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lfide

검색결과 1,562건 처리시간 0.024초

LED용 Sr2Ga2S5:Eu2+ 황색 형광체의 합성 및 발광특성 (Synthesis and 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Sr2Ga2S5:Eu2+ Yellow Phosphor for LEDs)

  • 김재명;박정규;김경남;이승재;김창해;장호겸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7-242
    • /
    • 2006
  • LED는 고휘도 청색 칩의 개발로 인해 단순표시소자로만 이용되던 것이 다양한 분야의 발광소자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최근에 InGaN 칩과 황색 형광체(YAG:Ce3+)를 이용한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2 파장을 이용한 것으로 색연지수가 낮은 단점을 지니며, 황색의 YAG:Ce3+ 형광체 이외에 450~470 nm의 여기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발광하는 형광체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파장 영역의 여기 특징을 지닌 thiogallate 형광체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그 중에 가장 잘 알려진 SrGa2S4:Eu2+ 형광체의 모체를 변화시켜 Sr2Ga2S5:Eu2+ 형광체를 합성하였으며, 발광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무해성과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황화물질과 5 % H2/95 % N2 혼합 기체를 CS2와 H2S 가스 대신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합성되어진 형광체는 550 nm의 발광 중심을 가지는 황색 형광체로서 300~500 nm에 이르는 넓은 여기원을 통한 발광이 가능하다. 그리고 YAG:Ce3+ 형광체와 비교해 볼 때 강도 면에서 110 % 이상을 보이며, UV 영역의 여기적 특성을 이용해 UV LED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석탄가스의 초정밀 정제를 위한 변형된 활성탄의 흡착특성 연구 (The Adsorption of COS with a Modified-Activated Carbon for Ultra-Cleanup of Coal Gas)

  • 이유진;박노국;이태진
    • 청정기술
    • /
    • 제13권4호
    • /
    • pp.266-27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시스템용 고온건식탈황공정에 포함된 직접황회수공정의 $SO_2$ 촉매환원 반응에서 발생되는 COS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활성탄계 흡착제의 흡착특성이 연구되었다. $SO_2$의 촉매적 환원을 위하여 전이금속 담지촉매와 복합금속산화물 촉매가 사용되었으며, 이들 촉매의 반응기구에 따라 COS 생성과정과 반응온도에 따른 유출량이 조사되었다. 생성된 저농도의 C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용활성탄과 활성탄의 COS흡착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알칼리금속 수용액(KOH)으로 담지시킨 활성탄이 이용되었다. TGA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COS 흡착량과 흡착속도를 알 수 있었고, GC-PFPD가 장착된 고정층 흡착시스템을 이용하여 COS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높은 BET 표면적을 지니는 KOH로 처리된 활성탄의 COS 파과시간이 상용활성탄에 비해 장시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활성탄 흡착시스템으로 $SO_2$ 환원으로부터 생성되는 COS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알칼리성 금속을 담지할 경우 흡착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연화 및 장군 연-아연 광상의 Pb 동위원소 조성 및 Pb의 근원: 선캠브리아 기저 지각 및 중생대 화성암의 역할 (Pb Isotopic Composition of Yeonhwa and Janggun Pb-Zn Ore Deposits and Origin of Pb: Role of Precambrian Crustal Basement and Mesozoic Igneous Rocks)

  • 박계헌;장호완
    • 암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1-148
    • /
    • 2005
  • 연화, 장군 및 울진 Pb-Zn 광상에서 산출되는 납의 근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방연석과 황철석 등의 황화광물과 주변의 석회암, 관입암 및 기반암 등에 대해 납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206}Pb/^{204}Pb-^{207}Pb/^{204}Pb$ 그림에서 연화광산의 방연석들은 비교적 잘 정의되는 정(+)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 배열을 보이며, 한반도 선캠브리아 기저지각과 유사한 변화를 보인다. 울진광산의 방연석, 장군석회암 및 주변의 기저암체 역시 연화광산의 변화경향을 따른다. 그러나 연화광산에 비해 $^{206}Pb/^{204}Pb$값이 낮은 장군광산의 광석광물들은 연화광산의 변화경향으로부터 $^{207}Pb/^{204}Pb$ 값이 낮은 쪽으로 벗어난다. 경상분지 내에서 산출되는 중생대 화성암 및 광상들이 한반도의 기저암체들에 비해 훨씬 낮은 $^{207}Pb/^{204}Pb$ 값을 가지는 것을 참조할 때, 장군광산의 광석광물들이 보이는 변화는 기저암체의 오래된 지각물질로부터 용출된 납과 중생대 화성암들이 갖고 있던 보다 맨틀성분이 많이 포함된 납의 혼합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캠브리아 기저지각의 변화경향을 비교적 잘 따르는 연화광산과 울진광산의 광석들에 포함된 납은 대부분 오래된 기저암체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이나, 기저암체의 변화구역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고려할 때 중성대 화성암 기원의 납이 일정비율로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산성배수 발생저감을 위한 황철석 표면의 철인산염 피막형성 연구 (Iron Phosphate Coating on Pyrite Surface for Reduction of Acid Rock Drainage)

