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mandibular Gland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3초

Questionable Reliability of Malondialdehyde to Measure Oxidative Stress in Sjögren's Syndrome: Preliminary Study

  • Lee, Kyung-Eun;Jung, Won;Suh, Bong-Jik;Cha, Seungh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5권4호
    • /
    • pp.89-96
    • /
    • 2020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malondialdehyde (MDA), lipid peroxidation marker for oxidative stress (OS), in autoimmune Sjögren's syndrome (SjS) by utilizing the SjS-prone C57BL/6.NOD-Aec1Aec2 (B6DC) mouse and the SjS patient plasma samples. Methods: The MDA concentrations in the lysates of the submandibular gland, liver, and serum samples from the SjS-prone B6DC mouse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57BL/6J as a control. A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ssay kit was used to measure MDA. Plasma samples from five SjS patients and five control subject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MDA concentrations in experimental animals and contro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lasma of SjS patients and of controls. Conclusions: The expression of MDA was investigated in the organs from the SjS-prone B6DC mouse for the first time and in the plasma samples of SjS pati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SjS and control samples when MDA was the target molecule with the TBARS assay. MDA may not be a reliable marker to measure OS contrary to the published studies involving OS of SjS.

파노라마 촬영시 두경부 주요기관에 대한 흡수선량 분포 (DISTRIBUTION OF ABSORBED DOSES TO THE IMPORTANT ORGANS OF HEAD AND NECK REGION IN PANORAMIC RADIOGRAPHY)

  • 김병삼;최갑식;김진수
    • 치과방사선
    • /
    • 제20권2호
    • /
    • pp.253-264
    • /
    • 1990
  • PanelipseⅡ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시 두 경부 주요기관의 방사선 흡수선량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LiF(TLD-100/sup R/) 열발광선량계를 phantom (RT-210 Humanoid Head & Neck Section/sup R/)내부의 중요 해부구조물과 피부표면에 위치시켜 관전류 4㎃와 노출시간 20초의 조건하에서 관전압변화(65kVp. 75kVp, 85kVp)에 따른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내부해부구조물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비인강부위에서 104mGy, 1.065mGy, 2.09mGy로써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하선의 내엽부위에서는 0.525mGy, 0.579mGy, 1.108mGy로, 악하선부위에서는 0.481mGy, 0.608mGy, 1.191mGy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85kVp에서만 흡수선량이 측정된 안구와 갑상선부위는 0.172mGy와 0.128mGy로써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피부표면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제1경추 후방부위에서 1.263mGy, 1.538mGy, 2.952mGy로써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하선부위에서는 0.267mGy, 0.401mGy, 0.481mGy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인중부위는 0.057mGy, 0.068mGy, 0.081mGy, 85kVp에서만 흡수선량이 측정된 턱의 중앙부위는 0.059mGy로써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내부해부구조물의 방사선 흡수선량 증가는 65kVp에서 75kVp로 증가함에 따라 1.1배로 나타났으며, 76kVp에서 85kVp로 증가시에는 1.9배로 나타났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피부표면의 방사선 흡수선량 증가는 65kVp에서 75kVp로 증가함에 따라 1.3배로 나타났으며, 75kVp에서 85kVp로 증가시에는 1.6배로 나타났다.

