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Intake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시판음료의 영양성분, 당도 및 pH 평가 (Assessment of Nutrient and Sugar Content and pH of Some Commercial Beverages)

  • 전미경;이덕혜;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64-471
    • /
    • 2016
  • 음료 섭취의 증가는 비만, 당뇨, 심혈관계질환 등 각종 성인병 발생과 같은 전신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아침식증과 같은 구강질환의 원인으로도 구강건강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에 있어 음료 선택 시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된 영양성분 및 위험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7종 52개로 탄산음료 14제품, 혼합음료 13제품, 과채 음료 11제품, 유음료 5제품, 과 채주스 4제품, 액상커피 3제품, 액상차 2제품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음료의 영양성분표시, 당도,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영양성분표에 의한 음료 1회제공량 당 당류의 함량 분석결과, 유음료가 26.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액상차가 13.0 g으로 가장 낮았다. 당류의 에너지 섭취량을 10% (50 g)미만으로 분석한 결과, 유음료와 탄산음료가 각각 53.2%DV, 50.0%DV로 1회 제공량 당 50% 이상의 당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 조사에서는 유음료가 18.3%로 가장 높았으며, 과 채주스 12.2%, 탄산음료 10.3%, 액상차 9.7%, 과 채음료 9.0%, 혼합음료 8.0%, 액상커피 6.5% 순이었다. 음료의 pH측정 결과 탄산음료가 3.0으로 가장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음료는 6.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구강보건교육 시 영양교육에 있어 영양표시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 및 음료 섭취에 따른 구강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알맞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곡식 혼식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Grain Diets on the Growth of Albino Rats)

  • 김숙희;김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4호
    • /
    • pp.177-187
    • /
    • 1972
  • 곡식의 혼합비율은 백미에 보리쌀과 밀쌀을 각각 15%, 30%, 45%의 비례로 혼합하였고 비교군으로써 순백미군과 20% sugar casein diet를 두어서 총 8 group 으로 나누었다. 흰쥐 생후 $45{\pm}5$ 일(日) 된 albino rat로써 initial body weight 가 male이 $58{\pm}2\;g$, female이 $62{\pm}2\;g$ 이 되는 80 마리의 쥐를 8 군으로 하여서 한 군에(female 5, male 5)씩 나누어서 총 14주일 사육하였다. 성장율, 식이섭취량, F.E.R. P.E.R. 를 비교하여 보면 순백미 또는 백미에 보리를 혼합한 군보다 백미에 밀쌀을 섞은 군이 더 좋은 성장율과 F.E.R. 및 P.E.R. 을 나타내 주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male군인 경우 female군보다 더 현저하나 nitrogen retention 에 역시 밀쌀 혼합군이 백미군이나 백미에 보리쌀을 혼합한 군보다 현저히 우수함을 볼 수 있으며 몸무게 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곡류 diet 에서 배설된 nitrogen 중 $10{\sim}20%$가 변으로 배설되는 반면 표준군인 경우 nitrogen 이 거의 urine 으로 배설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곡류식인 경우는 함유된 단백질이 동물성 단백질식이에 비해 소화흡수되는 율이 저조하다. 혈청내 glucose 는 몸무게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cholesterol 은 표준군이 곡류 diet 보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이 감소했으나 esterified cholesterol 과 free cholesterol 의 비에서 보면 곡류식이군이 표준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nitrogen 의 배설 상태 및 몸무게증가현상으로 미루어 밀쌀 혼합군이 보리쌀 혼합군보다는 우수하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복숭아 품종별 페이스트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Analysis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using pastes from different peach varieties)

