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way Station Area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초

Analyzing Public Transport Network Accessibility

  • Jun, Chulmi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4권2호
    • /
    • pp.53-57
    • /
    • 2004
  • Due to the traffic congestion and public-oriented transportation policies of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nd being used increasingly. However, current transport routes configuration is showing unbalanced accessibility throughout the city area creating differences in time, expenses and metal burden of users who travel the same distanc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ransport route planning has been partially empirical and non-quantitative tasks due to lack of relevant methods for assessing the complexity of the transport rout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compute the connectivity of public transport system based o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network of transport routes. The main methodological issue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more transfers take place, the deeper the connectivity becomes making that area evaluated as less advantageous as for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By computing the connectivity of each bus or subway station with all others in a city, we can quantify the differences in the serviceability of city areas based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op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outes network and suggests an algorithm that can automate the computation process. The process is illustrated using a simple artificial network data built in a GIS.

  • PDF

물리적 환경의 고령친화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Aged-friendly Design Guideline in Physical Environment)

  • 이광현;김세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3권12호
    • /
    • pp.85-9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of design guideline for elderly people who can live without inconvenience. It is time to think about how to create an age-friendly city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is rapidly advancing in population aging. Design guidelines studied in this research cover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urban, landscape and transportation fields, and consist of 90 items in 7 areas (park&open space, buildings, pedestrian street, crosswalk&bicycle lane, bus stop&subway station, parking housing).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nd each area were surveyed to verify objectivity. The result of importance of each item can be used to select design guidelines which can be applied first to create an aged-friendly physical environment.

도심지역 지하철 침수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of Subway Flood Inundation in Urban Area)

  • 전근학;서종철;최현구;김지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3-90
    • /
    • 2023
  • 기후변화로 이상강우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폭우로 인한 피해 강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폭우의 발생 빈도가 잦아지면서 폭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이로 인해 도심지역에서는 전에는 없던 큰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하천과 해안 인근 지역이 불투수 지역일 경우에 강우강도가 높아질수록 최대 흐름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에 유역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침수위험도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사의 침수방지 대책으로 평가요소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여 침수위험도 평가를 분석하였다. 종합적인 평가 지수를 고려한 침수 위험도 평가 과정을 거쳐 과거 침수가 발생한 유동인구 및 교통량이 많은 5개의 도시철도역에 대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침수위험 등급(1~4등급)을 설정함으로써 위험등급에 맞는 침수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사용자 이동특성을 고려한 traffic source model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traffic source model considering user's moving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s)

  • 유기홍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1호
    • /
    • pp.1373-1382
    • /
    • 2001
  • 이동통신 텔레트래픽 모델은 Network Traffic 모델과 Traffic Source 모델이라는 두 개의 하부모델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traffic source 모델을 제시하고, 이동통신 트래픽 시뮬레이터인 MobCall을 구현하였다. MobCall은 사용자 이동성을 각 지역별 차량 평균 속도와 수송분담율을 적용하고 있다. 구현된 MobCall을 이용하여 서울 도심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서의 누적 발생 호 수, 교통량에 따른 핸드오프 율, 고속도로에서의 핸드오프 율, 그리고 호 점유 시간 변화에 따른 핸드오프 율을 결과로 제시하였다. MobCall은 기지국에서 사용자 호 패턴에 따른 동적 핸드오프 버퍼링과 같은 기능적 요소를 설계 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Crowd Density in Public Areas Based on Neural Network

  • Kim, Gyujin;An, Taeki;Kim, Moonh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9호
    • /
    • pp.2170-2190
    • /
    • 2012
  • There are nowadays strong demands for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s, which can infer or understand more complex behavior. The application of crowd density estimation methods coul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crowd behavior, improved design of the built environment, and increased pedestrian safe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rowd density estimation method, which aims at estimating not only a moving crowd, but also a stationary crowd, using images captured from surveillance cameras situated in various public locations. The crowd density of the moving people is measured, based on the moving area during a specified time period. The moving area is defined as the area where the magnitude of the accumulated optical flow exceeds a predefined threshold. In contrast, the stationary crowd density is estimated from the coarseness of textures, under the assumption that each person can be regarded as a textural unit. A multilayer neural network is designed, to classify crowd density levels into 5 classes. Finally, the proposed method is experimented with PETS 2009 and the platform of Gangnam subway station image sequences.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Change in the Commercially Gentrified Residential Areas in Seoul, Korea)

