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8초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우울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Successful Aging,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Among Rural Community Elders Living at Home)

  • 반금옥;한혜자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uccessful aging,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rural elders.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and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272 people who were overn 65 years of age and lived in a rural community. Result: The mean score for successful aging was $2.28{\pm}0.46$ points of a maximum 3 points. The elders showed a moderate degree of family function ($6.98{\pm}2.83$ points out of 10 points).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was $6.13{\pm}3.75$ points out of 15 poi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ccessful aging and both depression (r=-.659, p<.001) and family function (r=.621, p<.001).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verify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Depression was the dominant factor accounting for 43.2% of the total variance, followed by family function and age in that order. Inclusion of all of the study values resulted in an explanation power of 61.7%.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ovision of individual socio-psychological, and economic measures is important to promote successful aging in rural areas which are different in terms of socio-cultural as well as regional factors compared to urban areas.

중년 전·후기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 Age)

  • 홍금희;하주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9-3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aged peopl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40 middle-aged people aged from 40 to 59.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16 to September 30,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Between early and late middle a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of aging anxiety: fear of loss (t=2.93, p=.004), fear of old people (t=-2.33, p=.021), physical appearance (t=2.32, p=.022), and psychological concerns (t=2.04, p=.04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in one subscale of preparation for aging: physical preparation (t=-2.02, p=.045). In early midlife,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reparation for aging and both aging anxiety (r=.56, p<.001) and factors of successful aging (r=.54, p<.001). In late midlife, preparation for aging and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50, p<.001)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ograms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old age in middle-aged people should consider their aging anxiety level and preparation for aging at their stage of life.

중·노년층 남성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Successful Aging of Middle and Old Aged Men)

  • 홍승정;윤미경;이세원;안혜경;유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75-3283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중 노년층 남성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사회적지지, 지역사회 환경, 자기효능감 등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 지역의 50~79세의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분석하였고, 성공적 노화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였으며, 다음은 자기효능감, 지역사회 환경, 주관적 건강의 순이었다. 이들 변인들이 중 노년층 남성의 성공적 노화를 49.5% 설명하였다. 결론: 중 노년층 남성들의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프로그램과 중재에 이들 변인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추후 성공적 노화를 위한 복지와 건강증진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예측요인과 초월감의 매개효과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Mediation Effect of Transcendence)

  • 안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82-5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초월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고령화 사회에서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162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초월감, 자녀관계, 우울, 영성, 주관적 경제수준은 성공적 노화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설명력은 77%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관계, 우울, 영성, 주관적 경제수준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초월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노년기의 초월감에 대해 재조명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Middle-aged Women)

  • 김보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1-99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개 도시에 거주하는 중년 여성 18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7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s,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의 평균 값은 128.49점(범위 33-165점)이었다. 성공적 노화인식은 우울(r=-.20, p=.005)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족탄력성(r=.49, p<.001) 및 삶의 만족도(r=.54,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ss}=-.15$, p=.013), 가족탄력성 (${\ss}=.24$, p=.002), 삶의 만족도 (${\ss}=.37$, p<.001)가 주요 영향요인이었으며, 이 모델은 33.9%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 여성의 성공적 노화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요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댄스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와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참여자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among Matured Aging Attitude, Depression,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Participating in Dance-Oriented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Line Dance and Rhythmic Gymnastics)

  • 신석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69-477
    • /
    • 2020
  • 본 연구는 주요 목적 달성을 위해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성숙한 노화태도, 우울 그리고 성공적 노화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였다. 둘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이 성숙한 노화태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성공적 노화도 높았다. 셋째,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이 우울을 높게 지각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면, 노인들이 신체활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통해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이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중년여성의 노화관리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ging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on Resilience and Successful Aging)

  • 정혜윤;성경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2-40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ging management program on the resilience and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wome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and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39 middle-aged women living in urban areas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22) received the aging management program for a total of 10 weeks, 90 minutes to 120 minutes per week. The aging management program consisted of strategies to enhance the behavior, promotion conditions, and habits of the program,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for middle-aged wom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χ2 tests, independent t-tests,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resilienc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time-to-group interactions (F=3.70, p=0.029). The successful aging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time-to-group interactions (F=5.86, p=0.004). However, the sub-hypotheses of resilience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ccessful aging (physical aging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ge adaptation) were partially accepted. Conclusions: The aging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as identifi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romoting resilience and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women.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the aging care program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communities.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 신영희;이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327-134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수준을 알아보고, 성공적인 노화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며, 또한 의사결정나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 그룹의 특성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대구의 일 동사무소에 등록된 노인 중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설문지 면접을 마친 총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노인은 면담자가 직접 노인 가구를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노화, 우울, 신체적 기능상태, 만성 질환 수, 그리고 친구와의 접촉 빈도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 도시의 노인에서 남성, 고학력, 배우자와 사별하지 않은, 그리고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우울정도가 심하거나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았다. 또한 신체기능과 자가 건강 평가수준이 높거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친구와의 교제가 많을수록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높았다. 우울은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에 따른 취약그룹을 분류하는데 일차적으로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으며,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낮은 노인 그룹은 우울정도가 심하고 신체적 기능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반대로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우울정도가 약하고 신체적 기능상태가 좋은 노인이었다. 우울과 만성질환은 노인이 성공적인 노화를 경험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공적인 노화의 점수가 낮은 그룹의 공통적인 특성이었으므로 노인의 우울과 만성질환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는 재확인하였다.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94-206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50세 이상의 장애노인 506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사사회적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47-56
    • /
    • 2018
  •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65세 이상의 노인 3,910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