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ncret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바닥재 잔골재를 활용한 유황고형화 성형물의 압축강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Sulfur-solidified Materials using Bottom Ash Fine Aggregate)

  • 홍범의;최창식;윤정호;엄민섭;전신성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259-265
    • /
    • 2012
  •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 중에서 약 10~15%를 차지하는 바닥재는 산업폐기물로서 대부분 매립 처리되거나 콘크리트의 첨가제로 일부 활용되고 있다. 바닥재 골재는 발생 특성상 기존의 모래나 자갈보다 가볍고, 흡수율이 높아 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할 수 있고 매립되는 바닥재의 활용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바닥재와 유황을 이용한 산업건설용 자재를 제작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온형 혼합기 사용에 따른 바닥재 잔골재 입도와 유황함량을 실험 변수로 국내 4개 발전사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이용하여 고형화 성형물을 제작한 후 압축강도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는 유황의 함량, 바닥재 입도에 동시에 영향을 받는 결과를 보였으며, 최대 약 92 MPa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는 세골재와 미립분이 혼합된 1.2 mm 이하의 입도와 높은 유황함량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석탄가스화복합발전 슬래그의 활용성 검토 - 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al Gasification Slag as Fine Aggregate for Concrete - Focus on Chemical Properties -)

  • 현승용;한준희;이영준;신용섭;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1-192
    • /
    • 2018
  • This study is a fundamental study to utilize CGS from the IGCC as a fine aggregate for concrete. According to the stud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S F 2527 was re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S F 2527 standard was generally satisfied, but the content of the sulfur trioxide(SO3) exceeded the limit set by the molten slag. The possibility was found to be a fine metal based on chemicals other than sulfur trioxide(SO3).

  • PDF

항균제를 도포한 하수시설용 단면복구 모르타르의 기초물성 및 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Sewer Type Restorative Mortar Spread with Antibiotics)

  • 김무한;김규용;김재환;조봉석;이동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95-202
    • /
    • 2006
  • 하수시설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은 하수시설의 특수한 환경조건상 황산화세균 등의 서식에 의해 발생된 황화수소($H_2S$)에 기인하는 생화학적 부식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의 경우 근본적으로 방지대책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채 정비사업이 수행되고 있어 근본적으로 황산화세균을 억제할 수 있는 보수재료 공법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균금속을 포함한 도포형 항균제를 개발한 후, 개발된 항균제의 황산화세균에 대한 항균성능과 항균제를 도포한 단면복구재의 부착강도, 흡수 및 투기저항성, 중성화 깊이, 염화물이온 침투깊이 및 화학저항성 등의 기초물성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구조물용 유황폴리머 표면보호재의 내구성능 및 생물독성 (Durability and Bioassay of a Sulfur Polymer Surface Protecting Agent for Concrete Structures)

  • 석병윤;이병재;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9-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황을 폴리머화하여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내구성능 및 생물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콘크리트 표면보호재의 내화학성능은 산, 알칼리 용액에 대하여 화학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합조건별 촉진내후성 실험 후 부착강도평가 결과 규사분말 및 플라이애시를 동시에 혼합한 배합에서 가장 우수한 강도특성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용 표면보호재 시험체의 온냉반복 후에도 모든 배합조건에서 부착강도 1 MPa을 상회하였고, SFS배합에서 가장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내었다. 표면보호재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촉진탄산화 및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을 검토한 결과, 규사분말을 채움재로 사용한 표면보호재를 도포한 시험체에서 가장 우수한 내구성능을 나타내었다. 유황폴리머를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로 사용시 생물독성 검토를 위해 어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황폴리머는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보호재의 내화학성, 동결융해저항성, 탄산화, 염소이온침투저항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범위에서는 유황폴리머에 채움재로서 규사분말과 플라이애시를 각각 20%씩 대체하는 것이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흄관 라이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ing of Reinforced Concrete Pipe Using Polymer-Modified Mortar)

  • 김영집;김한엽;조영구;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3-338
    • /
    • 2000
  • At present, reinforced concrete pipe has been widely used as drain pipe. However, many reinforced concrete pipe is exposed at deteriorated environment by the growth of a sulfur-oxidizing bacterium isolated from corroded concr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ining by polymer-modified mortar on the development in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pipe. Polymer-modified mortars ate prepared with various polymer typer as cement modifier and polymer-cement ratio and rested for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adhesion in tension, acid resistance test, freezing and thawing test, and lining test of product in the field. From the rest results, it is apparent that polymer-modified mortars have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as lining material. In practice, all polymers can be used as lining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pip, and type of polymer, and polymer-cement ratio and cur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for good lining product.

  • PDF

Sulfur Polymer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내화학성 표면보호재의 성능 평가 (Efficiency Test for Surface Protecting Agents for the Chemical Resistance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Sulfur Polymers)

  • 이병재;이의성;정우정;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황을 폴리머화하여 내화학성능이 요구되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보호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성능을 검토하였다. 평가 결과, 유황폴리머 표면도포재의 중력식 스프레이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포횟수는 왕복 3회 이상 도포했을 때 1MPa 이상의 부착강도 확보가 가능하였다. 표면보호재가 도포될 콘크리트 표면조건은 상온조건 ($20{\sim}30^{\circ}C$) 이상에서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부착강도가 증가하였다. 표면보호재의 채움재 혼입량에 따른 강도특성 평가결과, 20~40% 정도 혼입된 채움재는 유황폴리머의 수축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강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또한, 플라이애시 보다는 규사 혼입시 부착강도가 높았고, 동시 혼입시 가장 우수한 부착강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저항성은 플라이애시 및 규사를 각각 20% 대체한 배합에서 부착강도 저하가 최소로 되어 우수한 내화학성을 나타내었다.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표면보호재를 도포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하여 유황폴리머 표면보호재를 도포한 경우, 29~48% 정도 염소이온침투저항성이 증대되었다. 표면보호재의 도포조건, 압축강도, 부착강도, 화학저항성, 염해저항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범위에서는 유황폴리머에 채움재로서 규사와 플라이애시를 각각 20%씩 대체하는 것이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황부산물의 콘크리트 원료 활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Concrete Materials for Desulfurization Process By-products)

