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guid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Servic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 노영희;강정아;정대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5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용자 및 작가들을 대상으로 주제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의견조사 및 수렴과정을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홍보방안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둘째, 주제가이드의 유용성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용자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주제가이드 품질 향상 및 개선을 통한 효율적 주제서지정보서비스 방안으로 원문제공, 지속적 콘텐츠 추가, 유관기관과의 연계 등이 요구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요구도 차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제가이드의 활성화를 위해 상호협력체계 모색, 구체적인 홍보전략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평가지표가 체계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A Research on User's Awareness of Subject Guid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홍현진;노영희;강미희;정대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81-405
    • /
    • 2015
  • 이 연구는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 과정에서 수행된 것으로, 주제가이드의 개선점과 한국근대문학의 주제 특수성에 기반한 주제접근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된 이용자 요구분석이다. 이는 설문으로 수행되었으며, 307명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해도 및 이용경험은 낮은 반면 이용의향은 매우 높았다. 둘째, 한국근대문학의 생산형태의 중요도는 원자료와 파생자료 모두 높게 나타났다. 자료유형의 중요도는 시와 소설이 높았다. 자료구축은 저자별, 장르별, 시기별, 사조별 구축방법을 선호하며, 집단별 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주제가 이드의 홍보에 대한 동의도가 매우 높았다.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 Guide Development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 홍현진;강미희;정대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5-34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근대문학 자료를 대상으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를 개발하였다. 이는 특수한 역사적 조건하에 존재하는 한국근대문학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한국근대문학 및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자 인식조사, 국내외 사례조사 등의 과정을 통해 개발하였으며, 실제 데이터 구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근대문학 저자 117명에 대한 인물정보 및 작품 23,731건에 대한 서지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둘째, 1894년부터 1945년까지 해당 저자에 의해 생산된 원자료와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다른 저자에 의해 생산된 파생자료를 범위로 하였다. 셋째, 저자별, 장르별, 시기별 배열체계를 통해 관련정보의 군집화를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관련 학계조차 당시의 작가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알 수 없을 만큼 복잡한 양상으로 존재하는 한국근대문학에 대해 체계화와 구조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