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table Cultivation Areas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특화지역 분석을 통한 권역별 특화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e of Regional Specialized Policy through Suitable Cultivation Area Analysis - Focusing on Stockbreeding Items -)

  • 유병욱;이성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33-3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ume suitable cultivation areas by items and expectably suitable cultivation areas through coefficient of specialization and spatial concentration analysis, and suggested regional specialized items discovered by this research and regional specialized business management plans & development directions. This study has monitored changing aspect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uitable cultivation areas in stockbreeding items from 2000 to 2010 by applying methods of location quotient(LQ), a multiple model, and etc, and predicted changing aspects of suitable cultivation areas from 2015 to 2020. As the result of analysis, I found that there were specialized items which were spatially concentrated and that there were hot-spots which were focused on some areas by items. Additionally, there we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which remained stable or changed by them. To discover specialized items and to develop businesses, I hav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nsure business project's feasibility including the present conditions, circumstances & potential of specialized items, and etc., and to secure business competitiveness including technology exchange, production cost curtailment,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consumer's needs and building systematic data about achievement and etc.

국내 육성 호밀품종의 재배적지와 기상요인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of Korean Rye Cultivar)

  • 류정기;조익환;김진진;한옥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5-87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도 수원과 대구지역에서 11년 동안 수행된 호밀 재배 시험 성적과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비교하고, 그것에 관여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육성된 호밀품종 "곡우"의 재배적지를 설정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구와 수원지역은 호밀 재배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수원지역은 대구지역에 비해 수분 공급력이 우수하였다. 또한, 기후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수분 공급력과 깊은 관계가 있는 호밀의 재배기간 중 강우일수와 강수량이 호밀의 생육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상관 및 주성분 분석을 통해 기후와 호밀의 생육 및 수량 요소 간의 관계를 평가하였고, 재배지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호밀 품종의 재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재배적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identification of suitable cultivation sites for wood-cultivated ginseng

  • Beon, Mu Sup;Park, Jun Ho;Kang, Hag Mo;Cho, Sung Jong;Kim, 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491-495
    • /
    • 2013
  • Wood-cultivated ginseng, including roots in its dried form, is produced in forest land without using artificial facilities such as light barriers. To identify suitable sites for the propagation of wood-cultivated ginseng, factor combination technique (FCT) and linear combination technique (LCT) were us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 results were superimposed onto an actual wood-cultivated ginseng plantation. The LCT more extensively searched for suitable sites of cultivation than that by the FCT; further, the LCT probed wide areas considering the predominance of precipitous mountains in Korea. In addition, the LCT showed the much higher degree of overlap with the actual cultivation sites; therefore, the LCT more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cultivator's intention for site selection. On the other hand, the inclusion of additional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cultivation sites and experts' opinions may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LCT for site application.

Predicting Changes in the Suitable Agro-climate Zone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with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 Jung, Jeong Sung;Park, Hyung Soo;Ji, Hee Jung;Kim, Ki Yoong;Lee, Se Young;Lee, Bae H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5-273
    • /
    • 2020
  • We aimed to predict the Italian ryegrass (IRG) productivity change of introduced and domestic varieties based on climate factors and identify suitable areas for IRG cultivation using the RCP 8.5 scenario. The minimum mean air temperature in Januar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roductivity. The ratio of possible and low productivity areas was high in Gangwondo, and the ratio of suitable and best suitable areas was relatively high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in the past 30 years. The change in the IRG cultivation area was found to be 26.9% in the best suitable area between 1981-2010 but increased significantly to 88.9% between 2090s. In the IRG suitability comparison classes between domestic and introduced cultivars, the ratio of suitable and best suitable areas was relatively high in the domestic varieties during the past 30 years. However,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the IRG domestic and introduced varieties in the IRG suitability classes after the 2050s. These results can predict changes in the IRG suitability classes between domestic and introduced cultivar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accurately predicting the productivity of IRG because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other environmental factors.

기후적합도 모형을 활용한 북한지역 내 감자의 여름재배 적지 탐색 (Spatial Assessment of Climate Suitability for Summer Cultivation of Potato in North Korea)

  • 강민주;현신우;김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7
    • /
    • 2022
  • 북한의 식량 안보 위기를 개선하기 위해 농자재와 관개시설의 요구도가 적은 감자 재배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저투입 조건에서 감자의 생산성을 높일 있는 적지를 공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재배 조건과 기후적합도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Global Agro-Ecological Zones (GAEZ)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감자 위치 자료를 사용하여 10 km 공간해상도를 가진 GAEZ 모형의 적합도 추정값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간정도에 해당하는 적합도 값인 3,333 이상에서 적합도가 0인 지점을 제외한 감자 위치 지점의 90%가 포함되었다. MODIS-IGBP 토지이용자료와 GAEZ Data Portal에서 제공하는 벼 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추정된 감자 재배 후보 지역 중에서 적합도가 임계값 이상을 가진 재배적지를 구분한 결과 저투입 조건에서 추정된 재배적지는 실제 북한의 감자 재배지 공간 분포와 유사한 경향이 있었다. 특히, 군 단위의 재배 면적과 재배적지 면적을 비교하여, 재배규모가 큰 지역에서 재배적지의 면적도 넓은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적합도의 임계값을 바탕으로 미래 기후조건에서 추정된 값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 변동 연구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작물의 기후적합도를 함께 고려하여 작부체계를 구성한다면 전반적인 작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RIMA 모델을 이용한 수막재배지역 지하수위 시계열 분석 및 미래추세 예측 (Time-series Analysis and Prediction of Future Trends of Groundwater Level in Water Curtain Cultivation Areas Using the ARIMA Model)