  • 정경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26
    • /
    • 2018
  • 본 연구는 저장성이 낮아 폐기되는 복숭아를 활용하여 고추장을 담금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당도, 염도, 환원당, 회분 및 열량은 시판 고추장에 비하여 복숭아 고추장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산도 및 수분은 복숭아 과육의 높은 유기산 및 수분의 함량으로 다소 높은 결과를 얻었다. 유리당 함량의 비교에서 glucose는 시판 고추장이 복숭아 고추장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지만, fructose와 maltose는 복숭아 고추장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3대 영양소의 함량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에서 시판 고추장의 함량이 높았으며, 지방은 복숭아 고추장의 함량이 높았다. 무기원소의 함량은 나트륨과 마그네슘에서 시판 고추장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칼륨 함량은 복숭아 고추장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증류수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페놀 함량에서 복숭아 고추장의 에탄올 추출물이 시판 고추장의 추출물 보다 더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을 비교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증류수 추출물에서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복숭아 품종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시판고추장에 비해 품질이 높게 나타나 상품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담금 조건, 관능적 특성, 숙성 기간 및 유통 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요망되었다.

식이 당 대체제인 자일리톨의 구강건강 증진에 미치는 다양한 효과 (The Various Effects of Xylitol as a Dietary Sugar Substitute on Improving Oral Health)

  • 황윤숙;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7-113
    • /
    • 2022
  • 현재까지, 식이 당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대체당으로서 자일리톨의 치아우식증에 대한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총설논문에서는 자일리톨의 구강건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일리톨의 치아우식증 예방 기전, 치아우식증 예방, 치아우식증 유발균의 모자전염 예방, 노인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이 정리되었다. 식품에 함유된 탄수화물 및 식이 당은 구강 내에서 산을 생성하는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치석 및 산을 생성하여 치아우식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 대부분은 자일리톨을 대사하여 산을 만들어 낼 수 없다.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에 의한 비대사성 대사물로서 세포 내에 축적된 자일리톨은 S. mutans의 성장을 억제하고 치석 형성을 억제하여 치석과 타액 중 S. mutans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자일리톨은 치아의 재광화(remineralization) 과정에 작용한다. 자일리톨은 치아우식증 예방, S. mutans의 모자감염 예방, 노인의 충치예방 및 타액분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자일리톨은 남녀노소 구분 없이 구강건강에 효과적이며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자일리톨의 과량섭취에 따른 부작용과 구강 및 장내 환경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검토가 필요하다.

섬유소 공급원이 면양의 저작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Sources on Chewing Activity in Sheep)

  • 김명화;이상락;서인준;맹원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39-646
    • /
    • 2007
  • 본 연구는 섬유소공급원 7종, alfalfa hay cube (AHC), corn cob(CC), corn silage(CS), cotton seed hull(CSH), peanut hull(PHL), rice straw (RS), sugar cane bagasse(SCB)이 면양에서의 저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균체중 37.1 kg인 Corridale종 수컷 면양 5두를 공시하여 실험기간동안 각각의 섬유소공급원 45%와 corn-based 사료 55%의 비율로 하여 1일 2회(09:00, 21:00) 총 800g(dry matter basis)을 급여하였다. 저작횟수는 CC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SH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p<0.001), 그 외의 구에서는 중간정도였다. 반추소비시간은 RS구와 CC구가 각각 352분과 367분으로 높게 나타났다. kg NDF 섭취당 저작횟수는 CC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kg NDF 섭취당 반추소비시간은 CSH구(p<0.001)를 제외하고 다른 구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입자도의 분포는 RS구에서 더 길었으며 PHL구에서는 더 짧게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유소 공급원에 따라 저작행동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섬유소 공급원에 따른 저작행동을 반추가축의 사료설계에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장영양과 중시정맥영양을 공급받는 외과계 수술 환자의 과대사 정도에 따른 영양 섭취량 및 생화학적 검사 결과 (The Outcome of Nutrition Support of Surgery Patients with Hypermetabolic Severity by Total Parenteral Nutrition and Enteral Nutrition and Biochemical Data)

