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Hyun-Sa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Scrophularia takesimensis in Ulleung-do Island

  • 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087-1095
    • /
    • 2005
  •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called 'Sum-Hyun Sam' growing about 1m in high is a perennial plant of Scrophulariaceae. Because the number of these species is very limited in the worl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appointed S. takesimensis as a preserved plant. The Korea Forest Service also protects it strictly by the law since S. takesimensis is an out-of-the-way plant and possible to be exterminated soon in Korea. Investigation fo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far S. takesimensis was carried out in Ulleung-do Island. S. takesimensis has a tendency to emerged with Calystegia soldanella Roem. et Schultb. and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C. soldanella community were developed on the dry and well-lighted as east or north facing conditions. A. japonica subsp. littoricola community have tendency to developed on the properly lighted as west or north facing and well maintained soil or air humidity. C. soldanella community were developed on the sandy gravel or gravel and grew with Farfugium japonicum, (L.) Kitam., Lonicera japonica Thunb., and Peucedanum japonicum Thunb.. A japonica subsp. littoricola communities were emerged on the rock beds or pile of rocks and grew with Sedum oryzifolium Makino, Sedum takesimense Nakai, an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Molecular Changes in Remote Tissues Induced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at Acupoint ST36

  • Rho, Sam-Woong;Choi, Gi-Soon;Ko, Eun-Jung;Kim, Sun-Kwang;Lee, Young-Seop;Lee, Hye-Jung;Hong, Moo-Chang;Shin, Min-Kyu;Min, Byung-Il;Kee, Hyun-Jung;Lee, Cheol-Koo;Bae, Hyun-Su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178-183
    • /
    • 2008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treatment on regions remote from the application, we measured cellular, enzymatic,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in various internal tissues of healthy rats. The EA was applied to the well-identified acupoint ST36 of the leg. After application, we measured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in the spleen, gene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the hypothalamus, liver and red blood cells. The EA treatment increase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spleen by approximately 44%. It also induced genes related to pain, including 5-Hydroxytryptamine (serotonin) receptor 3a (Htr3a) and Endothelin receptor type B (Ednrb) in the hypothalamus, and increased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the hypothalamus, liver, and red blood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A mediates its effects through changes in cellular activity, gene expression, and enzymatic activity in multiple remote tissues. The sum of these alterations may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of EA.

LRF 센서를 이용한 글로벌 맵 기반의 적응형 이동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daptive Moving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Based on Global Map using LRF sensor)

  • 오세권;이유상;이대현;김영성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77-38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장애물이 포함된 글로벌 맵 환경에서 LRF 센서만을 가진 자율이동 로봇이 이동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선 이동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해 LRF 거리 센서 데이터와 글로벌 맵을 이용하여 이동장애물을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장애물과 자율이동 로봇의 상대적인 벡터 성분의 합을 이용해 타원 형태의 안전반경을 생성한다. 생성된 안전반경을 고려하여 자율이동 로봇이 이동장애물을 회피하고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하고 분석한다. 분석 방법은 이동장애물이 없을 때를 기준으로 제안된 알고리즘과 기존의 알고리즘의 경로의 길이와 주행 시간을 비교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장애물의 상대적 속도와 방향을 고려하여 회피할 수 있어서 경로와 주행 시간 모두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높은 성능을 보인다.

