지수(GSI), 간중량지수(HSI), 비만도지수(CF) 값들의 월별 변화는 2월(초기 성장기)부터 8월 (회복기 시작)까지는 생식소 발달단계와 아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변하였다. 이들 지수값의 변화로부터 암컷과 수컷 개체들의 방란, 방정은 5월부터 7월까지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병어의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성장기(2$\sim$3월), 후기성장기(3$\sim$4월), 성숙기(3$\sim$7월), 완숙 및 산란기(5$\sim$7월), 회복 및 휴지기(7$\sim$2월)로 구분되었다. 수컷의 경우는 성장기(2$\sim$4월), 성숙기(3$\sim$6월), 완숙 및 방정기(5$\sim$7월), 회복 및 휴지기 (7$\sim$2월)로 구분되었다. 월별 난경 조성 빈도 분포 변화로 보아 병어의 산란빈도수는 한 산란기 중 한 개체가 적어도 2회 또는 그 이상 산란하는 다회 산란종으로 추정되는 춘하계 산란종이다. 체장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체장이 커짐에 따라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포란수(cm 당)의 총 난수도 체장이 커짐에 따라 상대포란수(cm 당)의 총 난수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체중당 상대포란수(g 당)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나, 일정 체중 이상으로 커지면, 오히려 체중 증가에 따라 상대포란수의 총 난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군성숙도 50%에 해당하는 체장은 12.1$\sim$15.0 cm(만 1세 이상에 해당)이었고, 군성숙도 100%에 해당되는 체장은 18.1$\sim$21.0 cm(만 3세에 해당)이었다. 따라서 병어는 만 1세 이상이 되면 전체 개체의 50%가 성숙에 도달하여 재생산(산란)에 가담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산 고령홍어의 성성숙 (Sexual Maturity of Raja koreana (Elasmobranchii, Rajoidei) from Korea)

  • 김진구;심두생;정수동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9-235
    • /
    • 2005
  • 2002년 9월부터 2003년 12월 동안 한국 남서부해역에서 어획된 고려홍어 (Raja koreana) 89마리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식소 발달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컷의 교미기는 전장 35cm에서 52.5 cm 사이에서 느리게 성장하다가 59.5 cm부터 71 cm 사이에서 갑자기 빨라졌고 이후 다시 감소하는 시그모이드 성장패턴을 보여 주었다. 다른 홍어류 및 상어류와 달리 고려홍어 수컷은 교미기가 길어지기 전에 조직학적으로 이미 성숙한 상태였다. 비록 고려홍어 암컷에서 난각이 5월과 11월에만 발견되었지만 조직학적으로 암컷은 여름을 제외한 연중 방란이 가능하고 수컷은 연중 방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Seasonal Variation in the Abundance of the Demersal Copepod Pseudodiaptomus sp. (Calanoida, Pseudodiaptomidae)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Southern Korea

  • Park Eun Ok;Suh Hae-Lip;Soh Ho You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67-373
    • /
    • 2005
  • We conducted a year-long survey in 2000 to examine seasonal fluctuations in the abundance of the demersal copepod Pseudodiaptomus sp., the dominant copepo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here the spring tide strongly affects changes in salinity gradients. Pseudodiaptomus sp. was found throughout the year in the entire range of salinities measured, but most individuals appeared at oligohaline conditions below 5.0 psu, and less than $2\%$ were observed in polyhaline conditions above 18.0 psu. The peak abundance occurred during autumn in oligohaline waters, and the density was relatively low during the rainy season in summer. In spring and autumn, copepodites were most abundant in oligohaline waters, although they were also fairly abundant in mesohaline conditions $(5\~18\;psu)$. Females with egg sacs appeared in oligo- and mesohaline waters during spring and autumn but were seldom found in polyhaline conditions throughout the year. Our results indicate that, despite the strong physical influence of the tide, Pseudodiaptomus sp. can manipulate its position to remain at its preferred salinity. We also found that spawning mainly occurred in oligohaline waters twice a year.