  • 라미용;김은미;조영연;서정민;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9-297
    • /
    • 2006
  •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 intake and changes in laboratory data of surgery patients with hypermetabolic severity on nutrition support. From January 2002 to September 2002, 66 hospitalized surgery patients who had received enteral nutrition (EN, n=19) and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n=47) for more than 7 days were prospectively and retrospectively recruited. The laboratory data was examined pre-operatively, and on the post-operative 1, 3, 7 day and at the time of dischar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examined for the hypermetabolic severity, The hypermetabolic scores were determined by high fever ($>38^{\circ}C$), rapid breathing (>30 breaths/min), rapid pulse rate (>100 beats/min) , leukocytosis ($WBC>12,000/{\mu}l$), leukocytopenia ($WBC>3,000/{\mu}l$), status of infecti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surgery and trauma. The scores for the hypermetabolic statu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mild 0-10, moderate 11-40, severe>4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38.3% (n=23), 45.4% (n=30) and 19.6% (n=13) were in the mild, moderate, and severe groups, respectively. There was a decrease in the serum albumin level and weight loss according to the hypermetabolic severity. However, the white blood cells (WBC), fasting blood sugar (FBS), c-reactive protein (CRP), total bilirubin, GOT, and GPT increased. The nutritional intake was TPN (32.5 kcal/kg, protein 1.2 g/kg, fat 0.25 g/kg), EN (28.1 kcal/kg, protein 1.0 g/kg, fat 1.01 g/kg). The serum albumin, hemoglobin and cholesterol were higher in the EN group than in the TPN group. But the FBS, total bilirubin, GOT and GPT were higher in the TPN group than the EN group. In conclus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in the laboratory data and the hypermetabolic severity.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etabolic complications in the TPN group.

Long-term Bias of Internal Markers in Sheep and Goat Digestion Trials

  • De Carvalho, Gleidson Giordano Pinto;Garcia, Rasmo;Vieira Pires, Aureliano Jose;Silva, Roberio Rodrigues;Detmann, Edenio;Oliveira, Ronaldo Lopes;Ribeiro, Leandro Sampaio Olive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65-71
    • /
    • 2013
  • Two digestion trials, one with sheep and another with goa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long-term bias (LTB) of the indigestible dry matter (iDM), indigestible neutral detergent fiber (iNDF) and indigestible acid detergent fiber (iADF) internal markers. The study used eight Santa In$\hat{e}$s castrated male sheep (average body weight of 16.6 kg) distributed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and eight Saanen castrated male goats (average body weight of 22.6 kg) distributed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the animals were housed in 1.2 $m^2$ individual pens with wood-battened floors equipped with individual feeders and drinkers. The animals received isonitrogenous diets that were offered ad libitum and contained 14% crude protein and 70% sugar cane (with 0, 0.75, 1.5 or 2.25% CaO, in natural matter percentage), corrected with 1% urea and 30% concentrate.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experimental periods of 14 d each, with the feed, leftovers and feces sampled on the last four days of each period. The marker concentrations in the feed, leftovers and fecal samples were estimated by an in situ ruminal incubation procedure with a duration 240 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and excretion of the markers was obtained by adjusting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independently from the treatment (diets) fixed effects and Latin squares. For both the sheep and goats, a complete recovery of the iDM and iNDF markers was observed (p>0.05), indicating the absence of LTB for these markers. However, the iADF was not completely recovered, exhibiting an LTB of -9.12% (p<0.05) in the sheep evaluation and -3.02% (p<0.05) in the goat evaluation.

Low HDL cholesterol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therogenic lipoproteins an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classified with metabolic syndrome