  • PDF

두경부의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박준식;설대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4
    • /
    • 1981
  • 1859년 Billroth가 부비동에 발생한 종양을 "Zylindrome" 이라고 처음 명명한 이후 cylindroma, basaloma, basaloid adenoma, cribriform adenocarcinoma등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adenoid Cystic carcinoma라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양은 주로 두경부의 타액선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그외 기관, 폐, 유방, 피부 등에서도 드물게 생긴다고 한다. 이 종양은 근치수술과 같은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후에도 국소재발이나 원격전이가 많으며 방사선 치료로서 완전치유는 불가능 하나 종양의 축소와 동통의 소실등 경감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여 주는 것이 그 특징이다. 저자들은 1963년 1월부터 1980년 l2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서 진단받은 adenoid cystic carcinoma 44례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기간의 두경부 악성종양중 3.8%를 차지하며 타액선 악성종양중 40%였었다. 2) 가장 흔한 원발장소는 구개, 악하선으로 각각 8례이며 그외 상악동이 6례 비강이 5례, 이하선, 설부위가 각각 4례였다. 3) major gland가 13례(31%), minor gland가 29례 (69%)였 다. 4) 성별은 남자 21례, 여자 23례로 남여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5) 연령빈도는 19세에서 78세 사이로 평균 연령은 50세 였다. 6) 초친시 종양의 크기는 4∼6cm가 10례로 가장 많으며 임상적 경부 임파전이가 7례, 원격전이가 1례 였다. 7) 27례에서 근치수술을 시행 하였으며 이 중 14례는 수술과 방사선 병용 요법을 시행하였다. 8) 추적 관찰이 가능 하였던 29례에서 gross 3-year survival은 27.6%, determinate 3-year survival은 44.4%였다. 이 중 근치수술 받은 12례 있어서 3-year survival rate는 58%였다. 9) 29례중 10례에서 치료후 국소 재발을 보였다. 치료와 국소 재발 간의 기간은 3개월에서 88개월이며 이중 3례는 5년 이후였다. 10) 치료후 원격전이를 보인 것은 3례이며 전이장소는 모두 폐 였다.

  • PDF

갑상샘 암종을 가진 개에서 조절 T 세포의 증가 (Increased Regulatory T cells in Thyroid Adenocarcinoma in a Mixed Breed Dog)

  • 김준환;홍연정;김범석;김윤혜;박진호;정태호;박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82-485
    • /
    • 2013
  • 6년령의 개가 오른쪽 턱 밑의 종괴와 고체온증으로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CT 촬영을 진행하였으며 3D 재구성을 실시하였다. CT 촬영 후 수술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제거 후 조직검사를 실시한 결과 거대세포 갑상샘 암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환자의 혈액 중 조절 T 세포의 비율을 보기 위해 흐름세포측정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38.28%로 정상인 개(8마리 정상 비글견에서 조사한 결과 $7.66{\pm}1.65%$ (P<0.01))에서 보다 높게 나왔다. 보호자가 항암치료는 원하지 않아서 실시하지 못하였으며 수술 7일 후 다시 재발하였으며 혈액검사 결과 심한 백혈구 증가증 및 비재생성 빈혈이 나타났다. 또한 폐전이 부위로 의심되는 부위가 악화되었으며 결국 심한 빈혈과 호흡곤란으로 폐사하였다.

반대측 경부 림프절로 전이된 초기 설암의 치험례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F EARLY TONGUE CANCER : A CASE REPORT)

  • 권명희;김성일;김평수;임대호;신효근;고승오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376-379
    • /
    • 2009
  • Likely to be the most common oral cancer, squamous cell carcinoma(SCC) of the tongue accounts for about 20% of all oral and pharyngeal cancers. SCC of the tongue frequently arises in the lateral border, and if it metastasize, it occurs on submandibular gland and neck lymph nodes. Location of the primary lesions and neck lymph node metastasis affect the prognosis and decreas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tongue. The authors experienced the patient with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f SCC of the tongue. The patient came to our department with chief complaint of elevated lesion on left lateral border of the tongue. The mass was diagnosed as $T_2N_0M_0$, Stage II invasive SCC of oral tongue. Computed tomography(CT) &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hich were taken before the operation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 of metastasis. Surgical mass removal and preventive neck dissection on the left side were done. While follow up PET/CT,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right side, level II) was detected, and re-operation(Rt. side RND) was done.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the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related with SCC of the tongu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the uncommon case of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ccurred in the $T_2$-stage of SCC of the tongue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의치 구내염 환자에서 분리한 Candida albicans의 아크릴 수지에 대한 부착성과 타액 단백질과의 상호 관계 (ADHESION OF CANDIDA ALBICANS ISOLATES TO ACRYLIC RESIN IN RELATION TO SALIVARY GLYCOPROTEINS IN DENTURE STOMATITIS PATIENTS)