쏠종개 Plotosus lineatus (Thunberg)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Striped Eel Catfish Plotosus lineatus (Thunberg))

  • 허성일;유용운;노섬;이치훈;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1-146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triped eel catfish Plotosus lineatus. Specimens were sampled in the coastal waters of Sungsan and Jocheon, east of Jeju, Korea, from September 2001 to August 2002.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n females and males were reached a maximum in June $(14.18{\pm}10.38)$ and July $(0.35{\pm}0.12)$, respectively.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GSI variation, the reproductive cycle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uccessive stages: in females, growing (September-April), mature (April-June), spawning (June-July), and degenerative and recovery (July-September) and in males, growing (August-December), mature (September-May), spent (April-July), and degenerative and recovery (June-August). The total length at 100% maturity exceeded 15 cm and the fecundity ranged from 525 to 1176 eggs. The fecundity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gonads suggest that this species is a spring-summer spawner with group-synchronous type oocyte development.

기후변화와 서식지 수온 변화에 따른 북서태평양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어획량 변동 (Fluctua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e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under Changing Climate and Habitat Temperature)

  • 송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38-343
    • /
    • 2018
  • Recently, commercial catches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ave dramatically decreased in Korean and Japanese wat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on squid catch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investigated using squid catches, climate indices and observed seawater temperatures in Korean waters. Common squid consist of three spawning stocks: autumn, winter, and summer. The autumn stock is the largest in Korea, and its main fishing season appears to have shifted from September in the 1980s to October in the 1990s. We observ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pring Southern Oscillation Index and Korean catches and between the winter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Japanese catches. Despite global warming, no conspicuous increases in October seawater temperatures have been observed at 10 and 50 m in Korean waters since the mid-1900s. Instead, the 50 m water layer of the East Sea appears to be gradually cooling. Moreover, temperatures at 50 m in the East Sea and the South Sea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quid catches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Our preliminary analysis indicates a link between climate change, seawater temperature, and squid catches in Korean waters, which helps to inform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to identify the cause of rapid decreases in this squid resource.

서해 보령 연안 연안개량안강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by Coastal Stow Net Catch from the Coastal Waters Off Boryeong, Korea)

  • 최동혁;윤병일;김맹진;이승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761-772
    • /
    • 2020
  • In order to study abou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the coastal water off Boryeong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A total of 10,863 individuals of 87 species of 44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Liparis tanakai accounted for 19.8 percent of the total with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and Collichthys niveatus accounted for 12.4 percent and 11.0 percent of the total number.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revealed that the fish community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season. The fish species that appeared summer and autumn were mainly migratory, while the fish species that appeared in spring and winter were mainly resident species. Fish caught by stow net had a high percentage of immature fish. It presented that coastal water off Boryeong is located an important spawning and nursery for fisheries resource.

인천 북서부 해역에서 출현하는 갯가재 유생의 발달과 분포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Japanese Mantis Shrimp Oratosquilla oratoria Larvae in the Northwestern Water off Incheon)

  • 연인자;박원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763-771
    • /
    • 2011
  •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Japanese mantis shrimp, Oratosquilla oratoria (De Haan) larvae were investigated in the northwestern water off Incheon. O. oratoria larvae were monthly collected at 15 stations from early June to early October in 2007. Bongo net with 330 and 505 um mesh was deployed in a double once with an oblique tow way. Larval densities were relatively higher in southerner stations in July and in northerner stations in August and September. No larvae were discovered in June. Zoea I and II were not captured during the entire sampling period. Zoea III occurred in July for the first time and were found until September. Thereafter, the proportion of later stages increased. The number of zoeal stages decreased during the summer months and no larvae were found in October. Of zoeal stages, zoea IV was the most abundant in number. Zoeal densities were highest in July and August, particularly at the stations near the coast. O. oratoria larvae may be retained and grow within our study sites without advection to growing areas. Non-occurrence of zoea I and II indicate that they were retained near spawning grounds or near parental burrows. Pattern of larval occurrence was coincided with previous researches conducted in conspecific distribution ranges.

