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contents

검색결과 2,080건 처리시간 0.026초

홍고추 생육시기별 기상여건과 내적품질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Fruit in Different Growing Periods)

  • 조병철;박권우;강호민;이우문;최정숙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7-72
    • /
    • 2004
  • 한국 고추 주산지에서 '금탑', '부강' 품종을 1998년과 1999년에 재배하여 4회에 걸쳐 홍고추를 수확하였다. 과실 내적품질로 환원당, capsaicinoids, 비타민C 함량을 측정하여 고추 성장기간의 온도, 강우량, 일조시간의 기상여건과 상관을 살펴보았다. 고추의 환원당 함량은 늦게 수확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Capsaicinoids 함량은 수확시기별, 년도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은 품종보다 기상여건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기상여건과의 고추 성분별 상관은 환원당 함량에서는 수확 전 강우량과 음의 상관을, 일조시간과는 높은 양의 상관이 있었다. Capsaicinoids와 비타민 C 함량은 수확 전 강우와 음의 상관이 나타냈는데, 비타민 C의 경우 두 품종 모두 비교적 높은 결정계수($R^{2}$ 값)를 보였다.

설탕 대체 당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Jam Replacing Sucrose with Different Sugar Substances)

  • 황은선;뉴안도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88-896
    • /
    • 2014
  • 설탕과 설탕 대체 감미료를 첨가하여 아로니아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잼에 대한 이화학적 제품특성,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설탕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수분 함량(28.4~29.5%)은 유사하였고, 올리고당과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의 수분 함량(31.6~32.3%)은 높게 나타났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당의 종류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고당과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의 퍼짐성이 가장 낮았다. 아로니아잼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설탕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올리고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첨가한 당류의 종류와 관계없이 아로니아잼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 향미 및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자일리톨을 첨가한 잼이 비교적 높은 관능적인 선호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리스리톨은 색, 맛, 질감, 향미,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를 함유하는 잼을 제조할 때 자일리톨이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당류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숙성처리에 따른 지황 슬러리의 환원당 및 카탈폴 변화 (Changes in Reducing Sugar and Catalpol Contents of Rehmannia Root Slurry with Aging Treatments)

  • 장귀영;김동휘;박찬흠;신유수;강태수;정헌상;최재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9-564
    • /
    • 2018
  • Rehmannia glutinosa root (R. root) has been used as an traditional medicine, and is important resource for natural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However, R. root contains catalpol which is bitter, and undigested sugars, including stachyose and raffinose, which can cause diarrhea.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reducing sugar from undigested sugars and in catalpol contents in R. root slurry induced by aging treatments. R. root slurry was treated at $10{\sim}70^{\circ}C$ for up to 72 hr; and extracted with a 50% ethanol solution. The catalpol content was analyzed using HPLC-UVD. Reducing sugar content generated from undigested sugars was measured by the Nelson-Somogyi methods, and the reaction rates were calculated from their variation according to aging time and temperature. During the aging treatment, reducing sugar increased and catalpol decreased. Their formation and degradation rates were highest at $50^{\circ}C$ and $30{\sim}40^{\circ}C$, and their rates were $2.05mg/g{\cdot}hr$ and 23.09 to 23.33%/hr,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ging treatment can positively affect the sweetness and digestibility of R. root slurry. Therefore, an aging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he taste and digestibility of R. root.

죽순, 연근, 우엉의 성분분석 - 유리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식이섬유의 조성 -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 Free Sugar, Fatty Acid, Amino Acid and Dietary Fiber Contents -)

  • 한수정;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2-87
    • /
    • 199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 and free sugar, fatty acid, amino acid compositions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Bamboo shoot contained 3.05% of proteins, 0.48% of lipids, 2.45% of fibers, which were larg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lotus root and burdock). Burdock contained more sugars than the others as 18.64%. On a dry matter basis, total dietary fiber by Prosky AOAC method were 62.5% for bamboo shoot, 17.9% for lotus root and 41.9% for burdock. Therefore, the content of dietary fiber in bamboo shoot was the most abundant among them. Free sugar content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of the sample were analyzed by HPLC. Sucrose was the most abundant in both bamboo shoot and lotus root, and the content of fructose and sucrose in burdock were almost same. The major fatty acids in bamboo shoot, lotus root and burdock analyzed by GC were palmitic and linoleic acid. Also, linolenic acid were abundent only in bamboo shoot.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Iysine were the most abundent amino acids in the sample. Bamboo shoot contained large percentage of protein, the sweet-tasting amino acids and lipid than the other samples. Therefore bamboo shoot can be used as a flavor material because they contain plenty of the sweet-lasting amino acid and free sugar. Bamboo shoot and burdock can be used as potential source of dietary fiber because of the high content of dietary fiber in those samples.