  • 백미경;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2호
    • /
    • pp.1-11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greenhouse cultivation area and groundwater level changes due to the water curtain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complexes. The groundwater observation data in the Miryang study area were used and classified into greenhouse and field cultivation areas to compare the groundwater impact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in the greenhouse complex.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time series data by the terrain of the study area and selected the optimal model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We analyzed the time series data for each terrain's two representative groundwater observation wells. The Seasonal ARIMA model was chosen as the optimal model for riverside well, and for plain and mountain well, the ARIMA model and Seasonal ARIMA model were selected as the optimal model. A suitable prediction model is not limited to one model due to a change in a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pattern caused by a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e but may change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heck and revise the optimal model rather than continuously applying one selected ARIMA model. Groundwater forecasting result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can be used for sustainable 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함경북도 내 미래 알팔파 재배의 기후적합도 앙상블 전망 (Ensemble Projection of Climate Suitability for Alfalfa (Medicago Sativa L.) in Hamkyongbukdo)

  • 현승민;현신우;김광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1-82
    • /
    • 2024
  • 함경북도의 개간된 경사지의 작물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과 조사료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함경북도에서 두과 조사료인 알팔파를 대상으로 재배 가능지역을 파악하는 것이 미래를 대비한 사료작물 재배 관련 정책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기후적합도를 예측하는 Fuzzy Union 모형을 사용하여 현재와 미래조건에서 함경북도 내 알팔파의 기후적합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Fuzzy Union 모형으로 예측된 기후적합도와 미국 북부 지역의 실제 알팔파 재배 면적을 비교하였다. 또한, 전지구 기후모형 11종으로부터 얻어진 기후자료를 기후적합도를 계산하기 위한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조건에서의 예측 불확도를 확인하였다. 미국 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적합도의 주별 면적은 실제 알팔파 재배면적 변이의 약 44%를 설명하였다. 미래 기후조건에서 알팔파의 기후적합도는 함경북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예를 들어, 온성군과 경원군의 경우 현재 기후조건에서 기후적합도가 88 이상으로 분석되었지만 2090년대에 약 66%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Fuzzy Union 모델을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알팔파 재배 적합지의 변동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1세기 후반에는 함경북도 지역에서 알팔파의 기후적합도가 하고현상으로 인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에는 토양 조건을 반영하여 알팔파의 재배 적합지를 예측하고, 이와 함께 헤어리베치 등의 타 두과 사료작물의 기후적합도의 예측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화작목과 기후변화 간 영향 분석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전략 연구 -과수를 중심으로- (Specialization Strategy for Regional Agricultu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n Specialized Crops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Focused on Orchard Crops-)

  • 황재희;김현중;이성우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49-164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rural 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nexus between spatial changes in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 of the crops. This pape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fy product life cycle of specialized crops in rural areas and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lterations in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op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this study applies multi-level model (Random coefficient model) to estimate the regional coefficient of five orchard crops. It utilizes the data 1995 to 2010 Korea Agricultural Census. Futhermore, it also adopts overlay analysis by ArcGI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path of the crop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imat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a mechanism activating regional agriculture. The findings propose re-searching and relocating specialized regions of the crops. Especially, it proves each rural area can drive the new agricultural strategy to strengthen regional agriculture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pecialized crops and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instance, shifting specialized crops in particular regions and enriching genetic or species varieties can be primary measures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reliable base for income sources in the rural communities. This paper also offers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rural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crops' life cycle and climate changes.

브로콜리 유기재배를 위한 검은썩음병 저항성 품종 선발 (Resistant Cultivar Screening to Black Rot for Organic Cultivation of Broccoli)

  • 전지영;윤철수;용영록;정은경;이상준;장연;이재은;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2009
  • 본 연구는 꽃 양배추의 유기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원예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검은썩음병에 저항성인 꽃양배추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6년 강원도 고랭지인 평창군 도암면과 강릉시 왕산면에서 조중생종 11개 품종과 중만생종 2개 품종의 원예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두 포장 모두에서 에브리부로, 탐스런, 녹제, 필그림이 우수하였다. 검은썩음병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 반응은 품종에 따라서 두 포장에서 다르게 나타나 두 포장에 병원균의 race 분포가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두 포장 모두에서 중생종인 에브리부로와 중만생종인 녹국은 검를썩음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품종은 원예적 특성도 우수하였으므로 강원도 고랭지 유기재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후 및 토양 정보를 고려한 포도의 재배적지 구분 연구 (Study o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of Grapes with Regards to Climate and Soil Conditions in South Korea)

  • 김용석;최원준;허지나;심교문;조세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0-25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생육과 관련된 연평균기온, 생육기 기온, 성숙기 기온, 극최저기온, 저온요구도, 강수량과 같은 기후인자와 심토토성, 침식정도, 배수 등급, 유효토심, 경사도, 자갈함량, 지형과 같은 토양 인자를 선정하여 기후와 토양의 조건을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해 통합한 재배적지 구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배적지는 적지, 가능지, 저위생산지&부적지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전국 면적을 기준으로 적지가 3.43%로 나타났고, 가능지는 10.61%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적지는 경상북도가 1.15%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고, 충청남도가 0.72%와 충청북도가 0.44%로 나타났다. 가능지는 경상북도가 2.67%로 가장 넓었으며, 충청남도가 2.11%, 전라남도가 1.54%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