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areas

검색결과 1,168건 처리시간 0.031초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학습자 선호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Learners' Preference for Subject Area of SW Education Content)

  • 전수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9-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SW 교육을 위한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따른 연구 동향과 학습자의 선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연구된 연구 문헌들과 교과서 및 교재들에 나타난 다양한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을 분석하여 최근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게임, 미디어 아트, 교육학습 콘텐츠, 시뮬레이션, 실생활 중심 콘텐츠의 6가지 주제 영역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W 구현 주제 선정 이유, 선정 방법, 선호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주제 선정 이유에 있어서는 주로 자신의 흥미와 교수자의 영향을 받으며 게임과 스토리텔링 주제 영역에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균형 있는 SW 교육 콘텐츠 설계에 반영될 것을 기대한다.

묵사집산법(默思集算法)과 구일집(九一集)에서의 넓이 (Areas in MukSaJibSanBeob and GuIlJib)

  • 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9-269
    • /
    • 2014
  • In China and Joseon, the measurement of the areas of various plane figures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mathematical officials because it is connected directly with tax problems. Most of mathematical texts in China and Joseon contained Chinese character '田', which means a field for farming, in title name for parts that dealt with problems of areas and treated as areas of plane figures. The form of mathematical texts in Joseon is identical with those in China because mathematicians in Joseon referred to texts in China. Gyeong SeonJing and Hong JeongHa also referred to Chinese texts. But they added their interpretations or investigated new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area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history of the measurement of areas in Joseon, which described in two books MukSaJibSanBeob and GuIlJib, with comparing some mathematical texts in China.

Scopus에 설정된 주제분류 활용도 및 상호 연관성에 대한 고찰 (Assessing the Utilization and Interrelatedness of Scopus Subject Categories)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51-272
    • /
    • 2019
  • 본 연구는 Scopus의 분류시스템에서 설정된 주제분류의 활용도와 상호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 수행의 범위는 2017년도 Scopus 색인에 포함된 저널의 대 주제 분류 및 소 주제분류를 포함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copus의 주제 분류별 활용도에서의 빈도수나 주제분류간 상호연관성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이 가운데 대 주제분류활용률과 상호연관성의 양상은 의학과 사회과학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편, 소 주제분류에서는 "2700 General Medicine"이 상호연관 측면에서 최고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이외에 쌍을 이루는 소 주제분류 간의 동시 빈도수 분석에서 특징적인 상호연관성을 보이는 경우들을 발견하였는데 같은 분야의 주제어가 비슷한 연관성, 분야는 다르지만 주제가 연결된 연관성, 주제어간 상,하위범주의 연관성의 경우들이다. 소수의 소 주제분류간에는 매우 유사한 주제어를 사용한 경우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제분류별 활용도와 주제분류간의 상호연관성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양상들로 인해 연구수행에 있어서 대 주제분류뿐만 아니라 대주제 분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소 주제분류까지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촌·어항법에 따른 개발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의 범위 설정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Scope of Business Subject to Consultation on Utilization of Sea Areas for Developments According to the Fishing Village and Fishery Harbors Act)

  • 탁대호;이대인;김귀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217
    • /
    • 2016
  • 어항시설에 대한 해역이용협의 시 계류시설이 협의대상에서 정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고, 항만시설과 규모에서 차이가 있으나 협의대상 규모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어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2년간(2013-2014) 해역이용영향검토기관에서 검토된 어항관련 일반해역이용협의서 17건을 분석 후 세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 범위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어항개발은 외곽시설을 포함한 계류시설 등 다양한 시설설치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기본시설, 기능시설 등을 모두 고려하는 등 해역이용협의 대상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시설규모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그 밖의 어항시설의 경우는 공유수면 점용 사용 면적이 $50,000m^2$일 경우 일반해역이용협의 대상이나, 대부분 소규모 어항의 경우 항계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대상사업의 범위가 과대하게 설정되어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해역이용협의에 대한 근거의 혼선을 해소하기 위해 협의대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공유수면 점 사용 허가 및 적용배제의 근거인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과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른 공유수면 점용 사용과 관련된 협의대상 사이에서 나오는 불명확성과 혼란을 제거하기 위해 협의대상의 근거를 명확히 설정하는 규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Web of Science 데이터학술지 게재 데이터논문의 지적구조 규명 (An Investig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on Data Papers Published in Data Journals in Web of Science)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3-177
    • /
    • 2020
  • 오픈과학의 흐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은 중요한 연구자의 활동이 되어가고 있다.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의 발간이 가시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학술지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발간되고 있으며, 논문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논문은 데이터 자체와는 다르게 인용을 주고 받는 활동이 포함되어, 따라서 이들이 형성하는 고유한 지적구조가 생겨나게 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이 학술커뮤니티에서 구성하는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Web of Science에 색인된 14종의 데이터학술지와 6,086건의 데이터논문과 인용된 참고문헌 84,908건을 분석하였다. 저자사항과 함께 동시인용분석과 서지결합분석을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데이터논문이 형성한 세부 주제 분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저자, 저자소속기관, 국가를 추출하여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학술지 논문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의 생산이 용이한 기관과 국가에 주로 데이터논문을 출간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동시인용분석와 서지결합분석 모두 분석도구, 데이터베이스, 게놈구성 등이 주된 세부 주제 영역으로 나타났다. 동시인용분석결과는 9개의 군집으로 형성되었는데, 특정 주제 분야로 나타난 영역은 수질과 기후 등의 분야이다. 서지결합분석은 총 27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었는데, 수질, 기후 이 외에도 해양, 대기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이 파악되었다. 특기할만한 사항으로는 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영역도 나타났다는 점이다.