  • 이규호;김재곤;김탁현;이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1호
    • /
    • pp.75-82
    • /
    • 2006
  • 암석 또는 광미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황철석의 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산성배수를 저감하기 위하여 황철석 표면에 철인산염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첫 단계로 표준황철석을 이용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피막형성 조건을 도출하였다. 피막형성제와 황철석을 24시간 반응시킬 때 최적조건은 $10^{-2}M\;KH_2PO_4,\;10^{-2}M\;H_2O_2$, PH 6으로 결정되었으며, 이 조건으로 황철석을 피막처리한 후 반사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에너지분산분광기로 피막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피막의 내구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온도 pH, 산화제의 농도변화에 따른 인산염의 용출을 조사한 결과, $4^{\circ}C$$70^{\circ}C$에서 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강산 또는 강알칼리 환경에서 $3.4\%$미만, 산화제의 농도별 조건하에서 $1.0\%$미만의 인산염이 피막으로부터 용출되었다. 실험 결과는 암석 또는 광미시료의 철인산염 피막형성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동중석광상(上東重石鑛床)의 현미경적(顯微鏡的) 연구(硏究) (Microscopic Study of Sangdong Tungsten Ore Deposit, Korea)

  • 이대성;김서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2권1호
    • /
    • pp.1-12
    • /
    • 1969
  • In the Sangdong Mine area, Taebaegsan series (Pre-Cambrian) and Chosun System (Cambro-ordovician) are widely distributed. The Chosun System consists of Yangdug Series (Jangsan Quartzite and Myobong Slate) and The Great Limestone Series (Pungchon Limestone, Shesong Shale, Hwajeol Formation and Dongjeom Quartzite). The mineralized zone containing the main ore body of the Sangdong Mine was developed in the Myobong Slate formation. The result of the field and microscopic study on the mineral paragenesis and it's wall rock alteration in the tungsten ore deposit shows the following features. The orogenic movements of the Post-Chosun System in the Hambaeg Geosyncline are closely related to the tungsten ore deposition in the area, the ore minerals are composed mainly of scheelite, powelite molybdenite and sulfide minerals, and gangue minerals are hornblende, diopside, garnet, quartz, phlogopite, tremolite, biotite, muscovite, fluorite, etc., main ore body was enriched by scheelite bearing quartz vein filling into interstices of formerly mineralized zones, and the minor faults, faults of N $60^{\circ}-70^{\circ}W$, $45^{\circ}-60^{\circ}NE$ and joints, which were formed at the end of the mineralization and the slate. Country rock of the ore body was altered into the following several zon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lowgrade recrystalline aureole, silicified sericite zone, and diopside-hornblende zone. Under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195 samples taken from throughout ore body can be classified into 10 different groups by their mineral paragenesis as shown in table 2. The garnet-diopside group is primary skarn and it shows gradational change to the groups of later stage by the successive processes of metasomatism. From the stage of quartz-bearing group, the dissemination of scheelite is seen. The crystallization of scheelite in the bed started with the quartz deposition and continued to the last stage when quartz vein intruded into the main ore body. In the field and the under ground investigation a durable limestone bed in thickeness about 20 meters and their remnants in ore body are observed and under microscope calcite remnants are recognized. Hence it is posturated that the ore material moved up through the faults, shear zones or feather cracks and was assimilated with the interbeded limestone, after that the body was affected by the successive differentiated ore solution by gradational increasing in $SiO_2$, $K_2O$ and $H_2O$. Evidently this ore deposit shows the features resulted from pyrometasomatic processes.