  • 이기훈;이수기;천상현
    • 지역연구
    • /
    • 제34권1호
    • /
    • pp.31-47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 특성을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은 단독주택 연면적 비율이 높고 근린생활시설이 많은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고속도로 및 지하철 입구와 대학교 그리고 많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구 집중시설과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어션이 발생한 집계구의 도로 특성은 도로 길이가 길고, 도로 면적이 작으며, 도로망 네트워크의 부분 통합도 값이 크고, 3지 교차로가 많은 집계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이 골목길과 같은 유기적 도로망과 단독주택 위주의 낮은 주거밀도 그리고 인구유발시설과의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변화특성을 살펴보면, 2006년과 비교하여 2014년에 커피숍과 주점이 증가하고 근린생활시설의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점과 한식 음식점의 폐업기간은 2006년과 비교하여 2014년에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에 대한 입지특성과 토지이용변화를 토대로 주거지역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n the Derivation of Safety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s based Integrated System Operation Scenario for the Development of Unmanned Courier Storage Device Platform in Urban Areas

  • Lee, Sang Min;Park, Jae Min;Kim, Joo Uk;Kim, Young 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4호
    • /
    • pp.103-111
    • /
    • 2021
  • In modern society, digital lifestyles are spreading to minimize contact with people and to receive contactless information. The spread trend has established an unmanned distribution system in which transactions through contactless technologies such as kiosks and chatbots are activated in face-to-face transactions with sellers and consumers. In order to streamline logistics supply worldwide, digital new deal based joint logistics hubs, unmanned courier storage platforms, and fresh logistics based last mile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into unmanned logistics systems, focusing on the intelligent logistics system automation process. Unmanned courier storage system installed in urban areas and home to daily logistics where volume is concentrated are provided with fresh logistics services through cold chain and receiving freights in contactless environments. Development is also underway to minimize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urier services, such as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This paper defines the concept of integrated op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contactless unmanned courier storage device developed into next-generation logistics system. In addition, we intend to develop systems engineering-based output for deriving safety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s by identifying risk sources that may occur in the operational scenario. Therefore, the goal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afety and reliability between interfaces of logistics systems to be installed in apartment and subway station environments that want to provide unmanned logistics services to various consumers.

명제논리 기반 서울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 운영기준의 개정효과 분석 (A Spatial Analysis Based on the Amendments in Seoul's 2030 Youth Housing Policy Using Propositional Logic)

  • 김성훈;조현준;최내영;한대정;박민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157-179
    • /
    • 2019
  • 역세권 2030청년주택 정책은 역세권 개발이 서울시 내 임대주택 택지를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는 인식 가운데 기대를 받으며 출범했다. 그러나 임대주택 공급실적은 당초 계획에 미치지 못했고 용도지역체계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결국,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시행 후 3년 사이에 운영기준이 6차례 개정되었다. 특히 2018년 10월 이후에는 1년 이내에 큰 폭의 운영기준 개정이 두 차례 이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사업가능구역과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지난 운영기준 개정의 방향성 평가와 정책적 시사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공간적 범위 및 구역의 도출에는 명제논리를 활용했다. 이를 위해, 가구(街區) 등 기초자료 정제 및 전처리, 명제별 진리 값 입력, 논리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사업가능구역 및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 소속여부를 판별했다. 분석 결과, 1) 사업가능구역은 서울시 외곽의 역세권으로 고르게 분산되면서도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2)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은 준주거지역 변경 가능구역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증가추세가 두드러졌다.

철도역사 편의점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 스토리웨이(Storyway)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Determinants for the Sales of Railroad Convenience Stores - With Focus on the Convenience Store "Storyway" -)

  • 김용래;백성준
    • 부동산연구
    • /
    • 제28권1호
    • /
    • pp.7-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철도역사내에서 영업 중인 스토리웨이 편의점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함이다. 기존 선행연구는 주거 상업지역 또는 도로변에 위치한 편의점 위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철도교통로 인한 철도역사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 편의점은 전국 198개 역사 내에서 운영 중인 스토리웨이 301개이며 전국과 수도권으로 구분하여 더미변수와 헤도닉 가격 모형 함수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철도이용인원과 점포 면적은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다른 브랜드 경쟁 편의점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ktx정차역 등 국철역이나 전철역 등 철도역사 형태는 매출액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며, 환승여부에 따라 미 환승역이 다른 환승역보다 매출액이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점포 위치에 있어서도 승강장과 연결통로에 위치한 점포는 맞이방이나 광장에 위치한 점포보다 매출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현재 국내의 편의점은 과다 경쟁으로 인하여 쇠퇴기에 들어간 시점에서 향후 철도역사내 편의점 창업시에는 철도이용인원과 면적, 경쟁점, 환승여부, 그리고 맞이방이나 광장 등 고객이 가시성이 좋은 곳에서 창업을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지닌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보행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 of Walking Environment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김숙희;이규진;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31-938
    • /
    • 2014
  • 본 연구는 효율적인 보행로 관리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지이용 특성이 반영된 보행로 유형에 따라 보행자가 인식하는 보행환경 만족도의 평가척도는 다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보행로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신도시, 구도심, 상업지, 지하철역, 하천 공원에 대한 보행로별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각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보행환경 평가모형을 수원시 일부 보행로에 적용한 결과, 본 모형은 현상을 비교적 현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의 보행환경 개선 우선순위 결정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