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ncret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7초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의 라이닝 (Lining of Reinforced Spun Concrete Pipes using Polymer-Modified Mortars)

  • 조영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06-413
    • /
    • 2001
  • 본 연구는 기존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관체 표면을 일정한 두께로 방식 라이닝 모르타르로 처리함으로써 보다 더 내구적인 하수관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제작 시, 동시성형이 가능하고 촉진 증기양생 조건에서도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접착강도가 큰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용 라이닝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적 실험결과, 보통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해 역학적 성질 및 내구성이 우수하였으며, 현장적용결과, 동시성형 및 양생조건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나, 폴리머의 종류에 관계없이 폴리머 시멘트비를 20% 이하로 하며, 양생온도는 8$0^{\circ}C$이하의 양생조건을 제안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조건이 가능하면, 2일간 기중양생(2$0^{\circ}C$)을 실시하여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속의 폴리머 필름이 형성된 후, 8$0^{\circ}C$에서 양생시키는 방법이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ative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New Sand-Cap and Neoprene Pad

  • Park, Young-Shik;Suh, Jin-K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2권1호
    • /
    • pp.15-19
    • /
    • 2008
  • The most typical capp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s is a sulfur-mortar compound capping, provided it satisfied the standard criterion set forth by ASTM C 617, but this conventional bonded-type method has many problems. It exhibits relatively the smaller unreliable value of the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due to the differences of elasticity and strength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cap, and manifests poor serviceability such as dangerous working tasks or a waste of the working time. To prevent these problems, unbonded-type capping methods have taken the place of the conventional methods in recent years. One of the popular methods is the use of synthetic rubber like a neoprene pad. Serious problems still remain in this method, which include the consideration of its 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selection, the safekeeping and the economy of the pads. Moreover, the synthetic rubber pads cannot be used in concrete cylinder with strength greater than 80 MPa according to ASTM C 1231-00. New 'sand-capping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cable to the compressive strength evaluation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in the range of $70{\sim}100\;MPa$. This new method has better simplicity and reliability than those of existing 'sand-box', because usual materials such as standard sand and simply-devised apparatus are used for the capping syste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new sand-capping method exhibited the smallest deviation and dispersion, attesting for its much better reliability than other methods specified in ASTM C 1231/1231M.

무기질 항균제 도포에 의한 콘크리트의 경화성상 및 내구성상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Phys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Concrete Spread with Inorganic Antibiotics)

  • 김무한;길배수;김재환;조봉석;이의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75-82
    • /
    • 2005
  • Sewage facilities are positively necessary for environment improvement such as rainwater removal, sewage disposal, preservation of the quality of water and health of the citizens in present-day. Meanwhile, a deterioration of the concrete sewer pipe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chemical and physical attack and especially biochemical attack that is to say biodeterioration. So, in advanced countries, prediction techniques and corrosion inhibition system for sewer concrete are developed and are being applied. Also, antibiotics were developed already but application of that is low because it is not economical and has no practical use. But, in domestic, countermeasures for the corrosion of sewage concrete are not sufficient and biochemical attack is not reflected in those essentially. In this study, to prevent biochemical corrosion of the sewer concrete, surface of the concrete was spread with liquefied inorganic antibiotics and then its engineering propertie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s a result,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pecimen spread with antibiotics were similar to those of non spread, Both bond strength and abrasion amount of the specimen spread with antibiotics were inferior to non spread. Properties of absorption and air permeability of the specimen spread with antibiotics were superior to non spread. Finally, carbonation depth, chloride ion penetration depth and weight change ration of the specimen spread with antibiotics were smaller than non spread.

액상 수밀성 항균제를 사용한 항균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c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Concrete Using Liquid Reinforcing Antibiotics)

  • 김규용;김무한;이의배;조봉석;길배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3-1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세균에 의한 하수시설 콘크리트의 생화학적 부식을 저감시키기 위해 항균제 및 항균콘크리트의 개발과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수밀성, 항균성, 균질성, 시공성 및 무해성 등 하수시설용 항균 콘크리트의 요구 성능을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항균제 및 항균 콘크리트를 요구 성능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액상 항균제의 분산 성능 및 항균 성능은 유효하였으며, 항균 콘크리트의 경우 비색 시험에 의해 항균 성능을 검증할 수 있었고, 유해 성분 및 유효 성분의 용출도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공성에 있어서는 응결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압축강도 및 탄산화저항성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다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공 측정에 의한 내부공극량도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으며, 내부 조직도 치밀하게 관찰되는 등 항균제에 의한 콘크리트의 수밀성 향상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황산화 세균에 의한 생화학적 부식을 실증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공촉진시험을 개발한 후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한 결과 황산화세균의 생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고 그 적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Sulfur Polymer Emulsion을 활용한 반강성 포장용 시멘트 주입재의 특성 (Properties of SPE-Based Cement Grout for Semi-Rigid Pavements)

