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objective discrepanc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5초

불면증 환자의 수면인식과 객관적, 주관적 수면변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of Sleep Perception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Sleep Variables in Insomnia Patients)

  • 윤가희;오성민;서민철;이미현;윤소영;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2호
    • /
    • pp.70-77
    • /
    • 2021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증 환자의 주관적 수면인식과 관련 있는 임상적, 객관적 요인들을 알아보고 임상에서 불면증 환자의 이해와 평가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방 법 : 109명의 불면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 결과와 자가보고 설문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관적 수면인식은 아침자가보고 설문지의 주관적 총 수면시간(subjective total sleep time, subjective TST), 입면 잠복시간(subjective sleep onset time; subjective SOL), 각성횟수, 아침 개운함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주관적-객관적 수면차이를 계산하였다. 임상적 특징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를 측정하였다.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09명의 불면증 대상자(남성 = 72명, 나이 43.49 ± 15.32세)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총 수면시간(subjective TST)은 수면다원검사에서의 입면 후 각성시간(wake after sleep onset, WASO) (p < 0.001), N1 수면(p = 0.039), PSQI (p < 0.001), BDI (p = 0.014)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차이는 PSQI (p = 0.018)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침 개운함 정도는 PSQI (p = 0.019), BDI (p < 0.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불면증 환자에서 주관적 수면인식은 수면다원검사의 입면 후 각성시간(WASO), N1 수면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우울감과 평소 수면의 질과 관련성이 있었다. 불면증 환자에서 다양한 객관적 수면변수, 평소 수면의 질 및 우울감이 주관적 수면인식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환자를 평가 및 치료해야 하겠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의 비교 - 정신과입원환자를 대상으로 -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 of Sleep in Psychiatric Inpatients)

  • 정현강;이문수;고영훈;임세원;김승현;정인과;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30-39
    • /
    • 2010
  • 연구목적 : 임상현장에서 주로 환자나 간호사의 주관적인 수면보고에 의존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을 이용한 수면평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 32명의 정신과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들에게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 수면일지, 주관적인 수면의 질에 대한 시각적 증상 정도 평가, BDI, STAI를 시행하였다. 간호사도 3일 동안 한 시간마다 환자의 수면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환자의 보고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측정상 입면잠복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는 간호사보다 자고 있음에도 깨어있었다고 더 많이 보고하였다. 주관적 수면평가와 활동기록 수면평가의 차이는 불안, 우울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주관적으로 수면의 질을 낮게 평가하는 환자일수록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입면잠복시간과 더 큰 차이를 보였고, 우울, 불안 증상이 심한 환자의 수면보고는 활동기록 측정값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런 환자들에게 수면의 질에 대한 질문만으로는 정확한 수면평가가 어려우므로 객관적인 수면평가가 필요하겠다.

  • PDF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보이는 불면증 환자에서 일반적 불안에 비해 불면증 관련 자극으로 인한 뇌활성에 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Brain Reactivity to Insomnia-Related vs. General Anxiety-Inducing Stimuli in Insomnia Patients with Subjective-Objective Discrepancy of Sleep)

  • 김남범;이재준;조서은;강승걸
    • 수면정신생리
    • /
    • 제27권1호
    • /
    • pp.24-31
    • /
    • 2020
  • 목 적 :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는 불면증의 흔한 증상이자 주요한 유형이다. 본 연구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있는 불면증군,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군,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전반적 불안-유발 자극에 대비하여 불면-관련 자극에 대한 뇌활성의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모든 피험자들은 수면일기와 임상척도로 주관적 수면상태를,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객관적 수면상태와 불면증 외의 수면장애를 확인하였다. 기능적 뇌영상 촬영동안 불면증-관련 문장 자극과 일반 불안-유발 문장자극을 피험자들에게 주어 유발되는 뇌활성의 세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뇌활성은 전체 불면증군(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 여부에 상관없이)과 건강대조군 두 군간에도 비교되었다. 결 과 :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 군에 비해 차이가 있는 불면증 군에서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 대비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우측 설전부와 보조운동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신호를 보였다. 또한, 같은 자극에 대해 통합 불면증군이 대조군 보다 좌측 앞 대상회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OLD 신호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가지는 불면증이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에 비해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보다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더 선택적인 집중과 불안을 가지고 증가된 뇌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로 수면상태 오지각이 증가된 불면증 자극에 선택적인 불안을 보임을 시사한다.