  • Fernandez, Maria Luz;Jones, Jennifer J.;Ackerman, Daniela;Barona, Jacqueline;Calle, Mariana;Comperatore, Michael V.;Kim, Jung-Eun;Andersen, Catherine;Leite, Jose O.;Volek, Jeff S.;McIntosh, Mark;Kalynych, Colleen;Najm, Wadie;Lerman, Robert 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6호
    • /
    • pp.492-498
    • /
    • 2010
  • Both metabolic syndrome (MetS) and elevated LDL cholesterol (LDL-C) increase the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We hypothesized that low HDL cholesterol (HDL-C) would further increase CVD risk in women having both conditions. To assess this, we recruited 89 women with MetS (25-72 y) and LDL-C ${\geq}$ 2.6 mmol/L. To determine whether plasma HDL-C concentrations were associated with dietary components, circulating atherogenic particles, and other risk factors for CVD,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high HDL-C (H-HDL) (${\geq}$ 1.3 mmol/L, n=32) and low HDL-C (L-HDL) (< 1.3 mmol/L, n=57). Plasma lipids, insulin, adiponectin, apolipoproteins, oxidized LDL, Lipoprotein(a), and lipoprotein size and subfractions were measured, and 3-d dietary records were used to assess macronutrient intake. Women with L-HDL had higher sugar intake and glycemic load (P< 0.05), higher plasma insulin (P< 0.01), lower adiponectin (P< 0.05), and higher numbers of atherogenic lipoproteins such as large VLDL (P < 0.01) and small LDL (P<0.001) than the H-HDL group. Women with L-HDL also had larger VLDL and both smaller LDL and HDL particle diameters (P<0.001). HDL-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DL size (r=0.691, P<0.0001) and HDL size (r=0.606, P<0.001), and inversely correlated with VLDL size (r=-0.327, P<0.01). We concluded that L-HDL could be used as a marker for increased numbers of circulating atherogenic lipoproteins as well as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who are already at risk for CVD.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 information messages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for smartphone application of an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 Lee, Ji Eun;Lee, Da Eun;Kim, Kirang;Shim, Jae Eun;Sung, Eunju;Kang, Jae-Heon;Hwang, Ji-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47-25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Easy access to intervention and support for certain behaviors is important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available technology such as smartphone applications can be used for intervention regarding healthy food choice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is comprised of stages and processes of change and can be adopted to tailored education for behavioral chang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TM-based nutrition contents for mobile applications intended to change eating behaviors related to weight gain in young children. SUBJECTS/METHODS: A synthesized algorithm for tailored nutrition message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take status of six food groups (vegetables, fruits, sugar-sweetened beverages, fast food and instant food, snacks, and late-night snacks), decision to make dietary behavioral changes, and self-confidence in dietary behavioral changes. The messages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from December 2014 to April 2015. After the validity evaluation of the contents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ailored nutrition information messages and educational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TM. RESULTS: Based on the TTM, stages of subjects are determined by their current intake status, decision to make dietary behavioral changes, and self-confidence in dietary behavioral changes. Three versions of tailored nutrition messages at each TTM stage were developed so as to not send the same messages for three weeks at most, and visual materials such as figures and tables were developed to provide additional nutritional information. Finally, 3,276 tailored nutrition messages and 60 nutrition contents for applications were developed. CONCLUSIONS: Smartphone applications may be an innovative medium to deliver interventions for eating behavior changes directly to individuals with favorable cost-effectiveness. In addition, using the TTM for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for healthy eating is an effective approach.

누에와 누에번데기의 혈청지질에 미친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erum Lipids Levels in Silkworm and Silkworm Pupae)

  • 김은주;이소영;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73-282
    • /
    • 2020
  • 본 연구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가치가 있는 미래의 식량자원인 곤충식품의 산업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최근 10년간(2009년~2019년) 발표된 곤충식품들 중 누에와 누에번데기의 생리활성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혈청 지질 수준 개선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누에와 누에번데기 연구물의 총 편수는 20편이었으며, 총 사례 수는 261개로 산출되었다. 연구단위로 분석한 연구의 수는 총 20개였다. 전체 연구결과의 효과크기는 0.852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95% 신뢰구간의 범위는 0.662~0.999였다. Q 값은 23.264(p<0.001), Higgin's I2 값은 92.217로 각각의 연구가 이질성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관측값과 추정치를 보정한 관측값이 0.654로 동일하게 나타나 출판편향은 없었다. 누에 연구는 혈당과 혈중지질이 각각 0.801, 0.948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그중 LDL-콜레스테롤은 1.371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다. 간 세포 손상(AST/GOT)은 0.768, 만성 간 세포 손상(ALT/GPT)은 0.788로 중간 효과크기였다. 실험기간은 5~8주가 1.170, 섭취량은 1~50 mg/kg이 1.020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다. 누에번데기는 혈중지질과 총 콜레스테롤이 각각 0.991, 0.951로 큰 효과크기였다. 실험기간은 9주 이상이 1.10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였으며, 섭취량은 5001 mg/kg 이상이 0.855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