요통 치방에 대한 문헌적 고찰 (The Literatural Study on Prescription about Low Back Pain)

  • 이성환;김영일;양기영;김정호;허윤경;이현
    • 혜화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59
    • /
    • 2007
  • From the study of prescription on low back p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Among classified cause of low back pain, ShinHur(腎虛) lowback pain and its prescription was most mentioned. 2. Prescriptions such as ChungAWhan(靑娥丸), KookBangAnShinWhan(局方安腎丸) BoSooDan(補髓丹) BaekBaeWhan(百倍丸) DooChungWhan(杜沖丸) JangBonDan(壯本丹) NokKakWhan(鹿角丸) were used in ShinHur(腎虛) type low back pain. 3. Prescription such as TaekRanTang(澤蘭湯) JiRyongSan(地龍散) YoeShinSan(如神散) ShinKookJoo(神麴酒) SoeGuenSan(舒筋散) were used in JwaSumJilBak(閃挫跌撲) type low back pain. 4. Prescription such as ChangChulTang(蒼朮湯) JumTongTang(拈痛湯) ChulBuTang(朮附湯) YiChoChangBaekSan(二炒蒼栢散) were used in SeupYoel(濕熱) type low back pain. 5. Prescription such as ChunGoongYookGaeTang(川芎肉桂湯) GaMiSaMulTang(加味四物湯) PaHoelSanDongTang(破血散疼湯) JiRyongSan(地龍散) were used in UhHoel(瘀血) type low back pain. 6. Prescription such as (蒼術復煎散) (五積散) (摩腰丹) (滲濕湯) were used in HanSeup(寒濕) type low back pain. 7. Prescription such as GaMiYiJinTang(加味二陳湯) GongYeonDan(控涎丹) SaMoolTangHapYiJinTangGaMi(四物湯合二陳湯加味) were used in DamUem(痰飮) type low back pain. 8. Prescription such as OhJukSanGaMi(五積散加味) OhYakSoonGiSanGaMi(烏藥順氣散加味) GaMiYongHoSan(加味龍虎散) SoSokMyoungTang(小續命湯) were used in Poong(風) type low back pain. 9. Prescription such as (四物湯合二陳湯) (仰腰湯) were used in SikJuk(食積) type low back pain and (五積散) (煨腎散) (三花神祐丸) in Seup(濕) type low back pain. 10. Prescription such as ChilKiTang(七氣湯) ChimHyangGangKiTang(沈香降氣湯) ChoKiSan(調氣散) InSamSoonKiSan(人參順氣散) were used in Ki(氣) type low back pain.

  • PDF

담수화로 인한 퇴적물 내 입자성 인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Responses of Particulate Phosphorus Exposed to the Fresh Water in Marine Sediment)

  • 지광희;정용훈;김현수;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4-90
    • /
    • 2009
  • 담수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입자성 인의 거동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해양퇴적물의 주상시료를 230일간 $25^{\circ}C$에서 항온암배양하였다. 배양 실험은 상층수를 해수상태로 유지한 실험군(SW), 담수상태로 유지한 실험군(FW), 그리고 담수상태이면서 빈산소상태로 유지한 실험군(FWA)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퇴적물은 5 cm 깊이까지 1 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입자성 인의 연속추출방법으로 퇴적물 내 입자성 인의 존재형태를 6가지로 구분하였다. SW 실험군에 비해 FW와 FWA 실험군의 상층수에서 인산염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담수와 접촉한 후 퇴적물 내 해양 미생물의 사멸과 함께 유기물이 분해된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FW 실험군의 퇴적물 표층에서 BD-P(Iron-bound P)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해양퇴적물이 담수와 접촉하면 퇴적물의 산소투과 깊이가 깊어지며, 이로 인해 해수에 비해 황화물이 적은 담수에서 철화합물 형태의 인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 반면에 FWA 실험군의 BD-P 감소는 상층수의 낮은 산소농도로 인해 인산염이 용출되는 과정을 통해 유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WA 실험군에서 추출 가능한 인(SUM of LOP)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때, 앞으로 이 형태의 인이 상층수로 쉽게 용출되어 반응성 인이 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갯벌에 함유된 다양한 종류의 입자성 인들이 담수와 접촉하면 상당부분 추출 가능한 인으로 바뀌게 되고, 특히 빈산소 상태에서는 그러한 추출 가능한 인이 더욱 증가하므로 향후 인산염의 형태로 용출되면 상층수의 수질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