Influencing Factors for Sleep Quality among Firefighters: Based on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 Jeon, Yeseul;Choi, Heese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6-40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nsomnia and the quality of sleep, investigate the concordance between objective and self-report sleep patterns, and identify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ituational factors influencing insomnia and sleep quality among firefighter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03 firefighter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Insomnia was found in 66 (64.1 %) of the total subjects, and the average quality of sleep (PSQI) was 5.65 (SD=2.57). Total sleep time (401.00 minutes) and sleep latency (21.60 minutes) measured using self-reported scales were longer than the ones measured using objective measurements by approximately 48.70 and 17.10 minutes, respectively. Factors related to insomnia included the role as a paramedic (OR=4.28, 95% CI: 1.02~17.92), anxiety (OR=1.12, 95% CI: 1.01~1.24), and sedentary lifestyle (OR=0.85, 95% CI: 0.78~0.94), and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were physical illness status (OR=5.17, 95% CI: 1.53~17.51) and social support (OR=0.86, 95% CI: 0.78~0.95). Conclusion: The results show a high prevalence of insomnia, poor quality of sleep and the discrepancy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leep patterns among firefighters. To promote sleep quality and health, early screening and treatment of anxiety and physical illness ar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sleep.

부정교합의 객관적 정량분석: Part 1. 객관적 부정교합 경중도와 주관적인 치료난이도의 상관관계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alocclusion : Part 1. Objective malocclusion severity and subjective treatment difficulty)

  • 주보훈;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0-68
    • /
    • 2005
  • 부정교합의 평가는 질적, 양적인 면에서 모두 평가되어야 한다. 이는 부정교합의 경중도의 평가뿐만 아니라 이의 치료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반영할 수 있는 치료의 난이도로 발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치료의 난이도를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치과 교정학에서 치료의 효과 및 효율의 평가에서 치료난이도를 반영하는 부정교합 경중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교정치료의 양적 그리고 질적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정교합의 객관적 정량분석을 위한 연구로써 객관적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주관적 치료 난이도를 측정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00쌍의 교정용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경험 있는 8명의 치과교정의가 주관적인 치료의 난이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의 어려움과 예상치료기간을 추정하였으며. 객관적인 부정교합의 경중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자는 동료평가등급 지수 (PAR index) 를 사용하여 각 부정교합의 구성요소 별 경중도를 계측하였다. 이들간의 상관관계의 조사에서 객관적으로 계측한 부정교합의 경중도와 평가단의 치료 예상난이도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상악 전치부 배열, 구치부교합, 수평피개도, 수직피개도 그리고 정중선 일치도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객관적으로 계측된 부정교합의 경중도가 치과 교정의사가 느끼는 주관적 치료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의 주관적 난이도를 내포하는 새로운 국내형 교합지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회된 법랑질 깊이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접착레진으로 부착된 군 (Group 4)은 법랑질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실런트 레진의 도포가 유용함을 시사하였다..5\;{\mu} g/mL)\;piroxicam(3.5\pm0.3\l{\mu}g/mL)$,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흡수 속도상수는 piroxicam-$\beta$-cyclodextrin$(3.00\pm0.49\;h^{-1}), \;piroxicam(1.80\pm0.21\;h^{-1})$이었다(p<0.1). 이상의 결과에서, piroxicam-$\beta$-cyclodextrin정은 piroxicam 확산정과 비교하여 흡수되는 정도는 서로 비슷하지만 흡수 초기의 혈장농도 및 흡수속도상수에서 보다 빠른 약동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삼차원 입체조형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적 관찰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국소관해를 높이기 위한 방사선치료방법과 전신적 전이율의 감소를 위한 항암요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다. MD-BED $Gy_3$는 직장합병증 발생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방광합병증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과의 연관성은 MD-BED $Gy_3$보다 개별 환자의 직장전벽 총 선량 BED값인 R-BED $Gy_3$가 훨씬 더 높았다

7~18세 청소년의 부정교합에 대한 인식과 교정치료 수요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OF MALOCCLUS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NEED OF 7~18 YEAR-OLD KOREAN ADOLESCENT)

  • 이신재;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67-39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lf perception of occlusal status and recogni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orthodontic treatment need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3979 (male 2107, female 1872) school students of age 7~18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and clinical exa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rception of occlusal status on one's own was more generous than that of orthodontist's and it was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age, patterns of malocclusion. 2. Recogniuon of subjective ne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as more generous than that of objective need for the treatment, and factors such as age and sex of patient, parents' age and rate of education, income, occupation,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nd regional discrepancy were influenced. 3. Negative aspect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4. A survey of want for orthodontic treatment showed one's alteration in recognition of the occlusal status with age and esthetic component was much more emphasized than functional component. 5. The multivariate discriminanat analysis for orthodontic treatment group showed that mother's rate of education,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ritical in the determination of treatment group. 6. Test of inter-examiner reliability showed moderate coincidence.