  • PDF

수집 재래 검정콩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Soybean Seeds Collected in Korea)

  • 김석동;김용호;홍은희;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
    • /
    • 1993
  • 우리나라에서는 특수한 용도로 이용되어온 수집 검정콩 및 기타 유색콩 1,081점에 대한 종실의 주요 품종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이와 관련된 몇가지 형질들에 관한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수집 검정콩 유전자원 1,081점의 조단백, 조지방, 전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1 ~ 48.0% (평균 39,8%), 조지방은 14.1~ 23.8 (평균 20.1%)이었으며 전당함량은 8.3~12.1% (평균 10.1%)의 변이를 보였다. 이들 화학성분을 성숙군별로 나누어 비교하면 대체로 조생종일수록 조단백 함량치가 높은 반면 전당은 만생종일수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녹색자엽을 가진 수집종이 황색자엽 보다 종실의 당함량이 높고, 소비자의 선호도도 높아 밥및콩 육성시 중요한 형질일 것으로 판단된다. 수원 15005 등 5계통의 평균 지방산 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 비율은 84%였다.

  • PDF

제주산 감귤류차의 제조와 그 특성 (Proccessing of citrus-tea and its characteristics)

  • 고정삼;양영택;김용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3
    • /
    • 1996
  • Total carbohydrates of Kumquats was 14.69% Kumquats, Citrus natsudaidai, and C. platgmama contained 18.3, 11.1 and 13.0%, of soluble solids, and 42.39, 32.09 and 20.13mg/100g, of vitamin C, respectively. Acid contents of C. natsudaidai and C. plafmama harvested on March 1995 in south Cheju were 2.52% and 0.89% . In preparing of Kumquats-tea, combination of 50% honey and sugar, 5% oligo-sugar, 32% Kumquats slice, 13% juice of C. natsudaidai were the best recipe for sensory evaluation. In C. natsudaidai-tea, combination of 5∼10% peel slice treated at 90$^{\circ}C$ for 1min, 50∼60% concentration of sugar and 35∼40% of flesh of C. natsudaidai were good. for sensory evaluation. Microbial growth was not observed in the sterilized products for more than one month at 30$^{\circ}C$.

  • PDF

발포성 포도주의 생산에 고정화 효모의 이용 (Using of Immobilized Yeast Cells for the Production of Sparkling Wine)

  • 이용수;이건표;최진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6-190
    • /
    • 199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immobilized yeast cells in sparkling wine production instead of riddling puns by the traditional metho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tested during the sparkling wine fermentation in the bottle using immobilized yeast cells with alginate. The rates of sugar consumption and alcohol production were faster with free cells than those with immobilized cells during the fermentatio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yeast cells and the lower concentration of alginate in the cell immobilization resulted in the faster sugar consumption and alcohol production. It also resulted in the increase of yeast cell concentration released from immobilized beads during the fermentation. However, no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contents of alcohol, residual sugar and CO2 pressure after fermentation. In case concentration of yeast cells released from immobilized beads during bottle fermentatio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lginate had and the lower had.

  • PDF

유자의 종류별 수확시기에 따른 유리당, 헤스페리딘, 나린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 변화 (The Change of Free Sugar, Hesperidine, Naringin, Flavonoid Contents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Yuza Variety according to Harvest Date)

  • 황성희;장재선;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1-1058
    • /
    • 2014
  • 재래유자(C. junos I), 개량종 I(C. junos I+Poncirus trifoliata), 개량종 II(Citrus junos I+C. junos II) 세 가지 유자의 종류별 수확시기에 따른 유리당, 헤스페리딘, 나린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고혈압 활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산도는 감소하고 당도는 증가하여 당산비는 증가하였고, 포도당, 서당은 수확시기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과당은 유자가 충분히 익는 11월에 급격히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개량종 II는 10월 수확한 과피에서, 재래종은 10월 수확한 과즙에서 다른 품종보다 총 플라보노이드가 높았으며, 유자 과피의 hesperidin과 naringin은 유자가 미성숙했을 시기인 7월에 가장 높았고, 급격히 감소하고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중에서 hesperidin과 naringin이 차지하는 비율도 미숙과인 7월보다 11월에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효과는 과즙과 과피에서 모든 수확시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즙보다 과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품종별, 수확 시기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제철 11월에 수확한 재래종 과피에서 ACE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hesperidin과 naringin을 이용하고자 할때는 미숙과를, 당도나 ACE 저해 효과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완숙과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김 부산물로부터 Porphyran의 추출 및 품질특성 (Extra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phyran from Laver(Porphyra yezoensis) Waste)

