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arra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재귀적 소자 교환 방식을 이용한 능동위상배열안테나 부배열 구조 최적화 알고리즘 (Subarray Structure Optimization Algorithm for Active Phased Array Antenna Using Recursive Element Exchanging Method)

  • 채희덕;주정명;유제우;박종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665-675
    • /
    • 2016
  • 능동위상배열레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에는 수십 개의 디지털 수신기를 사용하여 부배열 단위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적인 방법으로 합성하는 능동위상배열안테나가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빔 합성시 빔 특성은 부배열 단위의 가중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부배열 구조의 형상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재귀적인 소자 교환 방식을 사용하여 부배열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과 운용하는 빔의 부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배열 구조를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디지털 빔 형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노펄스빔과 펜슬 다중빔에 대해 각각 또는 동시에 최대 부엽을 최소화하는 최적화된 부배열 구조 해를 찾아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대역 부배열 최적화 설계 (Optimized Design of Wide-Band Subarray Using a Genetic Algorithm)

  • 김두수;이동국;김선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415-42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대역 부배열 최적화 설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무한 주기 구조의 삼각 배열을 이용하여 광대역 복사 소자를 설계하였다. 너치 구조의 복사 소자로 정면 빔 조향 시 능동 반사 계수 -10 dB 이하를 만족하는 최대 및 최소 주파수 비가 약 2:1 정도로 광대역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배열 소자 1,100여개로 이루어진 안테나 구조의 부배열 최적화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대조군인 규칙 부배열 안테나 구조와 비교해서 최적화(불규칙) 부배열 안테나 구조의 최대 부엽 준위가 4.5-5.5dB 정도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선형 배열 안테나에서 수정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부배열 구조 최적화 (Optimization of Subarray Configurations in Linear Array Antenna Using Modified Genetic Algorithm)

  • 김준호;김두수;김선주;양훈기;천창율;정용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선형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 합성 빔의 부엽 세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부배열 구조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부배열 구조의 최적 설계 시 부배열 구성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유전 알고리즘의 연산을 수정하였다. 제안된 부배열 설계법을 이용하여 40개의 배열 소자를 갖는 선형 배열 안테나에서 합성 빔 및 재밍에 대한 적응 신호 처리 후의 부엽 세기를 최소로 하는 불규칙 구조의 16개로 구성된 부배열구조를 설계하였고, 규칙적인 부배열 구조에서의 최대 부엽 세기보다 약 10 dB 감소된 부엽 세기를 확인하였다.

디지털 빔 형성을 위한 부배열 채널 보정 및 성능 분석 (Subarray Channel Calib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Digital Beam-Forming)

  • 장성훈;안창수;김동환;김선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35-244
    • /
    • 2014
  • 항공기 능동 위상 배열(AESA) 레이더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이더 안테나 부배열 채널 구성 및 보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설계된 부배열 채널 구조의 성능시험을 위하여 디지털 빔 형성이 가능한 12개 부배열 채널을 갖는 AESA 레이더 시연기(demonstrator)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제작한 부배열 채널에서는 채널 간 크기 및 위상 오차가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부배열 채널 간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오차 보정후 채널의 신호 레벨과 모노펄스 기울기를 측정하여 보정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채널 보정 후 부배열 채널로 형성된 디지털 모노펄스 채널을 검증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성된 아날로그 모노펄스 채널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AESA 레이더 시연기의 성능 확인을 위하여 지상에서 원전계(far field)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적 모의 장치를 이용하여 단일 표적을 생성하고, 동일한 파형 및 탐색 조건하에서 탐지 및 추적시험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12개 부배열 채널 신호로 구성한 디지털 모노펄스 채널의 표적 탐지 추적 성능이 기존 아날로그 모노펄스 채널의 성능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엽으로 입사하는 재머 신호에 대하여 부배열 채널에서 적응 빔 형성(adaptive beam-forming) 기능이 효과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서브 어레이를 이용한 Q 대역 직렬 급전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설계 (The Design of Series-Fed Microstrip Array Antenna using Subarray at Q Band)

  • 허전;오순수;성영제;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88-19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도파관의 슬롯 급전과 서브어레이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를 나타내었다. 서브어레이는 마이크로스트립만을 이용한 급전에 비해 급전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40.5 GHz에서 43.5 GHz까지 넓은 주파수 범위와 평탄한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4${\times}$24 직렬 급전 배열 안테나는 최대 32.4dBi의 이득을 얻었다.