  • PDF

건설업 유해화학물질 노출 모델의 개발 및 검증: Tier-1 노출 모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xposure Models for Construction Industry: Tier 1 Model)

  • 김승원;장지영;김갑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8-218
    • /
    • 2014
  • Objective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ier 1 exposure model utilizing worker exposure monitoring data and characteristics of worker activities routinely performed at construction sites, in order to estimate worker exposures without sampling. Methods: The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REACH) system of the European Union(EU) allows the usage of exposure models for anticipating chemical exposure of manufacturing workers and consumers. Several exposure model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Advanced REACH Tools(ART). The ART model is based on structured subjective assessment model. Using the same framework, a tier 1 exposure model has been developed. Worker activities at construction sites have been analyzed and modifying factors have been assigned for each activity.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accrued work exposure monitoring data for the last 10 years, which were retrieved and converted into exposure scores. A separate set of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o validate the developed exposure model. These algorithm have been realized on Excel spreadsheet for convenience and easy access.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developed model between exposure scores and monitoring data was 0.36, which is smaller than those of EU models(0.6~0.7). One of the main reasons explaining the discrepancy is poor description on worker activities in KOSHA database. Conclusions: The developed tier 1 exposure model can help industrial hygienists judge whether or not air sampling is required or not.

Comparison of Vendor-Provided Volumetry Software and NeuroQuant Using 3D T1-Weighted Images in Subjects with Cognitive Impairment: How Large is the Inter-Method Discrepancy?

  • Chung, Jieun;Kim, Hayoung;Moon, Yeonsil;Moon, Won-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4권2호
    • /
    • pp.76-84
    • /
    • 2020
  • Background: Determination of inter-method differences between clinically available volumetry methods are essential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rain volumetry in a wider contex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method reliability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iemens morphometry (SM) software and the NeuroQuant (NQ)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MR images of 86 subjects with subjective or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For this study, 3D T1 volume images were obtained in all subjects using a 3T MR scanner (Skyra 3T, Siemens). Volumetric analysis of the 3D T1 volume images was performed using SM and NQ. To analyze the inter-method difference, correlation, and reliability, we used the paired t-test, Bland-Altman plo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effect size (ES) using the MedCalc and SPSS software. Results: SM and NQ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for cortical gray matter, cerebral white matter, and cerebrospinal fluid; and good reliability for intracranial volume, whole brain volume, both thalami, and both hippocampi. In contrast, poor reliability was observed for both basal ganglia including the caudate nucleus, putamen, and pallidum. Paired comparison revealed that while the mean volume of the right hippocampu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oftware, the mean difference in the left hippocampus volume between the two methods was 0.17 ml (P < 0.001). The other brain reg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easured volumes between the two software. Conclusion: SM and NQ provided good-to-excellent reliability in evaluating most brain structures, except for the basal ganglia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Researchers and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measured volumes when using these two different software interchangeably.

정신분열병의 감정표현 불능증과 관련된 임상 및 증상 요인 (Clinical and Symptomatic Correlates of Alexithymia in Schizophrenia)

  • 이경하;김대호;노성원;남정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1호
    • /
    • pp.32-40
    • /
    • 2005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정신분열병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감정표현 불능증과 임상변인 및 정신분열병의 연관 관계를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두 대학병원 정신과 입원 시설에서 1년간 연속적인 수집을 통해 58명의 성인 정신분열병 환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환자들에게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PANSS),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를 시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TAS 총점은 SCL-90-R의 모든 하위 척도와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PANSS의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 정신병리 척도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또한 '주관적 감각과 감정 경험의 혼동' 요인과 '감정 표현의 곤란' 요인은 SCL의 증상 척도와 유의하게 정적 상관하였으나, '공상의 빈곤'은 일부 하위척도와 부정 상관, '외부 지향적 사고'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SCL-90-R의 전체심도지수(GSI)가 감정표현 불능증의 28.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결과 및 객관적, 주관적 검사의 소견의 차이는 정신분열병의 감정표현 불능증이 두 가지 구성체, 즉 '감정 표현과 소통의 장애(상태적 요인)'과 '외부 지향적 사고(특성적 요인)'로 구성됨을 시사한다. 향후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TAS의 구성 타당도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