  • PDF

Lymphoscintigraphy에 이용되는 방사성의약품의 사용제한으로 인한 대체 방사성의약품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Substitution Radiopharmaceutical according to Restriction of the Radiocolloids in Lymphoscintigraphy)

  • 서영덕;정재훈;문종운;윤상혁;김영석;강세훈;원우재;김석기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25-29
    • /
    • 2009
  • Purpose: Several radioactive agents were used for lymphoscintigraphy in breast cancer. But recently, due to the change of local radiopharmaceutical licensing policy and discontinuation of supplies from manufacturer, we could not use many radiocolloids such as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99m}Tc$-Tin Colloid, $^{99m}Tc$-Human Serum Albumin. So it is necessary to use the substitution radiopharmaceutica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ubstitution radiopharmaceutical ($^{99m}Tc$-Phytate) including the existing radiocolloids and to set up of the appropriate protocol in lympho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For each radiocolloids ($^{99m}Tc$-Antimony Trisulfide Colloid (ASC), $^{99m}Tc$-Tin Colloid (TC), $^{99m}Tc$-Human Serum Albumin (HSA), $^{99m}Tc$-Phytate) were performed the particle size by Zeta Sizer (Nano-ZS) and we compared the radiolabeling time, procedure and acquisition time for each of the radiocolloids (total 200 patients). For the last time, we made an analysis of image for each of the radiocolloids with our previous report (SJ Jang et al, Korean Nucl Med Mol imaging Vol.41, No.6, Dec 2007). Results: The particle size of each radiocolloids showed A.S.C (50 nm), T.C (310 nm), H.S.A (10.8 nm), $^{99m}Tc$-Phytate (499 nm). The labeling and acquisition time for each of the radiocolloids showed no substantial difference. But there is difference of the labeling time for the A.S.C. because the ASC procedure need to boiling proc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ose radiocolloids (p>0.005) in the identification rate (IR), false negative rate (FNR),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Conclusions: $^{99m}Tc$-labeled radiocolloids showed equivalent results in lymphoscintigraphy. Therefore, in this exam of each radiocolloids could be applied appropriate protocol in lymphoscintigraphy.

  • PDF

고령지역 지하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n the Groundwater in Goryeong Area)

  • 이재영;김철호;이인호;고인석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2-170
    • /
    • 1998
  • 고령지역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징은 34개 지하수 시료의 분석결과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및 고령화강암의 광물조성에 따라 다르고 대부분 용질의 농도는 퇴적암층의 지하수가 화강암의 지하수보다 현저히 높다. $Ca^{2+}$ 농도는 주로 탄산수와 방해석 및 풍화된 사장석과의 반응의 결과이며 진주층의 평균 지하수는 방해석에 대하여 과포되어 있다. 지하수의 주요 형은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의 지하수는 경도가 각각 155 mg/1,150 mg/1,140 mg/1인 경수질의 Ca(HCO$_3$)$_2$내지 CaSO$_4$형이며 고령화강암의 지하수는 경도가 90 mg/l의 연수질의 Ca(HCO$_3$)$_2$형이다. Ca(HCO$_3$)$_2$형은 방해석과 사장석의 분해와 관련되고 CaSO$_4$형은 황철석의 분해 및 일부 생활오수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SO$_4$형은 퇴적층 지하수가 화강암 지하수보다 지화학적으로 더 진화되었음을 지시할 수 있으나 황철석의 분해와 생활오수의 영향 때문에 확실치는 않다. 황철석은 환원환경의 회색 내지 흑회색 알코스 사암 중에서 안정한 황화물로서 산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마늘 Oleoresin 추출조건의 최적화 및 저장 중 품질변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Garlic Oleoresin an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leoresin during Storage)

  • 김유풍;이길우;오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9-226
    • /
    • 2006
  • 마늘의 일시 대량 처리가 가능하고, 맛과 향미의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향신료의 품질을 균일화 및 표준화 시킬 수 있으며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가공형태인 oleoresin을 제조하기 위하여 마늘의 ethanol 추출 조건에 의한 oleoresin의 최적 수율 및 thiosulfmate의 함량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시료 중량에 대한 용매의 적정 혼합 비율은 1:2(w/v)이었으며, 추출 온도와 시간은 각각 $30^{\circ}C$, 3 시간으로 조사되었으며 추출 횟수는 3번씩 추출하였을 때 oleoresin의 최적 수율 및 thiosulfinate의 함량은 각각 14.52%와 $209.93{\mu}mol/g$였다. 또한 위 조건 하에서 제조된 oleoresin의 향기 성분 분석 결과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3,4-dihydro-3vinyl-1,2-dithiin, 2-vinyl-4H-1,3-dithiin, diallyl trisulfide 등의 5종류의 마늘의 주요 향기 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이 검출되었다. Oleoresin의 저장시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4^{\circ}C$$25^{\circ}C$에서 30 일간 저장한 결과 thiosulfinate 함량이 $4^{\circ}C$에서는 $32.37{\mu}mol/g$으로 측정되었으나 $25^{\circ}C$ 저장시에는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갈색도 및 탁도는 $25^{\circ}C$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4^{\circ}C$ 저장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산도의 경우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4^{\circ}C$에서 저장시 마늘 oleoresin의 품질 특성이 좋게 나타났다.