민태(Johnius belengeri)의 분포, 체장 및 연령조성 (Distribution, and length and age composition of Johnius belengeri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이태원;송해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4-193
    • /
    • 1993
  • 서해의 아산만, 천수만과 영광 근해, 남해의 삼천포 근해 및 동해의 영일만에서 otter trawl로 민태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밀도 분포, 체장 및 연령 조성을 분석하였다. 영광근해에서는 민태의 평균밀도가 1.147개체/$10,000m^2$로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저어류 군집을 우점하였다. 천수만에서는 평균밀도가 94개체/$10,000m^2$, 아산만과 삼천포에서는 이보다 낮아 8-24개체/$10,000m^2$였다. 영광 근해에서 서해의 북쪽 혹은 남해의 동부로 갈수록 평균밀도는 감소하였으며, 영일만에서는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아 동해 연안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어류는 봄에 연안에 출현하기 시작하며 해역에 따라 봄, 혹은 여름에 최대 밀도를 보였다. 봄과 여름에 채집된 개체는 I, II 및 III세의 성어들이었으며, 영광과 삼천포에서는 여름부터 유어들이 채집되기 시작하였다. 가을에는 미성어가 주를 이루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산란을 위하여 봄에 내만으로 몰려온 성어는 산란을 마친 후 외해로 넓게 분산되며, 많은 유어들은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이동하는 늦가을까지 내만에서 자라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울릉도와 독도에 출현하는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과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Günther, 1877))의 생물역학적 관계와 계절적 비만도지수의 첫 보고 (First Biometric Relationship and Seasonal Condition Factors of 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 and 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 Inhabiting the Waters of Ulleung-do and Dokdo)

  • 박주면;노현수;이희갑;명세훈;;이재호;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0-56
    • /
    • 2023
  • 본 연구는 울릉도와 독도 해역에 서식하는 띠볼락(Sebastes zonatus Chen and Barsukov, 1976)과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Günther, 1877))의 체장-체중 관계 (LWR)와 계절적 비만도지수 (K) 정보를 국내 최초로 보고하였다. 두 종의 체장-체중 관계는 모든 계절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r2>0.959), LWR 회귀 기울기는 두 종 모두 저수온기와 고수온기 사이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두 종의 비만도지수는 저수온기에 고수온기보다 현저히 높아 산란기와 관련된 비만도 증가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띠볼락과 말쥐치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두 어종에 대한 보존 및 관리 계획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남해산 및 서해산 참굴(Crassostrea gigas)종패의 상호 이식 후의 성장 (GROWTH OF SOUTH AND WEST COAST PACIFIC OYSTER SPATS(CRASSOSTREA GIGAS) AFTER CROSS-TRANSPLANTATION)

  • 정종락;곽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36
    • /
    • 1970
  • 우리나라 남해산 참굴과 서해산 참굴의 형태학적 특성이 단순한 생태학적 요소에 기인하는지 또는 유전학적 요소에 근거를 두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한 방도로 1968년 중에 채묘된 남해 해역의 통영$\cdot$예천 그리고 고흥산 굴치와 서해 해역의 충남 간월도산 굴씨를 1969년 5월중에 각 산지간에 상호 교환 이식하여 해수 유통이 잘 되는 플라스틱 바구니에 담아 간조선 1시간 이내의 지점에다 설치한 간이 수하식 시설에 항상 해수에 담기는 위치에 매단 후 월 2회에 걸쳐 굴씨의 성장 측정과 해수 및 공기의 온도 그리고 염분 측정을 시행하였다. 조기분과 후기분 굴씨의 성장은 시초에는 후기분보다 $17\~240\%$ 컸던 조기분 굴씨가 성장과 더불어 후기분과의 차이를 점점 좁혀 1차년도 성장이 끝날 무렵인 12월까지는 $5\~20\%$선까지 좁혀졌다. 서해역 간월도산 굴씨의 서해와 남해 해역에서의 성장은 남해산 굴씨에 비해 훨씬 뒤떨어지고 있으며 이는 비록 동일한 species에 속하는 참굴이기는 하나 다른 race에 속함을 시사하고 있다. 남해산 굴씨의 성장은 장소를 불문코 대동소이하며 이는 이들이 동일한 품종에 속한다는 통상 관측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월 2회에 걸쳐 얻어진 온도와 염도 변화에 의하면 우기 중 육수의 혼합으로 인한 해수 염도의 저하나 온도 변화가 굴의 산란으로부터 굴 치패의 부착 과정을 심하게 저해하는 정도에 달하지는 않은 것 같다. 그러나 굴의 산란기 전후와 굴 치패의 부착 기간 중의 집약적인 측정 자료가 없으므로 이 결과는 4개소의 해양조건의 대체적인 성격을 표시하는 제한된 자료에 지나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