  • 오정환;최부병;최대균;우이형;이성복;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98-713
    • /
    • 1999
  • Adherence of Candida albicans(C. albicans) to the surface of a denture is believed to be an initial and essential step in the formation of denture-induced stematitis. Previous studies have provided enormous info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of palatine gland/parotid saliva and upper denture stomatitis. Relativel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correlation between lower denture stomatitis and sublingual-submandibular ( SLSM ) saliva. The plaq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two sites($100mm^2$) on the inner surface of lower partial denture corresponding to the stematitis and healthy region of the lower partial dentures of 12 denture stomatitis patients and 6 nor-mal persons who wore lower partial dentures. The samples were plated to isolate C. albicans on a selective Saboraud's dextrose agar plate and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germ tube test and gram staining.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 I (stomatitis with C. albican), group II (lesion without C. albicans), group III (no lesion but C. albicans), and group IV (normal and healthy denture wearer). Individual SLSM saliva($20{\mu}g$ of protein) was analyzed by SDS-PAGE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ith Coomassie brilliant blue and PAS(Periodic Acid Schinff) stain-ing. The salivary proteins separated in the polyacryamide gels were subjected to immunoblot anaysis using anti-lactoferrin, anti-sIgA, and anti-secretory component of sIgA. In this study using custom made acrylic denture resin beads(5mm in diameter) coated with stimulated individual SLSM saliva, the binding ability of individual C. albicans strains to the beads was observed. Levels of C, albicans adhered to the acrylic resin bead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optical density of the bound C. albicans to the beads at 580nm. The results showed that a higher number of C. albicans was observed in the lesion site than healthy site. The saliva of group I contained more high molecular weight glycoprotein(mucin, MGI) as compared to group II, III and IV. And lactoferrin and sIgA affected to the binding ability of C. albicans to acylic resin beads. Binding ability of individual C. albicans to the acrylic resin coated with respective individual saliva was found to be greater in group I than the other 3 groups. And when bound cells of C. albicans isolated from individual subject #2 to the saliva coated beads were used binding ability of subject #2 saliva coated beads was founed to be greater than the other sutjec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enture induced stomatitis is related to individual patient's salivary protein composition, especially MG-1. Future studies will be directed toward saliva exam-ination of patients who have general disease and analysis of pellicles formed on prosthesis with respect to oral disease.

  • PDF

스트레스와 관련된 내분비계 변화가 백서 악하선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ffect of Endocrinological Changes related to the Stress on the Submandibular Gland in Rats)

  • 장봉열;김성훈;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3호
    • /
    • pp.279-289
    • /
    • 2000
  • 현대에는 날로 복잡해지는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그로 인한 면역계, 신경계 또는 각종 장기의 기능이상이 점차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 중 구강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다수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임상적으로도 방사선 타액선 기능 검사에서 타액선, 특히 악하선의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 다. 더욱이 이는 타액선 조영술에서 이미 보고된 바 있는 면역성 질환인 $Sj\ddot{o}gren$ 증후군과는 다른 양상으로 관찰되고 있어, 이에 본인은 백서에 스트레스와 관련이 깊은 내분비적 환경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이와같은 변화가 악하선 조직의 병리적 변화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 지를 관찰하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생후 7주된 Sprague-Dawley계 웅성 백서(165-209g/bw) 40마리를 2 개의 실험군(부신 제거군 : ADX 군, 부신 제거 후 dexamethasone 투여군 : DEX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ADX 군은 외과적으로 부신을 제거한 후 다른 조건을 부여하지 않았고, DEX 군은 외과적으로 부신을 제거한 후 매일 dexamethasone($1.5*10^{-46}mg/g$ I.V./day)을 투여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실험 후 즉시, 1일, 3일, 5일, 7일에 희생시켰다. 그 후에는 즉시 악하선을 적출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Clusterin의 발현 정도 및 부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광학현미경 하에서, 양 군 모두 유의할만한 조직학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ADX 군에서는 실험기간 전반에 걸쳐 도관세포와 선포세포에서 clusterin이 발현되었다. 3. DEX 군에서는 소수의 선세포에서 국소적으로 clusterin이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도관세포, 선포세포에서 공히 clusterin이 관찰되지 않았다. 부신을 제거한 군에서는 실험기간 전반에 걸쳐 clusterin이 발현되었는데, 이는 clusterin이 스트레스의 생리적 반응의 결과로서 세포보호작용을 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볼 때, 부신을 제거하였을 때도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와 같은 영향이 백서의 악하선에 가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부신제거후 glucocorticoid agonist인 dexamethasone을 투여하였을 때, clusterin이 감소 내지 관찰되지 않았던 것은 부신제거에 의해 악하선에 가해졌던 영향을 dexamethasone이 길항하여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어, 스트레스에 의해 부신으로부터 분비되는 glucocorticoid가 타액선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