  • 박혜옥;권기운;이경호;김문정;이우원;류돈식;이종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4호
    • /
    • pp.15-22
    • /
    • 2020
  •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 내 포함된 황화수소는 연소과정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황산화물을 발생시키고 대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산성비가 되는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일으킴에 따라 별도의 전처리 시설이 필수적이다. 매립가스의 탈황을 위해 탄산칼슘(CaCO3) 생성 반응에 따른 침전물 생성 처리, 흡착제를 통한 처리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폐수 등 2차 폐기물의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이용해 원소황(S°)으로 슬러지 형태인 황부산물로 생성시켜 처리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의 생물학적 처리 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의 기초연구로서 황부산물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고 첨가량에 따른 강도 보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부산물 혼합 콘크리트 강도 분석 결과, 황부산물의 혼합은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미치며, 10% 혼합시 가장 높은 강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황부산물 10% 혼합시 포졸란 반응과 CaSO4의 형성 등에 의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철강업에 있어서 산성비 원인물질 저감대책평가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아황산가스를 중심으로 - (A Methodological Study on an Assessment Model Developed for the Mitigation of Acid rain Causing Material - Focus on Sulfur Dioxide Emission Reduction Measures -)

  • 이동근;정태용;전성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71-82
    • /
    • 1998
  • This study focuses on one of the most typical energy-intensive industries, the steel industry. The two-fold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o assess measures to alleviate sulfur dioxide($SO_2$) emissions from the steel industry and to propose a concrete $SO_2$ emission reduction measure from the steel industry. This study partially employed and modified AIM(Asia-Pacific Integrated Model) developed by Japan National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to develop AIM/KOREA SULFUR model for simulation. In the study, a base scenario, which is BAU(Business As Usual) scenario, and mitigation scenarios(a use of low-sulfur contain fuel, fuel conversion to cleaner energy, an induction of desulfurization systems, and energy saving)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summarized below: The sulphur dioxide emission from the steel industry in 1992 was estimated to be 252,000 metric tons; however, according to BAU scenario, sulphur dioxide emission is expected to be increased to 586,000 metric tons, which is 2.3 times greater than that in 1992 by year 2020. To alleviate such increasement, simulation results under various 7scenarios proved that some degrees of reduction may be possible by an induction of desulfurization systems although there may be numerous ways to interpretate the simulation results; however, the bottom line is that it appears to be difficult to achieve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s policy goal-a mitigation of sulphur dioxide concentration to 0.01ppm.

  • PDF

Degradation of roller compacted concrete subjected to low-velocity fatigue impacts and salt spray cycles

  • Gao, Longxin;Lai, Yong;Zhang, Huigui;Zhang, Jingsong;Zhang, Wuman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2권5호
    • /
    • pp.411-418
    • /
    • 2021
  • Roller compacted concrete (RCC) used in the island reef airport runway will be subjected to the coupling actions of the fatigue impacts and the salt spray cycles, which will accelerate the deterioration of runway concrete and even threaten the flight safety. A cyclic impact testing machine and a climatic chamber were used to simulate the low-velocity fatigue impact and the salt spray cycles, respectively. The physical properties, the microstructures and the porosity of RC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e flexural strength firstly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fatigue impacts and the salt spray cycles. However, the decrease in the flexural strength is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RCC only subjected to the salt spray cycles. The chlorine, sulfur and magnesium elements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pores of RCC subjected to 30000 fatigue impacts and 300 salt spray cycles, which causes the decrease in the porosity of RCC. The coupling effects of the fatigue impacts and the salt spray cycles in the later period accelerates the deterioration of RCC.

유황폴리머를 활용한 콘크리트 표면보호재의 양생조건에 따른 강도 평가 및 유황폴리머의 유해성 평가 (Strength Development of Sulfur-Polymer-Based Concrete Surface Protecting Agents Depending on Curing Condition and Hazard Assessment of Sulfur Polymers)

  • 이병재;이의성;김성구;김윤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39-146
    • /
    • 2015
  • 콘크리트의 화학적 침식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감소로 이어져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표면보호재의 내구수명이 짧아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국내 산업시설에서 유황의 부산량이 늘어나고 있으나, 소비량이 한정되어 있어 잉여유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황폴리머를 콘크리트의 표면보호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로써 채움재의 종류 및 양생조건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유황폴리머에 대한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 결과 채움재의 치환비율이 40%까지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또한 증가하였으며, 채움재의 종류에 따라 양생온도 $40^{\circ}C$ (SS, FA)와 $60^{\circ}C$ (OPC)에서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기건양생과 수중양생의 압축강도 차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양생 시 수분에 의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강도 평가 결과 채움재의 종류와 무관하게 기건상태 $40^{\circ}C$에서 가장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냈으며, 수중양생시 기건양생에 비하여 부착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0^{\circ}C$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경우 온도에 영향을 받아 변색 및 잔갈림 등이 나타냈으며, 채움재의 종류에 따라 치환 비율 20% (SS, FA) 30% (OPC)에서 가장 높은 부착강도를 나타냈다. 유해물질 용출시험 결과,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아 유황폴리머를 활용한 표면보호재의 유해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범위에서 검토한 결과, 유황폴리머를 표면보호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규사를 20% 정도 치환하여 배합하고 $40^{\circ}C$의 기건상태에서 양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