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검색결과 18,618건 처리시간 0.041초

Why Are Sentential Subjects Not Allowed in Seem-type Verbs in English?

  • Jang, Youngjun
    • 영어영문학
    • /
    • 제55권6호
    • /
    • pp.1245-126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ocalled sentential subject constructions in English. The constructions that we examine in this paper are such as It seems that John failed in the syntax exam vs. *That John failed in the syntax exam seems and It really stinks that the Giants lost the World Series vs. That the Giants lost the World Series really stinks. As seen above, the English verb seem does not tolerate the sentential subject. This is in sharp contrast to other English verbs such as suck, blow, bite, and stink, which do allow the sentential subject. There are several issues regarding these constructions. First, where is the sentential subject located? Second, is the sentential subject assigned structural Case? Third, is the sentential subject extraposed or does it remain in its base-generated complement position? Fourth, is the sentential subject a base-generated topic in the specifier position of CP, as Arlenga (2005) claim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sentential subjects are base-generated in the specifier of the verbal phrase in case of stink-type verbs, while they are licensed as a complement to verbs like seem. We also argue that a sentential subject can be raised in the seem-type verbal constructions, if it were part of the complement small clause.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Divisional Plan Model for the Efficient Reference Service of University Library)

  • 정재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7-350
    • /
    • 2005
  •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제시한 주제화 모형의 구성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의 운영 패러다임은 논리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 장서 구분 및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화'가 가장 바람직하다. 둘째, 주제화 적용을 위한 가장 필수적인 요건은 주제담당사서의 확보와 충분한 공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제화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으로는 '광역형 주제화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 1) 광역형 주제화의 공간모형은 중앙도서관의 경우 대학생을 위한 '학부전용도서관'으로 운영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주로 하는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연구도서관'으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2) 광역형 주제화의 장서 모형은 중앙도서관(학부전용도서관)의 경우 학부생들의 과제 및 학습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한 서지 및 정보제공에 치중하는 방안이다. 3) 광역형 주제화의 인적자원 모형은 중앙도서관(학부전용도서관)의 경우 참고사서와 이용자교육담당사서 그리고 기능적 업무담당사서를 배치하고, 주제도서관은 주제담당사서와 기능적 업무담당사서 그리고 주제와 연관이 있는 학과의 대학원생을 조교나 보조학생으로 확보해 서비스를 주제별과 이용자별로 차별화하는 방안이다.

대학도서관 정보사서의 정보서비스 효율성 평가 (An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rvices by Reference Librarians at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3권
    • /
    • pp.95-119
    • /
    • 198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theoretical and practical solution to the question of what is the most effective and qualitative method of information service for the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ssuming the maximum service or total service theory in information services, therefore, it appears natural that the subject specialist who is highly knowledgeable in his subject is indispensable in rais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librarians.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There was no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y employing any full-time subject spceialist in Korea. This research, however, was proceeded on the assumption that subject specialists are already employed in all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after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is established. The least qualification of subject specialist is limited, based on the criteria given by the foreign literature, to those who have master's degree in Library Science and bachelor's degree in any other subject area, those who have bacholor's degree in Library Science and master's degree in any other subject area, or those who have both bacholor's and master's degrees in Library Science with minor in any subject field . To prove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subject specialist will perform his role more efficiently than the generalist in effe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both accuracy and speed, this research as an obtrusive testing method analyzed the effectiveness by presenting information questions to the generalists and subject specialists who are information librarians i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study 20 librarians working at 12 university libraries were tested for performance levels of information services. The result showed $59.75\%$ an absolute performance rate and $75.20\%$ an adjust performance rate. Compared to Thomas Childer's 1970 study in which he used the unobtrusive testing method, these results were $5\%$ higher in the absolute performance rate and $11.36\%$ higher in the adjust performance rate. In comparing the generalist with the subject specialist in efficiency of information service, while the absolute performance rate was $57.08\%$ and the adjust performance rate was $73.08\%$ in the case of the generalist, the absolute rate was $63.75\%$ and the adjust rate was $78.38\%$ in the case of specialist,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subject specialist was $6.67\%$ higher in the absolute performance rate and $5.30\%$ higher in the adjust performance rate than that of generalist. But the factor of speediness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he interviewers recorded and the time the interviewee record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should be desirable to educate subject specialists and employ them as information librarians and for them to function as efficient subject specialist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ervices, the nucleus of the raison d'etre of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 PDF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 3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9-136
    • /
    • 2009
  • 대학이 학문적 주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의 서비스도 주제를 기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최근 몇몇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주제전문사서제가 도입되고 적용 사례가 소개되고 있지만, 제공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장 단점 분석과 도입에 따른 방향성이 점검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적용을 위한 선결과제와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주제전문사서제를 도입한 3개 대학도서관은 역할, 인사, 평가 등에서 도입초기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을 위해서는 도서관내부의 합의과정과 교내 구성원에 대한 홍보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주제전문사서 충원 및 평가, 보상체계의 마련과 함께, 장기적으로는 서비스의 지속성과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 및 서비스 제공대학 간 협력체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주체에 기초한 현대 공간 디자인의 사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ntual Aspects of Contemporary Space Design based on the Subject)