Dice-Five Polarization-Agile Corner-Fed Patch Array Antenna

  • Vallecchi, Andrea
    • ETRI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250-256
    • /
    • 2005
  • A novel planar polarization-agile microstrip subarray is proposed and its performance assessed by a thorough numerical investigation. The subarray consists of five square patches with a central element, directly coupled to a pair of microstrip feed lines by a cross-shaped aperture, which spreads the power outwards to the other patches through a network of suitable connections. By properly exciting the antenna at its input ports, any kind of polarization of the radiated field can be accomplished with fairly low cross-polarization levels. Moreover, since only two feed lines are required to drive the whole subarray, polarization agility is simply and attractively achieved by a single phase-shift circuit. The design concept is describ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nd simulations performed by two completely independent full-wave approache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 PDF

부배열 합성을 이용한 적응적 빔형성기의 구현 및 성능 분석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Adaptive Beamformer with Subarray Architecture)

  • 장윤희;홍동희;최성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448-458
    • /
    • 2013
  • 본 논문은 능동형 평면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레이더 시스템에 적용, 구현된 적응적 빔형성기의 시험결과 및 성능을 다룬다. 적응적 빔형성 알고리즘은 이미 많은 문헌 등에서 연구되고 있지만, 실제로 구현된 레이더 시스템에 대한 소개 및 결과는 찾기 어렵다. 여기서는 실시간 디지털 신호 처리까지 구현된 실제 레이더 시스템에 적용된 적응적 빔형성 알고리즘의 결과에 대해 알아본다. 또 일반 평면 위상 배열이 아닌 부배열 합성을 이용한 적응적 빔형성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본 알고리즘의 성능은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먼저 입증한 다음, 실제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한 원전계 시험 결과로 최종 확인한다.

부배열 평균과 엔트로피 최소화 기법을 이용한 stepped-frequency ISAR 자동초점 기법 성능 향상 연구 (Application of Subarray Averaging and Entropy Minimization Algorithm to Stepped-Frequency ISAR Autofocus)

  • 정호령;김경태;이동한;서두천;송정헌;최명진;임효숙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3
    • /
    • 2008
  • In inverse synthetic aperture radar (ISAR) imaging, An ISAR autofocusing algorithm is essential to obtain well-focused ISAR images. Traditional methods have relied on the approximation that the phase error due to target motion is a function of the cross-range dimension only. However, in the stepped-frequency radar system, it tends to become a two-dimensional function of both down-range and cross-range, especially when target's movement is very fast and the 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 is low. In order to remove the phase error along down-rang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called SAEM (subarray averaging and entropy minimization) [1] that uses a subarray averaging concept in conjunction with the entropy cost function in order to find target motion parameters, and a novel 2-D optimization technique with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 proposed entropy-based cost function. A well-focused ISAR image can b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proposed method and a traditional autofocus algorithm that removes the phase error along the cross-range dimension.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is illustrated and analyzed with simulated targets comprised of point scatters.

  • PDF

개방형 도파관 배열안테나의 조향소자 특성 (Scan Element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Waveguide Array Antenna)

  • 김동석;김태현;박동철;김찬홍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5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5 No.1
    • /
    • pp.347-352
    • /
    • 2005
  • Scan Element Pattern(SEP) and Scan Impedance(SI) concepts a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waveguide arra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hased array antenna element in C-band and X-band. Transmit SEP's are calculated for 15$\sim$15 subarray and SI's are obtained by applying periodic boundary conditions for a unit cell of the given array condition. CST's MWS and Ansoft's HFSS are utilized for each analysis. Some relations are reviewed between the two results, which are based on mutual coupling effects. For validation purpose, an 8$\sim$8 subarray is constructed and tested. Transmit SEP measured in MTG's far-field range shows good agreement with the calculated transmit SEP.

  • PDF

Design of Microstrip Array Antenna with Three-Element Sequential-Rotation Subarray for DBS

  • Jin, Kyung-Soo;Shin, Hye-Jung;Park, Byong-Woo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8-33
    • /
    • 2002
  • The LHCP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operating at DBS band is developed by employing the sequential-rotation technique in which each subarray is comprised the three truncated-corner patch square element. Antenna designed with sequentially-related technique whose M=3, p=2 has the effect of improved axial-ratio bandwidth, cross-polarization etc. And it is proved that the degradation of radiation pattern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by minimizing the radiation loss of feeding line structure. Antenna designed shows extremely low side lobe level of below - 25 dB in the diagonal plane and cross-polarization level of below -20 dB in the all plane. And these performances comply with the array antenna specification for DBS.