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ideation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4초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 비교 (Comparative Study on Suicidal Ideation Factors between the Elderlies Living Alone and the Elderlies Cohabiting)

  • 이동노;전동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8-14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행 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제4차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며 2017년 현재 전국 17개 시·도의 일반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0,29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독거노인 10.5%가 자살에 대해 생각해 보았고 성별, 나이, 만성질환 수, 우울증, 차별경험에서 자살생각 정도가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해서 만성질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우울증환자의 조기발견 및 다양한 사회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 민간영역 모두 관심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The Structural Model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Living Alone)

  • 김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9-36
    • /
    • 2018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C 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빈도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산출 및 다중희귀분석, AMOS 통계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0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 까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지지, 사회활동은 자살생각에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족지지는 경제활동, 종교활동, 자원봉사, 지역사회참여에 직접효과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다. 가족지지는 자살생각(자살욕구 ${\beta}=-362$, p=.000, 삶에 대한 부정적 태도 ${\beta}=-.259$,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거노인의 가족지지 및 사회활동을 강화시켜 자살생각을 줄이고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초래하고 관련된 정책수립이 우선적임을 시사한다.

The Impact of Household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Socioeconomic Status on Suicidal Behaviors in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 Kang, Sanggu;Jeong, Yeri;Park, Eun Hye;Hwang, Seung-si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5호
    • /
    • pp.455-463
    • /
    • 2022
  • Objectives: Economic hardship has a serious impact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e financial impact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was more severe for low-income families, and this also impacted adolesc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economic deterioration (ED)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SES) with adolescents' suicidal behavior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hich included 54 9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dds ratios (ORs) of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related to ED and SES were calculat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e calculated relative excess risks due to interaction to assess additive interactions. Results: The ORs for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related to combined severe ED and low SES were 3.64 (95% confidence interval [CI], 3.13 to 4.23), 3.88 (95% CI, 3.09 to 4.88), and 4.27 (95% CI, 3.21 to 5.69), respectively. Conclusions: ED and low 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s in adolescents. Although no significant additive interaction was found, the 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suicidal planning, and suicide attempts were highest among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ies with severe ED. Special attention is needed for this group, considering the increased impact of economic inequalit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사회참여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생활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Social Participation on the Suicide Idea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Depression)

  • 정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5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참여가 노인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생활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복지패널 2차년도 데이터(2010년도)에서 65세 이상의 고령자 약 1,429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AM0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도출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참여가 노인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직접경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의 매개변수를 경유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매개경로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제시된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개입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수면과 자살 (Sleep and Suicide)

  • 윤호경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1호
    • /
    • pp.5-9
    • /
    • 2016
  • Previous research has identified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confer an elevated risk for suicide. Evidence suggests that sleep disturbances are one of the risk factors that predict an increased risk for suicidal behaviors. Both sleep disorders and general sleep complaints are linked to higher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s well as increased rates of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The causal mechanism of this association is not clear. For example, it is not known if insomnia is an independent phenomenon that if interrupted could prevent the emergence of a mental disorder, or if insomnia is a symptom of another developing illness. Hypofrontality, HPA dysfunction, and an impaired serotonergic system are potential mechanisms underlying the association of sleep disturbances and suicidal behavior.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pecific mechanism of this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suicide, which may lead to an effective intervention and diminished suicide risk.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 Using MMPI-2-RF)

  • 남지수;김대호;김은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9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 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 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 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산층 한국인의 생애주기별 자살 충동경험과 위험요인: 비교의식과 관련된 사회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 8차 한국의료패널 자료분석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Class Korean: Focusing on Psychosocial Comparison - An Analysis of a Nationwide Survey of the 8th Korea Health Panel Data)

  • 조아라;강보라;서영주;길은하;오희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class Korean. Methods: Cross sectional study was designed for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8th Korea Health Panel survey (2008~2013), a total of 6,037 data was drawn and analyzed by developmental stag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x^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ross all age groups, high physical-mental stress, frustration, anxiety about the future and low self-perceived health status or social class were found to be the risk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Peer-compare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frust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dolescents. The young adults'suicidal ideation was mainly influenced by physical and mental stress, frustration and absence of economic activity. For the middle-aged, physical and mental stress, frustration, future anxiety, low peer-compare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found to b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The predominant risk factors for the elderly were frustration and low peer-compared subjective health status. Conclusion: Making comparisons to others significantly influence suicidal ideation throughout all life cycles.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suicide prevention can be enhanced by avoiding negative comparison to others.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Adolescents)

  • 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61-268
    • /
    • 2012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파악하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위 및 건강상태 요인을 확인하여 청소년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5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11-18세 청소년 93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자살생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고,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활동 제한, 우울감, 신체 활동의 정도 등으로 확인되었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 중학생에 비교해 고등학생인 경우가 자살생각 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감이 있는 경우에 자살생각 위험성이 높았다. 여자 청소년에서는 활동 제한이 있는 경우와 흡연 경험이 있는 경우, 우울감이 있는 경우, 그리고 1주일 간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가 자살생각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남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건강행위 및 건강상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을 제안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Drinking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Analysis by Gender and Age Groups

  • Lee, SunMin;Shin, Young-Chul;Shin, Dong-Won;Oh, Kang-Seob;Jeon, Sang-Won;Kim, Eun-Jin;Cho, Sung Joon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1-97
    • /
    • 2020
  • Objective : The suicide mortality rate among Koreans was ranked first among the OECD countries in 2018. Alcohol consumption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suicidal behavio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subjects' drinking habits and the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ethods : The data of 113,602 people who visited the Kangbuk Samsung Hospital Health Screening Center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4 were used. The severity of subjects' harmful drinking habits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harmful drinking and suicidal ideation was compar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 also examined the tendency through p for trend to identify a trend. Results : Of the 113,602 study subjects, 6,586 (5.8%) responded that they had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marriage, education, body mass index (BMI),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harmful drinking, the higher the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depression and anxiety, the severity of drinking could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 서성이;김희숙;김양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5-254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Methods: The subjects were 176 people with mental disorder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university hospital psychiatric outpatient departments. The instruments used included a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a self-esteem scale, a spiritual well-being scale, a family support scale, and a professional support scal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icidal ideation was influenced by age, history of suicidal attempts,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This study shows that suicidal ide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ag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history of suicidal attempts, and age accounted for 30% regard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Conclusion: The lower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age, the higher suicidal ideation. And also suicidal ideation was higher in people who had attempted suicide than in those who had not.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emphasizes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in order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in young people with mental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