  • PDF

Induction of Anti-Aquaporin 5 Autoantibody Production by Immunization with a Peptide Derived from the Aquaporin of Prevotella melaninogenica Leads to Reduced Salivary Flow in Mice

  • Ahreum Lee;Duck Kyun Yoo;Yonghee Lee;Sumin Jeon;Suhan Jung;Jinsung Noh;Soyeon Ju;Siwon Hwang;Hong Hee Kim;Sunghoon Kwon;Junho Chung;Youngnim Choi
    • IMMUNE NETWORK
    • /
    • 제21권5호
    • /
    • pp.34.1-34.16
    • /
    • 2021
  • Sjögren's syndrome (SS) is an autoimmune disease characterized by dryness of the mouth and eyes. The glandular dysfunction in SS involves not only T cell-mediated destruction of the glands but also autoantibodies against the type 3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or aquaporin 5 (AQP5) that interfere with the secretion process. Studies on the breakage of tolerance and induction of autoantibodies to these autoantigens could benefit SS patients. To break tolerance, we utilized a PmE-L peptide derived from the AQP5-homologous aquaporin of Prevotella melaninogenica (PmAqp) that contained both a B cell "E" epitope and a T cell epitope. Repeated subcutaneous immunization of C57BL/6 mice with the PmE-L peptide efficiently induced the production of Abs against the "E" epitope of mouse/human AQP5 (AQP5E), and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antigen specificity, the sequences of AQP5E-specific B cell receptors, and salivary gland phenotypes of these mice. Sera containing anti-AQP5E IgG not only stained mouse Aqp5 expressed in the submandibular glands but also detected PmApq and PmE-L by immunoblotting, suggesting molecular mimicry. Characterization of the AQP5E-specific autoantibodies selected from the screening of phage display Ab libraries and mapping of the B cell receptor repertoires revealed that the AQP5E-specific B cells acquired the ability to bind to the Ag through cumulative somatic hypermutation. Importantly, animals with anti-AQP5E Abs had decreased salivary flow rates without immune cell infiltration into the salivary glands. This model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the role of anti-AQP5 autoantibodies in glandular dysfunction in SS and testing new therapeutics targeting autoantibody production.

기무라씨 질환, 5 예 보고 (REPORT OF EXPERIENCE WITH KIMURA'S DISEASE)

  • 설대위;박윤규;이광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6
    • /
    • 1989
  • 기무라씨 질환은 특히 두경부 부위에 피하 종괴를 일으키는 만성염증성, 증식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최근 치험하였던 본 질환 5 예를 한국외과 문헌에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기무라씨 질환은 크게는 ALHE(Angiolymphoide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은 증식된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과 혈관의 증식성이다. 이 질환은 이하선, 악하선 및 상부 경부 부위등에 흔히 종괴를 일으키며 이들 종괴들은 피하조직 뿐만 아니라 타액선과 상부 경부 임파선에까지도 파고 든다. 저자들의 증례 중 한명에서는 서혜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새로이 증식된 혈관과 동상들 (Sinusoids) 로 인하여 혈관 분포가 매우 풍부하였다. 저자들 증례 5 명의 평균 연령은 35세이었지만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38세 이하이었다. 남녀비는 3:2 이었으며 증상의 평균 기간은 5.2 년이었다. 전례에 있어서 말초 혈액 소견상 Eosinophilia 가 있었다. 전례에서 다발성 종괴들을 보였으며 가끔은 대칭적이기도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치료 양상은 수술만 시행한 경우와 수술 및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시행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고 수술과 방사선조사 경우가 2례이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수술,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및 방사선조사의 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무라씨 질환과 ALHE 질환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기무라씨 질환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