  • 이병재;이준;현정환;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7-65
    • /
    • 2013
  • 정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탈황과정에서 대량 발생되는 부산물인 황은 연간 120만톤 이상 발생되고 있으나 그 활용처가 제한되어 있어 수요처확보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부생유황은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건설재료에 활용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시킨 반강성 포장의 적용이 증대되고 있으나 균열억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의 높은 비용으로 경제성이 저하되어 대체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생유황의 재활용 방안 제시와 sulfur polymer emulsion (SPE)을 혼입한 반강성 포장용 주입재의 공학적 성능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아크릴레이트를 SPE로 30%까지 대체한 주입재는 대체하지 않은 주입재에 비하여 우수한 유하시간과 강도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PE 대체율이 50% 이상인 주입재는 오히려 성능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SPE의 적정 대체율은 3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SEM 분석을 이용하여 1종 보통포틀랜드시멘트 (OPC) 페이스트와 비교 연구를 수행한 결과,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주입재는 약 3시간의 재령에서 OPC의 7일 재령에 해당되는 수화 특성을 나타내었고 SPE의 혼입 여부와 상관없이 그 특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E를 30% 수준으로 대체한 주입재의 염해저항성은 OPC 수준에 해당되어 아크릴레이트만을 주입한 주입재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유하시간, 강도특성, 염해저항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이 연구의 범위에서는 SPE 대체율 30%가 적정 수준의 대체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시험에 의한 황산화세균의 생장 특성 및 생화학적 부식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Properties of Sulfur-Oxidizing Bacteria Growth and Resistance to Biochemical Corrosion by Simulation Test)

  • 김규용;이의배;길배수;이승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95-50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세균의 생장과 이에 따른 콘크리트의 생화학적 부식의 단계적인 개연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고안된 생화학적 부식 시뮬레이션 시험 및 장치를 구축하였으며, 황산화세균인 Thiobacillus novellus의 생장 활성화를 위해 여러 기본조건을 설정하였다. 또한 세균의 이식 방법과 황화수소농도 조건에 따라 크게 2종류의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른 Thiobacillus novellus의 생장특성과 항균금속의 첨가에 따른 항균성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우선 황화수소 120 ppm의 조건하에서 시험체를 세균배양액에 침지시켜 Thiobacillus novellus을 간접적으로 이식한 시뮬레이션 시험의 경우, 사슬형태의 대단위 군집을 형성하는 Thiobacillus novellus의 급속한 생장과 높은 황원소의 검출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장기적으로 Thiobacillus novellus의 생장을 유도하기는 곤란하였다. 황화수소 50 ppm의 조건하에서 황산화세균인 Thiobacillus novellus를 직접 이식한 시뮬레이션 시험의 경우, Thiobacillus novellus의 비교적 장기적인 개별생장이 관찰되었으며, 항균금속을 첨가한 시험체에서 세포막과 내부 조직이 파괴된 Thiobacillus novellus의 개체가 관찰되어 항균금속 성분에 의한 Thiobacillus novellus의 생장억제 성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황산수를 사용한 저속 습식 마쇄법에 의한 순환잔골재의 최적 마쇄조건 (Optimum Abrasing Condition for Recycled Fine Aggregate Produced by Low Speed Wet Abraser Using Sulfur)

