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Servic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강정아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정대근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6.10.29
  • 심사 : 2016.12.06
  • 발행 : 2016.1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용자 및 작가들을 대상으로 주제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의견조사 및 수렴과정을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홍보방안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둘째, 주제가이드의 유용성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용자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주제가이드 품질 향상 및 개선을 통한 효율적 주제서지정보서비스 방안으로 원문제공, 지속적 콘텐츠 추가, 유관기관과의 연계 등이 요구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요구도 차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제가이드의 활성화를 위해 상호협력체계 모색, 구체적인 홍보전략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평가지표가 체계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To meet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sers' awareness of the subject guide service and sought out experts' opinions to identify the strategies to promote and improve the subject guid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trategies: 1) Conduct promotional activities utilizing a variety of social media; 2) provide education for the us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utility of the subject guide; 3) build a website dedicated to the subject guide servic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4) provide an efficient subject-specific bibliography servic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ubject guide, by offering full texts, ongoing content updates, and coordin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nd agencies; and 5) tailor the service to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and education level.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clude research on the collaborative system, additional specific promotional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subject guid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참고문헌

  1. 김윤식, 김현 (2001). 한국문학사. 서울: 민음사.(Kim, Yun-Sik, & Kim, Hyun (2001).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eoul: Minumsa.)
  2. 방민호 (2014). 국내 근대문학자료 소장 실태 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Bang, Min-Ho (2014).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odern Korean literary resources in domestic possession.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3. 백철 (1956). 조선신문학사조사. 서울: 수선사(Baek, Chul (1956). Chosun new literature main-current history. Seoul: Susunsa.)
  4. 백철 (1983). 신문학사조사. 서울: 신구문화사.(Baek, Chul (1983). New literature main-current history. Seoul: Shingubook.)
  5. 안확 (1922). 조선문학사. 서울: 한일서점.(Ahn, Hwak (1922). Literature history of Cho-sun. Seoul: Hanilbook.)
  6. 이미화 (2010).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1), 137-16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137(Lee, Mi-Hwa (2010).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library course p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1), 137-16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137)
  7. 임화 (1993). 신문학사. 파주: 한길사.(Lim, Hwa (1993). New literary history. Paju: Hangilsa.)
  8. 전병태, 김세희, 이진화 (2013). 국립근대문학관 조성 타당성 조사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Chun, Byung-Tae, Kim, Se-Hui, & Lee, Jin-Hwa (2013). A study of feasibility assessment of National Modern Literature Museum.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9. 조동일 (1994). 한국문학통사5. 서울: 지식산업사.(Cho, Dong-Il (1994).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5. Seoul: Jisik Sanup Publications.)
  10. 조연현 (1961).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인간사.(Cho, Yeon-Hyun (1961). History of modern Korea's literature. Seoul: Ingansa.)
  11. 홍현진, 노영희, 강미희, 정대근 (2014).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개발 및 구축: 근대문학분야를 중심으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Hong, Hyun-Jin, Noh, Young-Hee, Kang, Mi-Hee, & Jeong, Dae-Keun (2014). Developing and constructing subject guides by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modern literature.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2. 홍현진, 노영희, 강미희, 정대근 (2015).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381-405.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81(Hong, Hyun-Jin, Noh, Young-Hee, Kang, Mi-Hee, & Jeong, Dae-Keun (2015). A research on user's awareness of subject guid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381-405.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81)
  13. Maureen, K., & Kim, G. (2008). Racing information to the student using ruby on rails: Oregon State University Libraries. Retrieved from http://units.sla.org/division/dbio/events/conf_past/NY/FocusedInformation.pdf
  14. Reed, B., & Gibbons, S. (2004). Students, librarians, and subject guides: Improving a poor rate of return. Libraries and the Academy, 4(1), 123-130. https://doi.org/10.1353/pla.2004.0020
  15. 경희대학교 도서관. Retrieved from http://khis.khu.ac.kr/guide/Static.ax?page=ResearchGuide
  16. 부산대학교 도서관. Retrieved from https://lib.pusan.ac.kr
  17.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 Retrieved from https://library.sogang.ac.kr
  18.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Retrieved from http://lib.ewha.ac.kr/subject/subjectMain
  19. 인하대학교 정석학술정보관. Retrieved from http://lib.inha.ac.kr
  20.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Retrieved from http://subjectguides.library.unsw.edu.au/subjectguides
  21. Vancouver Public Library. Retrieved from http://www.vpl.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