서해연안의 양식장 환경조사 5. 군산연안 양식장의 저질환경 (Environmental Survey on the Cultivation Ground in the West Coast of Korea 5. Bottom Conditions on a Coastal Farm of Kunsan Areas)

  • 이정열;류동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5-98
    • /
    • 1995
  • 서해연안의 양식장 환경조사의 일환으로 군장국가공단 건설사업 중 방조제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군산연안 간석지 양식장을 대상으로 1992년 5월부터 1993년 4월까지 저질환경을 조사하여 양식장환경을 진단하고 동시에 방조제공사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1 조사지역의 입도조성은 입경 $0.064\leq0.25mm$의 미사가 $69\~98\%$를 나타내어 모래질이 우세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2. 저질의 pH는 7.2-9.1의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하층이 상층에 비해 높았으며 방조제 공사에 따라 점차 pH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저질의 함수율은 $11.1\~28.1\%$의 범위로 점토가 많은 지역의 함수율이 높았다. 4. COD 값은 0-1.27mg/g 건니를 나타내어 양호한 상태를 보였으며 pH값과는 달리 방조제공사에 따라 COD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5. 총유기물함량은 $0.84\~8.11\%$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하층이 상층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용존산소흡수량은 $0\~6.56mg/g$ 건니의 범위를 보였으며 겨울에서 봄에 낮은 값을, 여름에서 가을에 놀은 값을 보였다. 7. 총질소함량과 황화물은 각각 $0\~402{\mu}g/g$ 건니와 $0\~122{\mu}g/g$ 건니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여름과 겨울에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층별로는 대체로 상층이 하층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 PDF

Dynamics of Air Temperature, Velocity and Ammonia Emissions in Enclosed and Conventional Pig Housing Systems

  • Song, J.I.;Park, K.H.;Jeon, J.H.;Choi, H.L.;Barroga, A.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433-442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ynamics of air temperature and velocity under two different ventilation and housing systems during summer and winter in Korea. The $NH_3$ concentration of both housing systems was also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pig's growth. The ventilation systems used were; negative pressure type for the enclosed pig house (EPH) and natural airflow for the conventional pig house (CPH). Against a highly fluctuating outdoor temperature, the EPH was able to maintain a stable temperature at 24.8 to $29.1^{\circ}C$ during summer and 17.9 to $23.1^{\circ}C$ during winter whilst the CPH had a wider temperature variance during summer at 24.7 to $32.3^{\circ}C$. However,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f the CPH during winter was almost the same with that of EPH at 14.5 to $18.2^{\circ}C$. The NH3 levels in the CPH ranged from 9.31 to 16.9 mg/L during summer and 5.1 to 19.7 mg/L during winter whilst that of the EPH pig house was 7.9 to 16.1 mg/L and 3.7 to 9.6 mg/L during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less than the critical ammonia level for pigs with the EPH maintaining a lower level than the CPH in both winter and summer. The air velocity at pig nose level in the EPH during summer was 0.23 m/s, enough to provide comfort because of the unique design of the inlet feature. However, no air movement was observed in almost all the lower portions of the CPH during winter because of the absence of an inlet feature.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pigs reared in the EPH compared to the CPH (p<0.05). These findings proved that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housing systems, a stable indoor temperature was necessary to minimize the impact of an avoidable and highly fluctuating outdoor temperature. The EPH consistently maintained an effective indoor airspeed irrespective of season; however the CPH had defective and stagnant air at pig nose level during winter. Characteristics of airflow direction and pattern were consistent relative to housing system during both summer and winter but not of airspeed. The ideal air velocity measurement favored the EPH and therefore can be appropriate for the Korean environment. Further emphasis on its cost effectiveness will be the subject of future investig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