  • 김진만;김하석;박선규;김봉주;곽은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57-563
    • /
    • 2008
  • 순환잔골재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습식공정에서 사용되는 파 분쇄 방법만으로는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페이스트 성분을 효율적으로 떨어내지 못하며, 씻기 작업에 사용되어지는 세척수는 씻기 작업 후 별다른 처리 없이 순환하여 사용되어 지고 있기 때문에 칼슘 성분을 다량 함유한 pH $12{\sim}13$의 고알칼리성수로 변화된다. 따라서 골재 내 폐모르타르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뿐더러 용수 또한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방류 시 별도의 처리를 해야만 하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순환골재 생산 방식 중 문제시 되어온 파 분쇄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강알칼리수를 중화시켜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에 만족하는 순환잔골재의 최적 생산조건에 대하여 실험적 및 통계적으로 검토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순환잔골재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척수양, 피분쇄물인 굵은골재량, 마쇄시간을 실험인자로 선정한 후 실험계획법에 의하여 순환 잔골재와 물비, 순환 잔골재와 굵은 골재비 및 마쇄시간에 대하여 그 유효성을 검토하였으며, 품질규격에 적합한 순환잔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마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에 만족하는 순환잔골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연구결과, 물비, 굵은골재비, 마쇄시간 변화에 따른 순환잔골재 품질 변화는 마쇄시간이 밀도 변화에 있어 마쇄조건 중 가장 유효하며 물비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쇄시간 15분, 굵은골재비 1.0 이상이 목표품질 절건밀도 $2.5\;g/cm^3$ 이상 흡수율 3% 이하의 골재를 생산하는데 최적조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크리트 열화 진단의 LIBS 적용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IBS for the Diagnosis of Concrete Deterioration)

  • 우상균;추인엽;윤병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40-146
    • /
    • 2017
  • 표준 시료의 분광 분석으로부터 획득한 각 원소별 파장 특성 값과 검사대상 미지 시료로부터의 파장 분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미지 시료에 함유된 원소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LIBS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열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대하여 LIBS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LIBS를 통해 염화물, 황산염, 탄산화 모르타르 시험체에 대한 유해 열화인자 정량 검출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콘크리트 열화 진단의 LIBS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염화물과 황산염 시험체 각각에 대하여 LIBS 실험을 실시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소 및 황 이온의 LIBS 스펙트럼 파장 강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탄산화 시험체의 경우 탄산화 노출 기간에 따른 탄소 이온 LIBS 스펙트럼 파장 강도는 다소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콘크리트 열화 진단에 LIBS의 적용가능성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콘크리트 탄산화의 경우 시멘트 자체에 탄소 성분이 함유되어 염화물 및 황산염 시험체의 정량 검출과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탄산화에 대하여 LIB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매개변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달 시설물을 위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시공성 연구 (Workability of Polymeric Concrete for Lunar Infrastructure)

  • 이재호;이태식;안기용;장병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507-512
    • /
    • 2017
  • 유인 행성 탐사를 위해 인류는 행성에서 반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에 거주에 기본적인 3대 요소인 의식주(衣食住)는 건설 분야의 필수적인 기술의 뒷받침이 요구된다. 국제적으로 인프라 구축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현지 시멘트화, 황, 알루미늄 등의 다양한 재료와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를 이용한 건설 인프라 재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유인 탐사에 요구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시공성 검증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하부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중량비 10%의 폴리머를 사용한 콘크리트 시험체는 가열 후 2시간이 지났을 때 안정화 되었으며, 상부 가열 방식에 비해 강도는 낮았지만 고착속도가 2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유인 탐사를 위한 달 시설물 의 건설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지방지를 위한 도로나 제방과 같은 인프라 시설의 시공성 향상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기대된다.

A Study on the Single-dose Oral Toxicity of Super Key in Sprague-Dawley Rats

  • Kim, Jinhee;Lee, Jongcheol;Kim, Sungchu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3-6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ingle-dose oral toxicity of the super key (processed sulfur).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Medvill, an institution authorized to perform non-clinical studies, under the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regul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al toxicity of super key. We administered it orally to Sprague-Dawley (SD) rats. The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ive male and five female animals per group: group 1 being the control group and groups 2, 3, and 4 being the experimental groups. Doses of super key 500 mg/kg, 1,000 mg/kg and 2,000 mg/kg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a dose of normal saline solution, 10 mL/kg,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We examined the survival rates, weights, clinical signs, gross findings and necropsy find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Animal Ethics Committee. (Approval number: A01-14018). Results: No deaths or abnormalities occurred in any of the four groups. Although slight decreases in the weights of some female rats were noted, no significant changes in weights or differences in the gross finding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observed.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organs, we used microscopy to examine representative histological sections of each specified orga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orga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500 - 2,000 mg/kg of super key did not cause any changes in the weights or in the results of necropsy examinations. Neither did it result in any mortaliti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super key is relatively safe.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are need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