  • 김석영;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98-109
    • /
    • 2011
  • To interpret a change of discourse can be a method to understand architectural space in progress. With this idea, features of modern age which motivated sense of the contemporary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nd subsequently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pace differentiated from the modern were researched. First of all, features of subject which provided a base of modern thoughts were contemplated. The word 'modern' is used in wide and various terms but basically its core conception consists of reason and universal rationality. The subject of the modem age has vision-centric features just like an ideal representation principle of perspective. Given the fact, it was confirmed that a position to become a right subject, that is, a position controlled by reason existed and that it was to guarantee subject a truth. However, the contemporary subject keeps changing with a purpose of escaping from modern characteristics. It presents a tendency to escape from rationalism of the modern age and Platonism of the ancient Greece which established a basis of western ideology. The subject-centered ideas came to focus on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 firmed fundamentally in deep inside of subject. The contemporary subject which escaped from the stiffen ideas bears a meaning through events taking place on immanence surface and serialization. Also, the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is considered to go abreast with the change and tren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features of event-oriented architectural space based on the changing contemporary subject appear as process-based space, user-participated space and individual-cognition space and the like.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Subject Guide Service for Korean Modern Literature)

  • 노영희;강정아;정대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5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용자 및 작가들을 대상으로 주제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의견조사 및 수렴과정을 통해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홍보방안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한 적극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 둘째, 주제가이드의 유용성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이용자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주제가이드 품질 향상 및 개선을 통한 효율적 주제서지정보서비스 방안으로 원문제공, 지속적 콘텐츠 추가, 유관기관과의 연계 등이 요구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석된 성별, 연령별, 직업별, 학력별 요구도 차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제가이드의 활성화를 위해 상호협력체계 모색, 구체적인 홍보전략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의 평가지표가 체계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분야 학위논문 내용목차에 따른 주제어 출현빈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equency of Subject on Content of Thesis in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혜영;곽승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1-210
    • /
    • 2008
  • 일반적으로 문헌을 검색하고 접근하기 위하여 주제색인과 같은 주제어를 활용하곤 한다. 그렇다면 문헌의 내용과 문헌의 주제어는 분명히 어떤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디지털콘텐트의 본문내용이 비교적 짜임새 있게 정형화되어 있는 석사 학위논문을 연구문헌으로 한정하여 학위논문 전문에서 나타나는 학위논문의 주제어 분포도를 연구하였다. 학위논문의 주제어는 논문 저자가 부여한 주제어를 사용하되, 학위논문 전문은 '목차', '서론', '이론배경', '본론', '결론', '참고문헌'의 내용위치로 분할하여 내용위치에 따른 주제어의 출현율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 학위논문 전문은 1226.3개의 용어, 5152.3번의 용어 출현을 보였다. 학위논문 저자가 부여한 주제어는 $12{\sim}13$개 용어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결과, 전문 내용위치에 따른 주제어의 출현율은 '목차' 11.4%와 '서론' 11.2%에서 가장 높았으며(11%), 다음 순위는 내용위치 '결론' 9.8%이었다.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

  • 노영희;노동조;안인자;김성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7-123
    • /
    • 2008
  • 주제전문서비스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문화 특성화 개인화 등의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서비스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논문을 통해 주제전문사서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현장의 많은 도서관들에서 실제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들 도서관들의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배경, 주제전문서비스 내용 및 효과, 운영상의 애로사항 및 운영방법, 주제전문사서 채용방법 및 교육훈련방법,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주제전문화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내외 주제전문사서 구인구직 수요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of Subject Specialist Upbringing Plan :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ubjects Related to Library)

  • 정재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1-409
    • /
    • 2007
  • 본 연구는 도서관 관련 주체들 즉, 기관 단체 및 협회, 학계, 그리고 도서관 현장의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화적용 대학도서관과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주체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조사하였다.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해서는 도서관 관련 주체들의 개별적 노력과 함께 이들의 협력과 공동대응이 이루어질 때 가능하다. 즉, 도서관 관련기관, 단체 및 협회는 주제전문사서와 관련된 정책 및 재정적 지원에 대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학계는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 현장은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동기부여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의 채용과 대우를 위한 제도마련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도서관관련 주체들의 대표로 구성된 주제전문사서양성위원회를 구성해 주제전문사서 양성과 확보를 위한 각각의 역할을 조율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지리과에서의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Unit of Geography Curriculum - Centering in High School)

  • 김영미;김창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156-176
    • /
    • 1998
  • On the border between the Geography subject and the Science subject, much of the content area is found to be interrelated or shared in comm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This possibly causes a problem of which of the two subjects should treat these overlapping areas with more responsibility and importance, and, as a result, might cause teachers to neglect the areas and result in insufficient treatment of the areas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se overlapping area can be overlooked on both subjects. On the other hand, as the science subject treats these areas more deeply and widely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geography subject might lose its original content area to the science subject and accordingly lose its characteristics as an independent subject. To conclude, the following suggestion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we develop and organize the environment-related unit in the geography subject. First, the various real cases damaged by pollution, the efforts and steps to avoid being polluted, the inquiry questions and activities to set up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sufficient assistant materials such as maps, graphs, photos, illustrations, statistics, which will help to realize the environment problem more directly and clearly, must be presented in the textbooks. Second, as the environment education is not just teach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ontent should be composed for the student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and to change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ird, the environment education cannot be restricted to a certain subject, or it needs to be approached in multi-subject areas. To exercise a effective environment education while we mainta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y subject, a way to link the environment and the region, which is one of the main concepts of geography, should be developed. Finally, textbooks are indispensible materials to teaching-learning, but for more effective teaching the teachers of geography should try to recompose and reorganize the content and to develop newer and more effective teaching material-ai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