  • 김선재;마승진;장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6-450
    • /
    • 2005
  • 시판김, 변색김 그리고 폐기용 김의 수분함량은 12.1%, 14.2% 그리고 12.3%,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35.7%, 31.7% 그리고 35.2%, 단백질 함량은 32.1%, 33.4% 그리고 32.5%, 지방 함량은 4.2%, 5.4% 그리고 4.3%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15.9%, 15.1% 그리고 15.7%를 나타냈다. 비타민 C의 경우 시판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 그리고 폐기용 김은 34.4 mg%를 나타내, 비타민 C 함량은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이 변색 김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의 경우는 시판 김이 15.6%, 변색 김이 13.4% 그리고 폐기용 김이 15.7%를 나타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의 총당이 거의 동일한 함량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시판 김과 변색 김 그리고 폐기용 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총당 함량은 시판 김 porphyran이 54.5%, 변색김 porphyran은 45.7%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56.2%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지만 변색 김에서는 그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으로 표현하였는데 시판 김 porphyran은 17.6%, 변색 김은 13.9% 그리고 폐기용 김은 17.3%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함량은 각각 12.3%, 12.4% 그리고 12.1%로 동일한 값을 나타냈다. 김 제품으로부터 추출된 3,6-anhydrogalactose은 시판 김 porphyran이 13.8%, 변색김 porphyran이 9.1% 그리고 폐기용 김 porphyran은 13.9%를 나타내어 시판 김과 폐기용 김에서 추출한 porphyran의 3,6-anhydrogalactose는 거의 같은 수준으로 들어 있으며 시판 김과 폐기용 김 porphyran의 화학 조성과 함량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뽕잎의 당침 및 유산발효에 의한 추출물의 기능성 품질 특성 (Function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acts by sugar-leaching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류일환;권태오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4-172
    • /
    • 2013
  • 이 연구는 뽕잎을 전통방식의 당침 추출액과 Lactobacillus plantarum TO- 2100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발효 추출액의 기능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당침 추출액은 12주 동안 추출하였으며, 유산발효 추출액은 8주간 추출하였다. 당침 추출액 및 유산발효 추출액의 수율은 각각 27% 와 166% 였으며, 당 함량은 각각 43 $^{\circ}Brix$와 33 $^{\circ}Brix$였다. pH와 총 산도는 4.6, 0.45% 와 3.6, 1.17%였다. 유산발효 추출액의 유산균 생균수는 $1.2{\times}10^{10}$ $CFU/m{\ell}$으로 당침 추출액의 $2.8{\times}10^2$ $CFU/m{\ell}$ 보다 월등히 많았다. 유산발효 추출액이 amylase, cellulase, pectinase, protease 등 분해효소의 활성을 보인 반면, 당침 추출액은 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기산의 경우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의 함량은 당침 추출액이 높은 반면, lactic acid 의 함량은 유산발효 추출액이 2.6배 높았다. 당침 추출액의 유리당은 glucose (200.93mg/g), fructose (236.32mg/g), sucrose (18.41mg/g) 등 GI값이 높은 단당으로 구성된 반면, 유산발효 추출액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지 않았다. 기능성 성분인 polyphenol, anthocyanin 및 당질대사 저해물질인 piperidine alkaloid의 함량 또한 유산발효 추출액이 당침 추출액보다 높았다. 당질대사의 주 효소인 ${\alpha}$-glycosidase의 활성을 당침 추출액이 3.4% 저해한 반면 유산발효 추출액은 16.2%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전통방식의 당침 추출법에 비해 유산발효 추출법이 뽕잎의 수율 향상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 증진에 더 효과적이며, 이로 인한 대사기능장애의 예방 및 기능증진에 더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