국내외 문헌정보학 저널의 키워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Keywords of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07-2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특징 면에서 문헌정보 저널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다양한 문헌 정보학 연구 영역을 발견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4 년부터 2016 년까지 네 개의 한국 저널의 키워드가 RIS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고(http://www.riss.co.kr) 그리고 여섯 개의 국제저널의 키워드가 SCOPU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다(http://www.scopus.com). 키워드의 특징은 한국 및 국제저널에 관하여서 자주 사용 되었던 키워드와 자주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를 검증하는 연구이었다. 독특한 키워드란 한 분야에서는 나타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키워드를 말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는 한국의 문헌정보 학의 연구주제와 연구특색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일반적으로 한국 저널에서 사용 된 키워드는 도서관과 관련된 주제의 영역을 나타냈고, 국제 저널에 사용되는 키워드는 서지 측정법과 관련된 주제 영역을 나타냈다. 다) 빈번히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에서도 이러한 전반적인 연구 테마를 명백히 나타냈다. 라) 어떤 키워드는 쓰이는 범위가 한 국가나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와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독특한 키워드는 둘 다 문헌정보 학의 주제 영역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ccess & Retrieval System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백지원;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자 접근 및 검색 시스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외 주요 주제명표목표의 주제명 접근 및 검색 방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검색 시스템 분석을 통해 주제명 접근, 이용 방식과 절차 등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 현황 및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IFLA의 국가 서지 주제 접근 지침과 FAST의 적용 사례에 나타난 주제 접근 도구의 발전 방향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등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검색 시스템 개선안을 기능, 인터페이스, 질의, 부가 서비스 등 4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주제접근법에 의한 대학도서관 장서개발 모형연구 (A study on collection development model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based on subject a n.0, pproach)

  • 김정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85-328
    • /
    • 1995
  • This study is an attempt at developing an organizational model for collection development a n.0, pplicable to Korean university libraries at their present stage of development. An emphasis is placed on the discussion of the 'subject a n.0, pproach' as compared to 'functional a n.0, pproach' in collection development work. The case histor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s extensively used. The proposed collection development model consists of the following elements : - To form a collection development team and to place under the team leader subject bibliographers as follows: Bibliographer for Serials Bibliographer for Humanities Bibliographer for Social Sciences Bibliographer for Sciences and Technologies - Collection development team could operate as a separate department or as part of other departments, i. e., Deputy Director's office, Acquisitions and Processing Department, or Resources Management Department. - Collection development team takes up the responsibility for policyrelated collection work, i. e., budget allocation, evaluation of existing collection, building core collection, preservation, weeding and cooperation. - Designated certified librarians located at the(planned) subject libraries take up the responsibility for selection. Subject bibliographers cooperate with selection librarians and coordinate their work. - Certified librarians at the Acquisitions and Processing Department are assigned subject areas. They operate as acquisitions librarian and processing librarian simultaneously with their assigned subject materials.

  • PDF

독립교과로서 환경교육의 정체성 모색 (What should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Separate Subject be?)

  • 정민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7권2호
    • /
    • pp.1-9
    • /
    • 2004
  • In Korea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taught as a separate subject in school since 1995. Still it has not established its own individuality. The environment subject teaches many areas that are also taught by the other subjects. Its text focuses on the knowledge of ecology and pollution although it tries to help students acquire a desirable attitude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activities. To achieve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the environment subject and the other subjects should take differentiated par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xample, the latter teach knowledge and skill related to ecology and pollution and the former encourages students to behave responsibly to environment. One of the ways for it to do so is to let students discuss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knowledge and skill and make their own decisions. The teacher who is charged with the subject has to help students, with their own will, decide to do good to environment and sustainable society, but should not make them to decide according to their teacher's will. We need to deeply discuss, with open mind, what the environment subject will teach and how it will cooperate with the other subjects to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Without such partitioning it is difficult that the environment subject keeps its own individuality and justifies its existence.

  • PDF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th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 안인자;노동조;노영희;김성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33-549
    • /
    • 2008
  •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관한 깊이 있는 직무분석은 직업정의, 교육과정개발 훈련기준설정, 채용기준, 기관 및 개인적 목표 결정을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7개의 책무(duties)와 58개의 작업(tasks)을 추출하였으며, 7개의 책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A. 도서관 주제별 정보자원 개발, B. 도서관 주제별 정보자원 관리, C. 도서관 주제별 연구지원 서비스, D. 도서관 이용자 리에종 활동, E.도서관 주제별 이용자교육, F. 도서관 운영관리. G.주제별 능력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